[메디먼트뉴스 한경숙 기자] 직계 가족 중 당뇨병 환자가 있는 등 유전적 위험이 높은 사람은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정상인보다 1.8배 더 빠르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금연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면 이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 이현석 연구원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대상으로 한 장기 연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15년 동안 진행되었다.
성인 당뇨병은 혈당 조절을 담당하는 인슐린의 분비 능력이 감소하여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이 발병 위험의 30~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팀은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을 점수로 표현한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활용해 장기적인 인슐린 분비 능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팀은 당뇨병이 없는 30세 이상의 성인 6311명을 대상으로 유전체 분석을 실시하여 당뇨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확인한 후,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계산하였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고위험군(상위 20%) △중간위험군 △저위험군(하위 20%)으로 구분하고, 당부하 검사를 통해 혈당 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고위험군은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저위험군에 비해 25% 낮았으며, 중간위험군은 14% 낮았다. 15년간 반복한 검사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 능력은 점차 감소했으나, 고위험군의 저하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의 인슐린 분비 능력 저하 속도는 1.83배 더 빨랐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 능력 저하 속도가 늦춰졌다. 특히 고위험군의 경우, 건강한 생활습관을 하나 추가할 때마다 10년 후 인슐린 분비 능력이 4.4%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전적 정보를 활용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환자를 선별하고 조기 개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이 당뇨병 예방과 발병 지연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고위험군일수록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의 권위지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의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