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성균관대, 연대.고대 주요 지표 비교

00(221.147) 2016.09.27 18:15:01
조회 515 추천 0 댓글 0

[미래를 열어가는 성균관대학교]‘창조적 혁신 인재양성’… 진정한 글로벌 초일류 대학 비상



2016 취업률 69.3%  

전임교원 1인당 학생 17.9명 

국제어강좌 비율 42.3% 

교내 장학금 규모 395억원 수준



삼성 재단 든든한 지원 힘입어 

교육·연구 등 전 분야 비약적 발전 

BK21 통해 대학원도 눈부신 성장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b53883df39ed914672e71b0212e6dc6e585e8c1a34cac34e0140b8eff3fd7039f0c7628cff278719194ae4e0566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b53883df39ed914672e71b0212e6dc6e585e8c1a34cac34e0140b8eff3fd7039f0c7f799ef07f764f024a2ae181


성균관대는 대학 사회 변화와 글로벌 이슈를 주도하기 위해 지난해 ‘뉴 챌린지 프로젝트’를 선포했다. 뉴 챌린지 프로젝트는 아시아 10위권, 세계 50위권 대학 진입을 목표로 2011년 발표한 VISION 2020의 청사진이다. △융합교육 △연구력 △글로벌 얼라이언스 △산학협력 △경영혁신이 주요 내용이다.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b53883df39ed914672e71b0212e6dc6e585e884f71eca305ddd836dad64d18ef0af1d0e386974116cdf

성대 고대 연대 비교


객관적 지표로 나타난 세계 최고 대학



세계 주요 대학이 되기 위한 성균관대의 노력은 객관적 지표로 열매를 맺고 있다.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7.9명, 전임교원 확보율은 118.6%로 주요 사립대 중 최상위 수준이다. 전체 교육비 환원율은 233.3%로 전국 평균(174.8%)을 크게 앞선다. 외국인 교수 비율은 1996년 3.5%에서 2015년 7.4%로 증가했고, 외국인 학생도 같은 기간 0.7%에서 11%까지 올랐다. 국제어강좌 비율은 42.3%로 주요 사립대 평균(30%)보다 높다. 


이러한 좋은 교육 여건 덕분에 성균관대는 영국의 고등교육 평가기관인 ‘THE’가 6월 발표한 2016 아시아대학평가에서 국내 종합 사립대 1위(전체 순위 12위)를 기록했다.


취업률도 서울 시내 주요 대학 중 가장 높다. 한국교육개발원이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연계 통계를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 성균관대의 올해 취업률은 69.3%였다. 유지취업률은 지난해 기준 95.8%였다. 


학생 복지 수준도 좋다. 지난해 교내 장학금 규모는 395억 원. 학생 1인당 장학금이 335만 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고, 기숙사 수용률은 22.5%다. 재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한 국가고객만족도(NCSI)도 9년 연속 전체 사립대 중 1위다.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연구중심대학  


성균관대의 연구 및 산학 협력 성과도 가시적이다. 국제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은 2010년 2782편에서 지난해 4865편으로 두 배 가까이로 늘었다. 같은 기간 연구비 수주 규모도 2199억 원에서 3344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교수 1인당 국제논문 건수는 0.98편, 국제 논문 하나당 피인용 건수는 8.53편, 피인용 상위 1% 논문 건수는 317건이었다.


학제 간 융합교육과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성균관대는 성균나노과학기술원과 성균융합원을 신설해 운영 중이다. 미래 나노기반 융복합 인재양성 사업단과 ICT 융합 시설물 통합관리 창의인재양성사업팀도 BK21 플러스 사업에 선정돼 78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받고 있다. 지난해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평가에서 85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매우 우수) 평가를 받기도 했다. 기술 이전수입은 2010년 25억2000만 원에서 지난해 35억7000만 원으로 증가했다. 


성균관대는 대학 특성화(CK),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BK21 플러스 등 대형 국책사업도 두루 수주해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학술교류와 연구협력도 활발하다. 성균관대 관계자는 “미국 MIT, 중국 베이징대 등과 공학 분야에서 학술 교류를 하고 있다”며 “세계 1위 화학기업 바스프의 아태지역 R&D센터, 세계 4위 석유화학기업 사빅의 전기·전자·조명 기술센터를 유치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이러한 성균관대의 비약적인 발전은 삼성 재단의 든든한 지원 덕분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성균관대 의대가 국내 최고 수준의 의과대로 도약하는 원동력이 됐다. 삼성디자인학교는 성균관대와 디자인 융합교육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디자인 분야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돕고 있다.  



학년·학과·학사 틀 허물고 융합 교육 


성균관대는 전문 지식을 갖춘 글로벌 창의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소프트웨어(SW)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성균관대는 올해부터 모든 신입생에게 SW 기초소양 교육을 의무화했다. 또 비전공자에게 SW를 가르치는 성균소프트웨어교육원(SSEN)을 설립해 지금까지 프로그램 개발자 양성에 맞춰져있던 SW 교육을 보편교육으로 전환 중이다. 소프트웨어학과와 컴퓨터공학과를 통합해 SW대학도 신설한다. 2018학년도부터 SW특기자전형(100여 명)을 통해 우수 특기자에게 4년간 전액 장학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성균관대 대학교육혁신센터는 학부교육 선도대학 지원(ACE) 사업과 대학 특성화(CK) 사업의 주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성화 사업의 대형사업단인 ‘융합기반 Creative 인재양성 사업단(C-School)’은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몰입형 평면적 학습을 탈피하게 하는 게 목표다. 그 대신 다학제 다학년의 융합팀을 결성해 글로벌 이슈와 지역사회 문제를 탐색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주요 산업체를 방문하고 소프트웨어와 인포매틱스 기술을 선도하는 대학과 교류하기도 한다.  


학생들이 정규 학사과정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계발을 하도록 장려하는 것도 성균관대의 특징이다. 1학기와 여름방학을 이용해 1년 과정 수업을 마칠 수 있는 하계 집중학기제를 올해 도입했다. 연구프로젝트, 인턴, 해외연수, 취업 준비, 자격증 공부 등을 할 시간을 확보해주기 위해서다.  


복수전공 과목을 단일전공 학생이 이수하는 학점만큼 수강하는 확장형 복수전공제도는 올해 신설됐다. 복수전공 과목을 더 공부하고 싶은 학생이 전문성을 기를 기회를 주는 것이다. 자기설계 융합전공은 학생 스스로 자신만의 커리큘럼을 짜 학교에 승인받아 이수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해 미디어콘텐츠, 금융공학, 보험계리학, 인권과 법 같은 전공이 개설됐다.  



전문성·실용성 갖춘 대학원 


성균관대 대학원의 성장도 눈부시다. BK21 플러스 사업에서 국내 사립대 중 가장 많은 분야인 31개의 사업단(팀)이 선정됐다. 경영전문대학원(GSB)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MBA 평가에서 국내 유일하게 100대 MBA로 선정(69위)됐다. 글로벌 박사 펠로십(GPF)도 2015년 27명이 선정됐고, 해외 우수신진연구자유치사업에서도 8개 과제가 선정(전국 1위, 28억 원)됐다. 


국가전략 연구과제인 IBS(기초과학원) 사업단도 2개 보유 중이다. 나노구조물리연구단과 뇌과학이미징연구단이다. IBS사업단을 통해 성균관대는 연간 100억 원의 연구비를 10년간 지원받는다. 


성균관대는 대학원생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판교 테크노벨리에 그랜드 ICT 연구센터를 열었다. 그랜드 ICT 연구센터는 판교 SW융합대학원을 운영하며 지능형 ICT융합연구와 융합SW 개발 등 기업과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 



http://news.donga.com/3/all/20160914/80292499/1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b53883df39ed914672e71b0212e6dc6e585e8c1a34cac34e0140b8eff3fd7039f0c267c9ba02f74ffb4c368b5ed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953883df39ed9142a5cd94728a98319620c7292943c5f450d96d73239f42341ffd2ac9595a1730c7221


viewimage.php?id=79a4d527f7ed2da867a9d3a705d83024&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953883df39ed9142a5cd94728a98319620c7292943c5f450d96d73239f42210aed5a29c91f8730c8a5a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1970 교육투자 많은 대학이 '명문대학' ■x(221.147) 16.09.30 788 0
21969 "여성공학도 늘린다" 성대·이대 등 10개 대학교 150억 지원 00(221.147) 16.09.30 517 0
21967 금융권, 서금회 보다 더 강해진 성금회 11(221.147) 16.09.29 501 0
21965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첫 ‘CSI 학과’ 만든다 ■x(221.147) 16.09.29 704 0
21963 성대 축제에 대해 ARABOZA ■x(221.147) 16.09.28 562 0
21962 입시 서류제출못했다 인생 조진부분이냐 [1] 눈물(124.62) 16.09.28 638 0
21961 제20대국회, 초선 의원 출신학교 00(221.147) 16.09.28 472 0
21960 성균관대 GSB, 英FT MBA평가서 5년연속 국내 `톱` 00(221.147) 16.09.28 527 0
성균관대, 연대.고대 주요 지표 비교 00(221.147) 16.09.27 515 0
21950 대학원도 연대 고대가 성대에 안되는 구나 00(221.147) 16.09.25 557 0
21949 더타임즈 (THE) 2016~2017세계대학평가 발표... 00(221.147) 16.09.25 563 0
21948 2016~2017 THE 세계대학평가 3년 연속 종합사립대 1위 00(221.147) 16.09.25 492 0
21946 공무원학원 가라 ㅇㅇ(119.202) 16.09.24 522 0
21927 [미래를 열어가는 성균관대]창조적혁신 인재양성.진정한 글로벌 초일류대학 00(221.147) 16.09.20 669 0
21926 서성한건 라인 서강대 vs 건국대 어디갈까요? ㅇㅇ(211.36) 16.09.20 664 0
21925 서강대 망했다는 소식 듣고 왔습니다. ■x(221.147) 16.09.20 818 0
21924 문과 + 이과 통합 대학순위 (공대포함) ㅇㅇ(211.36) 16.09.20 947 0
21923 인서울 강남권 대학순위 ㅇㅇ(211.36) 16.09.20 692 0
21922 이과대학 공대순위 ㅇㅇ(211.36) 16.09.20 832 0
21921 문과대학순위 ㅇㅇ(211.36) 16.09.20 737 0
21920 경영학과 대학순위 ㅇㅇ(211.36) 16.09.20 808 0
21919 행정학과 대학순위 ㅇㅇ(211.36) 16.09.20 3632 1
21917 성대 BME학과(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대해 ARABOZA ■x(221.147) 16.09.19 685 0
21916 서울지역 대규모 대학 중 전임교원 확보율 100% 이상 서울대 성대 뿐 ■x(221.147) 16.09.19 588 0
21913 최근 3년간 공대 취업률 ■x(221.147) 16.09.18 714 0
21912 과외, 학원 검색 사이트 ㄱㄱ mmmmm(59.26) 16.09.17 575 0
21911 서울대 법대 꿈꾸던 전교 3등 은우,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재학 중 ■x(221.147) 16.09.16 722 0
21910 2016 성균관대 가요제 ■x(221.147) 16.09.16 488 0
21907 민사고 연도별 주요대학 입학 현황 (서성연고) 11(221.147) 16.09.15 645 0
21906 최근(40~44대) 국무총리 배출 대학, 성균관대(3) 서울대(2) 11(221.147) 16.09.15 547 0
21905 교수 출신 10대그룹 사외이사 - 서성연고 000(221.147) 16.09.15 519 0
21904 제약회사 2~3세대 성균관대 동문 약진 000(221.147) 16.09.15 612 0
21903 서울지역 대규모 대학 중 전임교원 확보율 100% 이상 서울대 성대 뿐 ■x(221.147) 16.09.15 578 0
21902 민사고 연도별 주요대학 입학 현황 (서성연고) ■x(221.147) 16.09.15 501 0
21901 한양대 화공 vs 서강대 화공 ■x(221.147) 16.09.15 549 0
21900 입학처장이 알려주는 합격 꿀팁 안성진(성균관대 입학처장) ■x(221.147) 16.09.14 731 0
21899 2016 세계 5대 세계대학평가 (총정리) ■x(221.147) 16.09.13 530 0
21897 구글 한국인 최연소 입사자 한준희씨(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x(221.147) 16.09.11 513 0
21896 연대는 실체를 좀 더 까발려 줄 필요가 있음 지금까지 신촌이미지로 00(221.147) 16.09.10 508 0
21895 2016 중앙일보 문.이과 평가 요약자료 00(221.147) 16.09.10 442 0
21894 송호대 간호쪽으로 수시 넣어볼까 생각중 ㅇㅇ(203.173) 16.09.08 632 0
21893 2016 중앙일보 이공계열 학과 평가 00(221.147) 16.09.08 410 0
21892 2016 QS 세계대학평가 나왔다 ■x(221.147) 16.09.07 430 0
21891 세계대학평가서 KAIST·포스텍 제친 성균관대·고려대 ■x(221.147) 16.09.07 376 0
21890 성대 생명과학과 윤환수교수,해양홍조식물과 육상식물 평행진화를 최초규명 22(221.147) 16.09.07 450 0
21889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고려대 는 시크하다 (SSYK) ■x(221.147) 16.09.06 470 0
21888 가끔 보면 고대 건물 좋다는 글 올라오는데 알고나 좋아했으면 한다. 00(221.147) 16.09.06 457 0
21886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선도연구센터사업(SRC) 선정 ■x(221.147) 16.09.05 464 0
21865 성균관 유생들의 추석 차례지내기 00(221.147) 16.09.03 520 0
21863 성균관대 복수학위, 7+1 교환학생 제도 매년 100여명이 해외명문대로 ■x(221.147) 16.09.03 47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