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야구계의 굴단급 행보를 보인 팀 ㅇㅇ
- 싱글벙글 대한민국 육군 근황 ㅇㅇ
- [단독] 트럼프, 韓 조선소 방문 안 할 듯 RESETKOREA
- 싱글벙글 파이어하면 머하면서 사냐 ㅇㅇ
- ‘주 80시간 초장근로’ 스물여섯 청년 숨지다 전)민정당원박
- 구제역 7500만원 나왔네 ㅇㅇ
- 이혼 후 집을 잃고 차에서 생활하는 스시남... 일녀혼의 비참한 말로 난징대파티
- 요즘 핫한 그 씹덕겜 논란 요약.game ㅇㅇ
- [속보] 아르헨 중간선거서 美 트럼프 지지 받은 여당 압승 STARBUCKS_
- 싱글벙글 몽골 수인갤러리
- 싱글벙글 싱붕이 일렉기타 꺼내봄 론다트
- 끔찍끔찍 2015~16년 일본 서브컬처 작품들 왜?
- 캄보디아 총리, "남 탓하고 싶진 않지만..." ㅇㅇ(125.129)
- 싱글벙글 16세 아들의 자위를 목격한 엄마.jpg ㅇㅇ
- 유튜브 주식 채널 유료 가입했다가 해지 애원하는 사연 VWVWV
오싹오싹 일본 신축 주택과 아파트들 근황
지난번에 오싹오싹 미국 신축 주택들 근황 이라는 글을 쓴 놈인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2034346약속대로 안타깝게 우리나라보다 조금 나은거지 대다수는 힘들게 사는 타 선진국의 진실을 보여주러 옴https://youtu.be/V8vNKWHMiyg과거 실베에 한 번 올라왔던 글 일부에 해당하는 내용의 원본 영상을 찾아보니 신축 단독주택을 후분양으로 구매 했는데 목구조 집이 이렇다고 함...전문 기사 출처: https://newsdig.tbs.co.jp/articles/cbc/569267?display=1전설의 동강난 요코하마 라라 멘션 사고 이후에 나온 현실임오죽 하면 이런 책도 나오겠냐...출처: https://www.amazon.com/-/he/%E8%88%B9%E6%B4%A5%E6%AC%A3%E5%BC%98/dp/4344984218https://youtu.be/dOr7RITn19c일본에서 유명한 건축가중 하나인 쿠마 켄고가 만든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물은 문제가 없지만 현재 이 분이 디자인 혹은 설계 했다는 목구조물은 이렇게 죄다 개판인 상태임 조회수도 다 100만 넘은 영상이 천지다. 출처: https://www.@sumirin-ht.@co.jp/oyakudachi/reform/house/000004.html (www.@su와 ht.@co 사이에 있는 !를 빼고 들어가 텔레그램 링크 공유 때문에 위 링크 공유가 안되네;;)위 자료는 링크 가보면 알겠지만 일본 건축물 구조별 평균 내구성 통계를 공개한 자료이고 다 50년대 이하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빨간 색 강조 부분이 목조인 이유가 일본의 목구조 건축물도 평균 수명이 40~50년 으로 늘어난 것을 홍보하기 위해서임또 조금 긴 이야기가 필요하지만 무식한 언론이나 바보 같은 대다수 사람들이 뭔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가 100년 간다고 개소리 하는데 현실은 이런 건물은 건축비 즉 설계비와 시공비, 관리비를 늘 많이 바쳐서 설계와 시공, 관리 기준을 올리고 관리까지 잘해서 오래가는 것이지 현실은 기본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어느 나라든 일본도 40~50년 간다는 증거가 많다. 건자재 자체가 한 종류라고 하도 세부 종류가 엄청 많고 규격도 다양한데 콘크리트는 어디든 기본적으로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게 사실 40년 이상 지나면 자연스럽게 다 사라져서 방수부터 안되는 순간 혹은 누수라도 생기면 바로 철근, 철골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어서 사실 관리 잘 하지 않으면 어디든 수명이 길어지기 힘들어 그래서 관리 기준도 따로 있는 것이고 설비가 다 쉽게 내부에서 교체 할 수 있게 돈 좀 투자 하는 것도 좋지만 사실 기본 이론상 이런 문제가 많아서 어느 나라든 노후 주택 기준이 30~50년 이상인건 변하지 않음출처: https://toyokeizai.net/articles/-/664262?display=bhttps://youtu.be/DJT5Fm177q0가장 최근에는 일본의 유명 대기업 건설사를 보통 제네콘 이라고 부르는데 이 기업중 하나인 타이세이 건설에서 철골 시공 불량이 80곳 넘게 발견됨 다행히 시행사에서 이를 중간에 잘 파악하고 재시공을 진행함 물론 아직도 공사중임...2000년대 이후 자꾸 기울어지고 동강난 멘션이 나온 상태에서 이런 소식 나오니 타워멘션 급 아니면 다들 불안해 하는게 현실임 짱구는 못말려 GOAT 시리즈 이기는 하지만 사실 와르르 멘션편이 일본의 사이타마 현이라는 베드타운에 사는 애매한 중산층~서민 이하가 겪는 일을 잘 보여준 만화인데 이게 괜히 있는게 아니다. 짱구네 집도 안방만 바닥난방 되는 경량목구조 집에 살고 ㅎㅎ솔직히 우리나라보다 조금 나은거지 솔직히 독일과 스페인을 제외하고는 후분양 위주의 모든 신축 건물들이 문제가 많은게 현실이다. 이런 것도 모르고 자꾸 뭔 후분양 해라 선분양이 문제다. 라고 하는데 솔직히 국내에도 후분양 많이 하는 단독주택, 빌라, 소규모 아파트나 오피스텔 문제 보면 막상 분양 방식 보다는 탈건과 탈토라는 단어가 안 나오게 인재 대우 개선, 전문 인력 양성과 대우 개선 안 하면 어디든 다 똑같은 대가를 치루지 않나 싶다.그리고 일본어도 못 배우면서 타 분야 전문성도 없으면서 무식하게 일본 건축,건설,토목,부동산,디자인,미관 이라는 단어를 생각하고 언급할 자격은 솔직히 없다. 반박시 화짱조 저능아마지막으로 이런 글 쓰면 자꾸 왜 우리나라랑 짱개는 언급 안하냐고 뭐라 하는데 우리나라는 솔직히 이미 관련 자료가 많다.블라인드나 국토부 자료도 많으니깐 어차피 원인들이 민2도가 낮고 돈과 세금 없어서 생기는 것이라고 하고...삼성물산 조차 다른 곳 보다 덜 한거지 이미 하자율은 어디든 다 높아지는 추세다. 엘리트나 재벌, 부자들도 참 멍청하게 당하고 만 산다는 증거도 많고 그리고 어떤 무식한 사람들이 삼성이면 외노자 안 쓴다고 개소리 하는데 플랜트를 제외 하고는 안 쓸 수가 없다.국민2성과 민2도 따라 가는 대가이니깐 단지 다른 대기업보다 외국인 비율이 적고 또 그나마 우리나라에 오는 외노자가 태반이 화짱조(화짱조가 기득권인 동남아 포함), 몽골, 인도, 이슬람계 4년제졸 미만 밖에 없는데 이 중에 놀랍게도 그나마 학력 높고 삼물에서도 인기 많은 사람이 화짱조 중국이라 오히러 이들만 쓴지 오래됨 공산주의 국가가 그나마 보편적인 교육은 잘 하거든 그 외는 평균 학력이 화짱조 베트남보다 처참하다. 몽골은 오히러 자료가 많지만 외국인 범죄율 1등에 아는 사람들은 아는 상급자와 관리자, 엔지니어에게 개기는 것들이 많다고 하니깐 쓰레기 시진핑핑이의 나라 화짱조도 인성 안 좋지만 흔히 말하는 야랄(ㅈㄹ)하는거지 지 마음에 안든다고 주먹질하고 뭐 던지는 사례가 의외로 적다 함...그리고 화짱조들의 고향인 중국은...https://youtu.be/IxtYWTvR1Hghttps://youtu.be/7Rqg6iNrCvohttps://youtu.be/xHocXAsiugI이 글이 인기 많으면 패널 라이징, 모듈러 건축 트렌드와 장단점 사례 정리해서 알려줄께 https://youtu.be/oAU8t1vqeG4우리나라 최초의 모듈러 아파트가 생겼다는데 사실 PC공법이든 PC 아파트든 모듈러이던 패널 라이징이던 사실 어느 나라든 방수는 많이 나아졌지만 기성품으로는 특히 단독주택으로는 괜찮으나 그 이상으로는 어쩔수 없이 목구조, 경량 철골, PC조차 사실 조인트 부분에 하중부하가 많아서 층간소음이 늘 심하다는 증거가 많아 ㅋㅋ다음에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 모듈러충이 늘어난 것 같은데 이게 현실이라... 하자 없는 것도 아니고 ㅋㅋ 물론 장점도 많다. 우리나라랑 일본은 모듈러랑 패널라이징에 보조금 안 퍼줘서 문제지만...
작성자 : Exy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