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블아의 강화재료, 오파츠를 만들어보자_2025-1 DBshotgun
- 싱글벙글 중국 최고의 명검 월왕구천검 ㅇㅇ
- 블라) 스킨십이 이혼사유가 돼? 관심종자
- 어르신들께 반응 좋다는 '디지털 취약층' 전용 현장 매표소 ㅇㅇ
- 망했다 망했다 하는 부산대 앞 상권 상황.JPG ㅇㅇ
대박 터진 한국 라면들도 '직격탄'…"공장 지어야 돼?"...jpg
어서 오세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K-푸드 팔고 있는 우리 식품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그런데 기업들마다 희비가 조금 엇갈린다고요.미국에 생산 공장이 있냐 없냐에 따라 희비가 교차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특히 삼양식품이 이번 상호관세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미국 내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해외 매출을 대폭 늘리는 중이었기 때문입니다.삼양식품의 지난해 전체 매출 중 내수를 제외한 수출 비중은 77%에 달하는데요.지난해 해외 매출 1조 원을 돌파하기도 했죠.수출액 중 미국을 포함한 미주지역은 매출의 28%를 차지하는데, 전년보다 8%p 높아지면서 현재 '최대 시장'으로 떠올랐습니다.금액으로는 약 3천700억 원 수준인데, 미국 현지에서 불닭볶음면이 봉지당 1.5달러, 2천 원 정도에 팔리고 있다고 계산하면 연간 2억 개 정도의 라면이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겁니다.그런데 이렇게 수출을 많이 하고 있는데도, 이 물량들을 대부분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미국 내에는 생산 공장이 아예 없습니다.때문에 25% 관세 영향을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인데요.공급가를 올리거나 마진을 줄여야 하는 상황입니다.다만, 삼양식품은 수출 지역 다변화 등으로 영향을 줄여보겠다는 입장으로 전해졌습니다.최근에는 미국 관세 부과에 대응해 태스크 포스를 꾸리고 대응방법도 검토하고 있습니다.김치 수출 1위인 대상도 작년 대미 수출액이 2천억 원 정도 되는데요.미국 현지에서 종가 김치 물량 일부를 생산하고 있기는 하지만 국내에서 수출하는 물량이 많습니다.때문에 관세 영향이 어느 정도 있을지 촉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입니다.이에 비해서 미국 현지에 공장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도 꽤 있잖아요. 이런 곳들은 숨통이 좀 트이겠네요.일단 상대적으로 느긋한 입장은 미국 현지에 공장이 있는 CJ제일제당과 농심입니다.CJ제일제당은 미국에 공장이 20개가 있어서 주력품목인 만두와 피자를 모두 현지생산하고 있습니다.또 CJ제일제당은 '냉동식품 전문기업'인 슈완스라는 미국 내 자회사가 있습니다.이를 통해 오는 2027년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제조시설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하기도 했습니다.그리고 또 다른 라면기업 농심도 미국 공장이 있습니다.2005년 미국 LA에 첫 공장을 세운 데 이어 2022년 2공장을 가동했고, 지난해 11월 2공장에 신규 증설라인도 가동하면서 생산량을 늘리고 있습니다.미국 현지에서는 신라면을 포함한 주요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요.국내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은 일부밖에 없습니다.LA공장에서 내수용 물량 대부분을 생산 중인 만큼 삼양에 비해 관세 영향을 덜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또 다른 경쟁사 오뚜기는 수출 비중이 전체의 10%, 1천억 원 정도로 삼양의 8분의 1 수준입니다.오뚜기도 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에 공장 설립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그렇다면 현지 공장이 없는 기업들이 지금이라도 공장을 지으면 이 관세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것 아니냐, 이런 이야기가 나올 텐데요. 실제 기업들의 입장은 어떻습니까?주요 식품기업은 현재로서는 현지공장 건립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입니다.원래 계획에도 없던걸 트럼프 하나만 보고 지금 당장 미국에 공장을 짓거나 하지는 않겠다는 겁니다.원래 공장을 지을 때는 플랜을 10년 단위로 세우고, 짓는데 만도 3~4년은 걸리기 때문인데요.공장을 다 지을 때쯤이면 트럼프 임기가 끝나고 앞으로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미국은 K푸드 최대시장이라 할 수 있는데요.지난해 가공식품과 신선식품 대미수출액은 15억 9천만 달러로 전년보다 8.9% 증가했습니다.올해 1분기는 더 늘어서 3억 5천만 달러로 25.1% 나 상승했습니다.때문에 관세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미국 내 소비가 둔화 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