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울미디어뉴스] 양혜나 기자 = 국민의힘은 13일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원으로 전날 지명한 유상범·전주혜·엄태영 의원과 김용태 당선인에 대한 임명안을 의결한다.
당 의결기구인 상임전국위원회가 이날 임명안을 의결하고 당연직 비대위원인 정책위의장 선임안이 주초 의원총회에서 추인되면 '황우여 비대위'가 7인 체제로 정식 출범하게 된다.
전날 윤 선임대변인은 지명직 비대위원 인선에 대해 "일하는 비대위를 하려는 부분이 가장 많이 고려됐고, 지역 안배가 골고루 됐다"고 말했다.
전임 '한동훈 비대위'(11명)보다 적은 7명으로 구성된 것에 대해 "전대 준비를 위한 관리형 비대위여서 신속하게 하기 위해 숫자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지명직 비대위원인 유 의원(강원 홍천·횡성·영월·평창)과 엄 의원(충북 제천·단양)은 22대 국회에서 재선에 성공했고, 김 당선인(경기 포천·가평)은 처음으로 배지를 달았다. 반면 현재 초선인 전 의원(서울 강동갑)은 이번 선거에서 낙선했다.
당연직 비대위원에는 추경호 원내대표와 함께 정책위의장에 정점식(경남 통영·고성) 의원이 내정됐다.
이로써 새 비대위는 유 의원, 전 의원, 엄 의원과 정책위의장에 내정된 정 의원 등 주류 친윤 인사가 다수를 차지하게 됐다. 김 당선인은 상대적으로 색채가 옅다고 평가된다.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비대위가 친윤(친윤석열) 인사 위주로 구성됐다는 지적에 대해 "친윤·비윤(비윤석열)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그런 생각을 하는 즉시 우리 당을 분열화할 수 있어서 그런 개념 자체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그동안 전대 룰과 관련해 자기 입장을 표명했던 사람이나 어느 (특정 당권 주자) 진영에 포함된 사람들은 비대위원으로 모실 수가 없었다"며 "그런 분들이 와서 표결하는 것이 더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가 당 최고 의결기구로써 전당대회 당 대표 선출 규칙 개정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 최종 결정을 해야 하는데, 특정 견해를 미리 공언한 인사들을 포함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황 위원장은 "나부터도 그렇게 계파 색채가 강하지 않다. 친윤 몇 퍼센트, 비윤 몇 퍼센트는 참 우스운 것"이라고 했다.
당에서는 '당원 투표 100%'로 대표를 뽑는 규정을 놓고 친윤 주류는 현행 규정을 선호하는 분위기지만, 수도권 당선인·비윤 그룹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30∼50% 정도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황 위원장은 "우리가 의견을 잘 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대위원들과 논의해 전대 룰과 관련한 의견 수렴 일정을 정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차기 당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까지 활동하며 4·10 총선 참패 이후 당 수습과 전당대회 경선 규칙 결정 등의 임무를 맡게 된다.
국민의힘은 신임 사무총장에는 3선이 되는 성일종(충남 서산태안) 의원을, 신임 원내수석부대표에는 재선의 배준영(인천 중구·강화·옹진) 의원을 내정했다.
정책위의장과 원내수석부대표는 향후 의총 추인 절차를 거쳐야 하고, 사무총장은 비대위 협의만 거쳐 정식 임명된다.
황 위원장은 이날 오후 당 상임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원 임명안이 통과되면 곧바로 상견례를 겸한 첫 비대위 회의를 열 계획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