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0.15 00:12:29
조회 96 추천 0 댓글 0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한다고 하여 런타임 에러가 안 나는게 아니잖아. ㅋㅋ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1. 변형 레코드의 경우, 문법을 잘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무슨 코드인지 앎. 그러나 러스트 enum의 경우 그렇지 않음.
  2. Ada의 경우에도 변수 접근이 가능. Rust도 마찬가지. 제미니가 Rust가 더 편한 것처럼 설명해놓았는데, 편의성은 둘다 비슷함.
  3. 에러처리 방식은 완전 다름. Ada의 경우 예외 발생, Rust의 경우 C언어처럼 리턴값을 처리하는 방식.

네, 지적해주신 내용이 매우 정확하며, 좋은 토론 주제입니다. 러스트에 편향된 것처럼 보였다면 제 설명 방식에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입니다. 제시해주신 세 가지 관점에 대해, 에이다의 설계 철학을 중심으로 더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설명을 제공하겠습니다.


1. 가독성: 명시적 조합(Ada) vs. 암묵적 통합(Rust)

지적하신 대로, 에이다의 변형 레코드는 처음 보는 사람도 그 구조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는 에이다의 핵심 설계 철학인 '가독성'과 '명시성'에서 비롯됩니다.

에이다는 다음과 같이 단계를 나누어 구조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1. type IpAddr_Kind is (V4, V6);  먼저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2. type IpAddr (...) is record ... end record;  그리고 그 종류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는 레코드를 만듭니다.

이처럼 기능을 조합하는 방식(Compositional approach)은 각 구성 요소(열거형, 레코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내므로 코드를 읽고 유지보수하기 용이합니다.

반면, 러스트의 enum은 합 타입(Sum Type)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문법에 통합한 것입니다.

enum IpAddr {
    V4(u8, u8, u8, u8),
    V6(String),
}

이는 함수형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에게는 매우 간결하고 강력하게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enum이라는 키워드가 이름 목록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사실이 직관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적하신 대로, 이는 문법에 대한 사전 지식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2. 편의성: 절차적 접근(Ada) vs. 표현식 기반 추출(Rust)

두 언어 모두 타입에 따른 안전한 데이터 접근을 완벽하게 보장한다는 점에서 본질은 같습니다. 편의성에 대한 부분은 '절차적 명료성'과 '함수형 표현력' 사이의 스타일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에이다의 case 문은 절차적입니다.

  1. case Addr.Kind is — 먼저 어떤 종류인지 검사합니다.
  2. when V4 => Put_Line(Addr.Addr_V4'Image); — 해당 블록 안에서 .을 통해 명시적으로 필드에 접근합니다.

이는 검사하고, 접근한다는 명확한 절차를 따르므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러스트의 match가 편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패턴 매칭을 통해 검사와 동시에 데이터 추출(바인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match addr {
    IpAddr::V4(a, b, c, d) => ... // addr이 V4임을 검사함과 동시에
                                 // 그 안의 값을 a,b,c,d에 담는다.
}

반복적으로 addr. 같은 접두사를 쓰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의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코드 길이의 문제가 아니라, 값을 변환하고 사용하는 표현식(Expression) 중심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에 더 가깝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더 편하다기보다는, 에이다는 절차적이고 명확한 스타일을, 러스트는 표현력이 높은 함수형 스타일을 따르는 차이입니다.


3. 오류 처리: 흐름의 분리(Ada) vs. 값의 반환(Rust)

이 부분에 대한 지적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두 방식은 오류를 다루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이 다릅니다.

  • 에이다의 예외(Exception) 처리

    이는 '정상적인 실행 흐름'과 '오류 처리 흐름'을 분리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정수입니다. begin 블록에는 성공 시의 로직만 깔끔하게 기술하고, 모든 예외적인 상황은 exception 블록에서 따로 모아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주된 로직을 파악하기 쉬워지며, 오류가 발생했을 때 호출 스택을 거슬러 올라가 적절한 핸들러를 찾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에서 오류 복구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러스트의 Result 타입

    지적하신 대로 이는 C언어처럼 함수의 반환 값으로 성공/실패 여부를 알리는 방식을 타입 시스템으로 안전하게 발전시킨 것입니다. C언어에서는 개발자가 오류 코드를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지만, 러스트에서는 Result 타입을 처리하지 않으면 컴파일 경고가 발생하며 match 등을 통해 모든 경우를 처리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는 오류 발생 가능성을 함수의 시그니처에 명시하고, 오류를 호출자가 즉시 인지하고 처리하도록 강요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제어 흐름이 복잡해질 수 있지만, 잠재적 오류를 놓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결론적으로,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하는 안전성은 주로 메모리 누수나 동시성 문제에 대한 것이며, 프로그램의 모든 런타임 오류를 막아주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지적해주신 내용들은 에이다가 수십 년간 극한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다듬어 온, 명료하고 체계적인 설계 철학의 가치를 정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영포티룩도 멋지게 소화할 것 같은 40대 스타는? 운영자 25/10/27 - -
AD 저녁 뭐먹지? 오늘의 메뉴 추천! 운영자 25/10/31 - -
2897631 ai 시대오고 프론트가 더 어려워진것같다 [1] ㅇㅇ(59.6) 10.21 105 0
2897628 사이드 프로젝트는 코드가 개떡같을수밖에 없어 [2] ㅇㅇ(118.222) 10.21 86 0
2897626 나님 배뷰륩니댱❤+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84 0
2897624 내일 모레 납품할 것은 GNN논문 재현인데 이거 논문이 코드 공개되있어서 ㅆㅇㅆ(124.216) 10.21 74 0
2897617 생각해보면 최초의 성공은 오래 가진 않는듯 [4] ㅆㅇㅆ(124.216) 10.21 113 1
2897616 레딧 보면서 느끼는게 사이드 프로젝트들 보면 선구자는 다 실패하지 않냐? ㅆㅇㅆ(124.216) 10.21 79 0
2897614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가려는데 얘네 팁문화 있나요?? ㅇㅇ(223.39) 10.21 55 0
2897613 코딩이라는게 개나소나 다 할 수 있다. 자판질하니 그리 보이지. [1] 프갤러(59.16) 10.21 157 1
2897611 멜로디도 그렇지만 나는 이 곡 제목이 진짜 소름인거 같아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45 0
2897610 KIOXIA 3108 이네 3111이 아니라 넥도리아2025(220.74) 10.21 36 0
2897609 오랜만이노 게이들아 이기 [6] 슈퍼막코더(126.166) 10.21 100 0
2897608 개발자로서 꿀은 2017~2020 해외 이민 이였다. 이미 기회는 떠남 [3] Kyle(124.171) 10.21 145 1
2897607 선생님들 데이터베이스 설계 관련 책 알아보고 있는데 책 괜찮아 보이나요? [1] ㅇㅇ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81 0
2897606 나는 학교때 공부못했음 [3] 배구공(119.202) 10.21 97 0
2897604 잠시 흥분해버렸군. 러스트를 배울 재능을 갖지 못한 이들이 많을진대 [1] 프갤러(27.170) 10.21 84 0
2897603 러스트 안배우는건 싸가지가 없는거다. [1] 프갤러(27.170) 10.21 97 0
2897601 세상이 엄청 문란해졌지. 고급기술자보고 자바 국비 저능아한테 맞추라니 [3] 프갤러(27.170) 10.21 152 0
2897600 부대찌게 먹었다 배구공(119.202) 10.21 74 0
2897599 부캠 진짜 ㅈ도 아닌데 [2] 프갤러(106.102) 10.21 118 0
2897596 내 생각에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건 성공 경험 아닐까 해 [2] ㅆㅇㅆ(124.216) 10.21 86 0
2897595 컴공 나와도 러스트 못배우는 벌레들 천지임 [9] 프갤러(27.162) 10.21 156 0
2897594 잘하면 키오시아 480GB SSD 펌웨어 복구됩니다. 넥도리아202520242026(220.74) 10.21 52 0
2897591 나 같은 아이큐 98도 코드밥 먹고 사는데 [10] 루도그담당(58.239) 10.21 123 0
2897589 회식하면서 야구봐야징⭐+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80 0
2897588 마치 체대생이 노가다판와서 나는 너희보다 몸쓰는 법 더 잘안다 [4] ㅆㅇㅆ(124.216) 10.21 92 0
2897586 결국 컴공 나왔으면서 웹하겠다, 게임 엔진써서 만들겠다 이런게 [4] ㅆㅇㅆ(124.216) 10.21 185 0
2897585 코딩이라는게 개나소나 다 할 수 있다 이런건 아니긴한데 [4] ㅆㅇㅆ(124.216) 10.21 227 0
2897583 Intel ai 국비같운거좋음? [1] ㅇㅇ(118.139) 10.21 102 0
2897582 근데 전공부심 부릴만하긴한데 사실 전공부심이라는게 대학원생미만이면 [2] ㅆㅇㅆ(124.216) 10.21 111 0
2897581 결국 두려움을 이기는 싸움이야 [2]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62 0
2897579 GPT 이용해서 포플 만들거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77 0
2897575 하루한번 앱히키 상기 프갤러(222.108) 10.21 57 0
2897572 아까 전공 부심 부리던 얘 22살짜리 걔 같은데 [4] 루도그담당(58.239) 10.21 184 0
2897569 국비로 배우면 취업 가능은함? [5] 프갤러(112.157) 10.21 208 0
2897567 전공자가 대단하다는 이준석 단 한명으로 반박됨. 하버드 컴공이 [5] ㅆㅇㅆ(124.216) 10.21 241 0
2897566 사실 진짜 제대로 아는 애들은 슈도코드 잘쓰는 애들이지 [2] ㅆㅇㅆ(124.216) 10.21 145 0
2897564 해외 대학들 커리큘럼도 그냥 ACM커리큘럼이라 다를것 없더라 [1] ㅆㅇㅆ(124.216) 10.21 85 0
2897562 결국 다카이치가 총리 됨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101 0
2897560 학원 가기 vs 스타트업이라도 다니기 [5] 프갤러(39.118) 10.21 116 0
2897559 현시대는 토발즈도 1찍 짱깨편인 무서운 시대이다ㅋㅋ번식 더 해줘라 이기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0.21 58 0
2897556 요며칠 콜풋놀이하니까 전업마렵네 [7]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95 0
2897555 장인은 최고의 결과물을 위해 최선의 도구를 선택합니다. 프갤러(218.154) 10.21 76 1
2897554 언어는 도구일 뿐이다. 저능아들이 그렇게들 말하죠 [2] 프갤러(218.154) 10.21 135 1
2897553 서울시 교육감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93 0
2897552 토지거래허가제 도입한 빨갱이는 누구게? [4] 프갤러(175.197) 10.21 108 7
2897548 조선인을 위한 한국식 BBS! Chatter[버그내역] 파란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76 0
2897546 지옥에있는 강유현 = 헤르 미온느 나와라 [1] 프갤러(121.190) 10.21 92 0
2897545 BBS 점검중...(이번이 아마 마지막) [2] 파란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1 83 0
2897544 좇센만큼 살기좋은 나라 없음 ㅎㅎ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0.21 66 0
2897542 멋쟁이사자처럼 데이터분석 부트캠프 들을만함? [1] 프갤러(218.145) 10.21 13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