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데이터 연구소인 CEO 스코어에 따르면, 9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라 매출 기준 상위 500개 국내 기업 중 R&D 비용을 공개한 224개 기업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73조 4238억 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서울미디어뉴스] 최민정 기자 = 기업 데이터 연구소인 CEO 스코어에 따르면, 9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라 매출 기준 상위 500개 국내 기업 중 R&D 비용을 공개한 224개 기업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73조 4238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 대비 6조 2825억 원(9.4%) 증가한 수치이다. 경제 침체의 여파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대비한 R&D 투자액은 실제로 증가했다.
조사된 기업들 중에서 삼성전자가 R&D 투자액 면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28조 35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조 4236억 원(13.7%)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매출은 지난해 14.3% 감소했지만, 조사된 기업들 중 R&D에 20조 원 이상을 투자한 유일한 기업이었다.
LG전자(4조 2834억 원), SK하이닉스(4조 1884억 원), 현대자동차(3조 9736억 원), 기아(2조 6092억 원), LG디스플레이(2조 3천억 원), LG화학(2조 857억 원), 네이버(1조 9926억 원), 현대모비스(1조 5941억 원), 카카오(1조 2236억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상위 10개 기업의 R&D 투자액은 조사된 기업들의 총 투자액의 71.8%를 차지했다.
한편, 지난해 R&D 투자액이 가장 크게 감소한 기업은 SK하이닉스였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4조 18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169억 원(14.6%) 감소했다. R&D 투자액 감소 면에서 2위를 차지한 넷마블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67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73억 원(21.8%) 감소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R&D 투자액(3427억 원)을 전년 대비 697억 원(16.9%) 줄여 3위에 올랐고, 한국항공우주는 R&D 투자액(1632억 원)을 437억 원(21.1%) 줄여 4위를 기록했다. HL만도,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정관장은 R&D 투자액 감소 폭이 가장 큰 기업으로 나타났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