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부대찌개도 이제 중국꺼?? 한복입고 부대찌개 먹방하는 조선족들 옌우응
- 싱글벙글 방금 풀린 트럼프x빌 클린턴 사진 한장 ㅇㅇ
- 공군 군사경찰 근무지 이동하는.manhwa 화전민
- 싱글벙글 동아시아 국가들의 군대 복장 비교…jpg ㅇㅇ
- 와들와들 실시간 ㅆ창나버린 중일관계.JPG ㅇㅇ
- 유퀴즈 제작진이 박미선을 위해 준비한 선물.jpg ㅇㅇ
- 넨붕이 미륵사 모어 다만들었다 ZuOOT
- 젠존제 신캐 근황...jpg ㅇㅇ
- 정부, '대장동 항소포기' 집단행동 검사장 전원 ‘평검사’로 전보 검토 ㅇㅇ
- 이영자 리스펙하는 쯔양 ㅋㅋㅋㅋㅋ ㅇㅇ
- 싱글벙글 F1 노잼이라고 저격한 체스 세계 GOAT 선수 ㅇㅇ
- 포켓몬스터 레전즈Z-A 후기 만화 - 캐릭터 편 제랏슈
- 직장인들도 싸구려 패딩 많이 입는구나 ㅇㅇ
- 여행하기 좋은 독일의 수도들 진소담
- 중국 어린이들 근황 ㄷㄷㄷ.jpg ㅇㅇ
98년 5월 서울 지하철 7호선 침수 사건 타임라인
1. 1998년 5월 2일 - 7호선 태릉입구역 침수 1998년 5월 2일, 전날부터 수도권 지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중랑천이 범람했고, 당시 중랑천을 통과하는 6호선 태릉입구역 공사장(612공구)을 통해 중랑천의 물이 태릉입구역과 7호선 본선 선로로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중랑천은 하부를 통과하는 6호선 터널의 개착 공사로 인해 강폭이 줄어든 상태였고, 집중호우로 급격히 늘어난 중랑천의 유량을 차수벽이 미처 감당하지 못한 것이 화근이었습니다. 6·7호선의 환승역인 태릉입구역은 지난 96년 먼저 개통한 7호선 승강장이 6호선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6호선 공사장을 통해 유입된 물은 환승통로를 타고 고스란히 7호선으로 유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태릉입구역을 시작으로 7호선 마들~사가정 구간의 11개 역이 모조리 침수되는 대참사가 벌어졌습니다. 당시 7호선은 1단계 구간인 장암~건대입구 구간만이 개통된 상태였기에 이는 결국 7호선의 운행이 전면 중단되는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최초 침수가 발생했던 태릉입구역은 구간 내에서 표고가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여 지하4층 승강장을 비롯하여 지하1층까지 모조리 침수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2. 1998년 5월 3일 - 폐허로 변한 7호선 전대미문의 침수 사고는 개통한지 갓 2년 밖에 되지 않은 지하철을 폐허로 만들어버렸습니다. 6호선 공사장에는 수마에 휩쓸린 자재들이 위태로이 버티고 있었고 역내 비치된 전화번호부도 내용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훼손되었습니다. 침수 구간의 북쪽 끝이었던 마들역입니다. 배수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었고, 태릉입구역에서 5정거장이나 떨어진 역임에도 여전히 선로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흙탕물이 들어찬 모습입니다. 한편, 서울시는 배수 작업과 임시 복구가 끝나면 5월 11일경 임시 개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3. 1998년 5월 4일 - 7호선 침수로 인한 동북권의 교통지옥 그간 대중교통 음영지였던 서울 동북권을 관통하던 7호선이 불통되자 중랑, 노원 등 서울 동북부 일대에서는 극심한 교통 혼잡이 빚어졌습니다. 서울시는 7호선 구간의 대체운송버스를 운행하였지만 지하철 수요를 모두 수용하기엔 역부족이었고 이로 인해 차량 통행량 증가로 동일로와 동부간선도로 등 동북권의 주요 간선도로가 교통체증에 시달렸으며 미처 도로 교통을 이용하지 못한 시민들이 국철(1호선)과 4호선으로 몰려들어 이들 노선에서도 극심한 혼잡이 이어져 서울 동북권 일대의 교통 상황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으로 변했습니다. 4. 1998년 5월 7일 - 침수된 7호선, 졸속 운행 논란 서울시는 배수가 끝나고 급전이 이뤄지게 된다면 수동운전을 통해 열차 운행이 가능하다면서 11일부터 임시로 영업운전을 재개하고자 했습니다. 당시 동북권 일대에서 벌어진 교통 혼란을 감안하면 운행 재개를 검토하는 서울시의 입장은 공감이 되지만, 해당 기사가 보도된 5월 7일까지도 태릉입구역을 비롯한 3개 역은 여전히 침수된 상태였습니다. 침수 여파가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영업운전을 강행할 시 누전 등에 의한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배수 작업이 끝난 중계역입니다. 하지만 당장 영업운전을 재개하기엔 어려워 보입니다. 또 다른 역은 여전히 역사 내부가 침수되어 있습니다. (태릉입구역으로 추정됨) 게다가, 통신선 복구에는 최소 15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론적으로는 급전만 이뤄져도 열차 운행이 가능하지만, 유사시 열차와 사령실 간의 통신 두절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습니다. 5. 1998년 5월 8일 - 침수됐던 7호선 배수 작업 완료 밤낮없는 배수 작업이 이어진 끝에 침수가 가장 심각했던 태릉입구역까지 배수가 완료되며 7호선의 침수 상황은 끝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선로에는 잔해 더미가 널부러져 있어 당장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서울시는 8일 밤까지 본선 선로 및 역사 내부의 청소 작업을 끝마치고, 9일에 안전검사 및 시험급전을 시행한 뒤, 10일에는 시험운전을 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6. 1998년 5월 10일 - 시운전 중 문제 발견, 임시운행 연기 시험운전 도중 선로 내 누수가 지속되면서 운행재개 연기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마들역에 들어오는 건대입구행 시운전 열차 교행하는 시운전 열차와 복구 작업이 한창인 면목역 시운전 열차와 태릉입구역(마들역은 자막 오류) 침수가 가장 심각했던 역답게 여전히 누수가 이어지는 모습 군자역의 시운전 열차입니다. 침수 구간이 아니었던 군자역은 상대적으로 멀쩡한 모습입니다. 만약 침수가 사가정역을 넘어 군자역까지 불어닥쳤다면 5호선 환승통로로 물이 유입되어 사태가 더욱 커질 수도 있었습니다. 7. 1998년 5월 11일 - 7호선 운행재개…아직 복구할 곳 많아 윗 단락에서 개통 연기 결정이 내려졌다고 했는데 갑자기 개통되었다고 하니 무슨 상황인가 싶을 겁니다. 날짜가 미뤄진 건 아니고 당초에는 5월 11일 첫차부터 운행재개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던 것을 추가 복구 후에 11일 오후 5시부터 운행하는 것으로 미룬 겁니다. 무전 관제+수동운전 및 복구 작업의 이유로 15분 간격에 오후 10시까지만 운행하는 방식이었지만, 그럼에도 열차 내부가 7호선의 운행 재개를 반기는 시민들로 들어찬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운행 재개된 태릉입구역입니다. 역사 곳곳에서 여전히 누수가 일어나고 있어 주의 안내문이 붙어있고 설비 복구가 완료되지 않아 안내방송과 전광판이 먹통이고 에스컬레이터 또한 작동하지 않고 있어 아직 불편이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8. 1998년 5월 12일 - 완전복구엔 9개월…480억 원 필요 영업운전이 재개되었지만 아직 갈 길은 멀었습니다. 시설물 완전 복구에는 약 9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고 총 48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청구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상봉변전소의 침수로 변전소 설비가 모조리 침수되었던 것이 화근이었습니다. 3번 사진은 무선시스템 불통으로 기관사 외 승무원이 동승하여 무전 관제를 통해 기관사가 수동운전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9. 그 이후 1998년 6월 17일 부로 ATC(열차자동제어장치)신호 복구가 완료되어 배차간격이 10분으로 단축되었고, 8월 3일에는 운행 시간이 자정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9월 16일에 다시 한 번 배차간격이 7분으로 단축, 해를 넘긴 1999년 1월 4일 부로 상봉변전소 복구가 완료되면서 드디어 지하철 7호선이 침수 이전으로 원상복귀되었습니다. 10. 한편…수난(水難)의 7호선 지하철 7호선은 이후에도 여러가지로 물에 의한 피해를 겪었습니다. 태릉입구역 침수의 여파가 가시지 않았던 1998년 8월 6일, 또다시 경기 북부를 중심으로 수도권에 집중호우가 쏟아져 중랑천이 범람하면서 도봉산역이 침수되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당시 중랑천 상류 의정부시 강수량이 440mm) 태릉입구역에도 다시 선로로 물이 유입되면서 7호선의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고, 다행히 5월 사고와 같은 전면 침수는 아니었기에 8월 9일부터 운행이 재개되었습니다. 또한, 2001년 7월 15일에는 집중호우로 반포천이 범람하여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되면서 17일까지 강남구청~고속터미널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는 일도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지하철 자체의 문제보다 당시 고속터미널역과 연결되어 있던 센트럴시티 지하2층 주차장이 침수되며 반포천의 물이 이곳을 통해 역사로 유입된 것이 화근이었습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71691 원 글은 예전에 제가 다른 갤에 썼던 글인데, 요즘 글 쓸 게 없나 하다가 적당히 가공해서 다시 쓴 거에요.
작성자 : 크로켓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