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어제 나온 생활의 달인 근황.jpg ㅇㅇ
- 종묘앞 145m 초고층 빌딩 왕릉뷰 재현되나 더민갤유저
- 젊었을 때부터...건강 신경써야하는 이유 ㄹㅇ...jpg Adidas
- 간사이 라이더/드라이버 카페 - UK와일드캣츠 카페 ErikA
- 문재인, 탁현민과 유튜브 방송한다 엄마부대
- 9급 공시생 다큐에 출연했던 청년들 근황.jpg ㅇㅇ
- 역사상 최악의 오심 오브레보사건 gif ㅇㅇ
- 지최대 탈락작 1화_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푸른광염
- 기회를 주세요 디빅
- 싱글벙글 노인특별시? 청년인구 급감중인 서울 근황 ㄷㄷ.JPG ㅇㅇ
- 지금 필요한 건, '그날 왜 이태원에 갔냐'가 아닌 느슨한 연대 묘냥이
- 싱글벙글 판문점 총격당시 k9조종수 썰 ㅇㅇ
- 신라가 세계 1등이었던 것.jpg 네거티장애
- 판매시작 세계최초 가정용 휴머노이드 ㅇㅇ
- 멸치인간 식습관 패턴 만화 호의
슈퍼레이스 최종전 보고옴
[시리즈] 모터스포츠 · 현대 N 페스티벌 · 현대N페스티벌-영암 ·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컵-1 ·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컵-2 · 오토살롱-1 · 오토살롱-2 · 삼성화재 자동차박물관 · 피치스 도원 · 최근에갔다온 모터스포츠 관련 갈만한곳 (몇개안됨) · 현대 N X 도요타 가주레이싱 페스티벌-1 · 현대N X 도요타 가주레이싱 페스티벌 - 2 · 쓱데이 모빌리티쇼 · 슈퍼레이스 최종전 · BMW 드라이빙센터 · 벤츠 잔뜩 타고옴 · 넥센타이어 스피드웨이 모터 페스티벌 · 아이오닉 6N 보고옴 · 슈퍼레이스 4라운드 나이트레이스 다녀옴 · 다이코쿠 PA · WEC FUJI 2025 - 1 · WEC FUJI 2025 - 2 · 피치스 쇼런 · TCR ASIA 사진들 · TCR WORLD 도요타에서 골드티켓줘서 보러갔다왔다 작년에도 최종전 도요타덕분에 다녀왔었는데 가주레이싱 화이팅 문제는 망원렌즈 안챙겨서 사진이얼마없음 2470으로 몸비틀고 왔다 몇번 이야기나왔던 레이싱 예능 차 가져다놨더라 좀 긍정적으로 보였음 사실 대한민국 레이싱 어쩌고에서 한차에 대기업 스폰서 5개씩 달려있는거 보기힘들잖아..그거랑 별개로 밸런스 어케 맞춤? 카마로랑 c63 싹털하고 집어넣으면 답안나오는거아니냐 볼가스 찌찌쓰리 후지 가서 렉서스 GT3 앉아봤는데 이번에 앉아볼수있는거 당첨되진 않아서 아쉬웠다...알핀과 M들 진짜 F바디 M2는 GOAT맞다 오늘 보러온 목적 GT4들 M4GT4 달리는거 보러왔는데 소리는 수프라가 더 좋았던 AMG GT / M4 M4 파나텍 림 휠하고 호환된다던데 이거진잔가용 아무튼 스무스하게 보고 즐기고 있었는데 국내레이스에서 싱크로맞춰서 돌아버리는거 0열직관함 중간까지 자연스러워서 눈치채지도못했다 그뒤로는 M클래스까지 쭉 보다가 나왔음 지바디 무쌩겨서 우우 그래도 날 어두워져서 브레이크 씨뻘개지는건 볼만했던 올해 N페스티벌 용인을 끝으로 이제 내년까지 레이스 없을거같은데 좀 슬프다... 내년엔 스즈카 후지 상하이 갈거같은데 카메라 새걸로 장만해야할듯
작성자 : 마일드세븐FK고정닉
올해만 벌써 1조 넘게 팔렸다…불닭 이어 '대표 주자' 등극.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요새 한국 김이 잘 나가나 보네요?올해 3분기까지 김 수출이 8억 8천233만 달러로 우리 돈으로 약 1조 2천500억 원에 달하는데요.지난해보다 14% 늘었고 10년 전보다 4배 이상 많습니다.어디로 많이 수출됐나 보면, 일본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미국, 중국, 태국 순입니다.특히 중국으로의 수출은 작년보다 40% 이상 급증했습니다.일본과 미국도 각각 18%, 14% 증가했습니다.김 수출이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한 건 K-푸드 열풍과 함께 김밥, 김스낵 같은 제품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으면서부터입니다.10년 전, 2015년 3분기까지만 해도 2억 2천만 달러 수준이었는데 이제는 4배가 됐습니다.올해는 처음으로 연간 1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조 4천억 원 돌파가 유력합니다.작년에는 9억 9천700만 달러로 아깝게 넘지 못했지만, 올해는 이미 그 속도를 앞질렀습니다.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15% 시행 등 부담 요인은 있지만, 현지 소비 위축이 크지 않다면 '10억 달러 시대' 진입은 무난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그런데 해외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 김을 김이라고 안 불렀어요?맞습니다. 지금까지 세계 시장에서 김은 일본식 '노리'나 '씨위드'로 불리고 있었는데요. 그 대신 이제는 영어로 GIM, 'GIM'으로 표기하는 국제 표준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정부는 한국산 김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명칭을 'GIM'으로 바꾸는 국제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이 계획은 작년 10월 '김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의 하나로 발표됐고, 올해 8월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와 세계보건기구가 공동 설립한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즉 코덱스(CODEX)에 공식 제안서가 제출됐습니다.9월에는 코덱스 산하 아시아 지역조정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최종 제안서가 상정됐고, 이번 달 중 본회의에서 작업 개시 여부가 결정됩니다.승인이 나면 한국은 앞으로 6, 7년 동안 김의 성분 안정성과 규격, 표시 기준을 마련하는 국제표준화 작업을 주도하게 됩니다.이 표준화가 완성되면 전 세계 마트 김 포장에 GIM, 'GIM'이라는 명칭과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고, 한국이 김의 품질 기준을 정하는 나라로 공식 인정받게 되는 겁니다.정부는 이를 통해서 유럽처럼 까다로운 시장에서도 김 수출이 확대되고, 일본식 명칭 대신 한국 브랜드로 자리 잡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높아진 한국 김의 위상, 그래서 어느 정도라는 겁니까?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김의 60.2%가 한국산인데요.그러니까 세계 김 10장 중 6장이 바로 한국에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은 이제 단순한 반찬이 아니라 우리 식품 산업의 주력 수출 품목이 됐습니다.수출 규모만 봐도 김은 이미 한우나 한돈보다 큽니다.'김'이 '불닭라면'에 이어서 K-푸드를 대표하는 새로운 주인공이 된 겁니다.이번 국제표준화 추진은 단순히 수출량을 늘리는 걸 넘어서 '김의 이름과 기준'을 한국이 직접 세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노리' 대신 'GIM'이 공식 명칭이 되면 전 세계 어디서든 'GIM' 명칭과 기준이 글로벌 레퍼런스로 통일돼서 그 자체가 품질 인증이 됩니다.여기에 김 산업 구조도 달라지고 있습니다.이제는 단순히 마른김만 수출하는 게 아니라, 양념 김, 냉동 김밥, 가정간편식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새로운 성장 축이 되고 있습니다.정부는 이런 변화에 맞춰서 스마트공장 도입과 품질관리 강화 등으로 김 산업의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는데요.미국의 15% 관세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수요 확대가 그 영향을 충분히 흡수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결국 이번 흐름은 김이 단순한 밥 반찬을 넘어서 '한국이 만든 세계 식품 기준'으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