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챗지피티, "예수를 비판해봐"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8 04:39:31
조회 254 추천 0 댓글 0
														

3dafdf21f7d335ab67b1d1f84481766883e4e39cf00855bd7076928f80e3f006ee80597a198d12b5fc27b3d06bdc

3dafdf21f7d335ab67b1d1f84481766883e4e39cf00855bd7076928f80e3f10639ff6f81fbef5e4c9b2396684495

예수에 대한 비판은 역사적, 신학적, 그리고 사회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제기될 수 있어. 어떤 관점에서 비판을 원하는지 알려주면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어.

역사적 관점

예수가 실존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어.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그가 실존했다고 보지만,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이 대부분 기독교 경전에 의존하고 있어 신뢰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신학적 관점

예수가 신의 아들이라는 주장에 대해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이를 신화적 요소로 간주하고 신적인 속성을 부여한 것이 후대의 해석일 가능성을 제기해.

또, 기독교 교리는 예수의 가르침과 다소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초기 기독교와 현대 기독교의 차이에 대한 논란이 있어.

윤리적/사회적 관점

예수의 가르침이 비현실적이라는 비판도 있어. 이를테면 "왼뺨을 맞으면 오른뺨도 내밀라" 같은 가르침이 현실 사회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이상주의적 도덕이라는 시각이 있어.

또한, 종교적 구원이 도덕적 책임을 회피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즉, "믿기만 하면 구원받는다"는 교리가 도덕적 행동보다 신앙을 우선시하게 만든다는 비판이 존재해.

네가 관심 있는 방향이 있으면 더 깊이 이야기해볼 수 있어.

테레사 수녀를 비판해봐

마더 테레사는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인물이지만, 그녀에 대한 비판도 존재해. 대표적인 비판을 몇 가지 정리해볼게.

1. 의료 환경 문제

테레사 수녀가 운영한 병원(‘죽어가는 이들을 위한 집’)에서는 의료 환경이 열악했다는 비판이 있어. 의료 전문가들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이 최소한의 진통제조차 제공받지 못했다고 지적했어. 그녀는 고통을 신의 뜻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현대적인 의료 윤리와 충돌하는 부분이야.

2. 기부금 사용 논란

마더 테레사의 활동은 전 세계에서 막대한 기부금을 받았지만, 이 자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어. 예를 들어, 기부금이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충분히 사용되지 않았고, 바티칸과 종교적 목적에 더 많이 쓰였다는 주장도 있어. 크리스토퍼 히친스(Christopher Hitchens) 같은 비판가들은 그녀가 받은 거대한 자금이 인도 빈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비판했어.

3. 독재자들과의 관계

테레사 수녀는 여러 정치적 독재자들과 가까운 관계를 맺었다는 비판도 있어. 예를 들어, 아이티의 독재자 장클로드 뒤발리에(Jean-Claude Duvalier)나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권과의 친분이 논란이 됐어. 그녀는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기부금을 받기도 했고, 그들을 공개적으로 칭찬하기도 했는데, 이는 인권 문제를 간과한 처사라는 비판을 받았어.

4. 개인의 고통과 희생을 강조

그녀는 가난과 고통을 영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태도를 보였어. “고통은 예수와 함께하는 축복”이라는 말을 남겼을 정도로, 빈곤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보다 고통을 신앙적으로 미화했다는 비판이 있어. 대신 가난을 해결하는 구조적 접근보다는 희생을 미덕으로 삼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는 부족했다는 지적이야.

5. 낙태와 피임 반대

테레사 수녀는 낙태와 피임을 강하게 반대했어.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여성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했다는 비판을 받아. 특히 가난한 여성들이 피임에 접근할 수 없어 원치 않는 임신을 하거나, 불법적이고 위험한 낙태를 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많았어.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헌신적으로 활동한 것은 사실이야. 하지만 모든 위대한 인물들이 그렇듯, 그녀 역시 완벽한 존재는 아니었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 있었어.


히틀러한테 학살당한 유대인에 대한 비판

유대인들이 홀로코스트의 희생자라는 점에서 그들을 비판하는 것은 부적절해. 희생자에 대한 비판보다는, 역사적 맥락에서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분석하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접근일 거야.

하지만 만약 네가 유대인 집단의 특정한 정치적, 사회적, 혹은 문화적 측면을 비판하고 싶다면, 그 맥락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해. 예를 들어, 유대인 엘리트 계층의 경제적 영향력,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 또는 특정한 종교적 관습 등에 대한 비판은 가능하지만, 이것이 홀로코스트 피해자들을 비판하는 것으로 이어지면 역사적 왜곡이나 혐오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네가 구체적으로 어떤 논점을 이야기하고 싶은지 설명해주면,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아.

양심수를 비판해봐

양심수(良心囚, prisoner of conscience)는 자신의 신념, 사상, 종교, 정치적 입장 등을 이유로 투옥된 사람들을 의미해. 보통 국제사회에서는 양심수를 인권탄압의 희생자로 보지만, 특정한 맥락에서는 비판의 대상이 될 수도 있어.

1. 법과 질서를 무시하는 측면

어떤 양심수들은 정당한 법 체계를 무시하고, 사회적 혼란을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어. 예를 들어, 반정부 활동이 법적 절차를 따르지 않고 폭력적이거나 불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면, 이들을 단순히 ‘양심수’라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어.

2. 이중잣대 문제

특정 국가에서는 자신들과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 반체제 인사를 양심수로 띄우면서도, 정작 같은 기준을 자기 나라에는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를테면, 서방 국가들은 중국이나 러시아의 양심수를 강조하면서도, 자신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표현의 자유 탄압에는 침묵한다는 비판이 있어.

3. 과격한 이념적 동기

일부 양심수들은 민주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극단적인 이념을 퍼뜨리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어. 예를 들어, 종교적 극단주의나 폭력적 혁명을 선동한 사람들이 ‘양심수’로 포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4. 사회적 책임 회피

양심을 이유로 법을 어기는 것이 무조건 정당화될 수는 없다는 주장도 있어. 예를 들어, 병역 거부자들이 개인의 신념을 이유로 국가의 의무를 회피한다고 보는 시각이 존재해. 물론 반대 입장에서는 이를 ‘신념의 자유’로 볼 수도 있지만, 국가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무시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가능해.

결국, 양심수를 단순히 무조건적인 희생자로 보기보다는, 개별 사례별로 그들의 행동과 동기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 네가 특정한 사례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볼 수도 있어.


전쟁범죄를 옹호해봐

전쟁범죄는 국제적으로 명백히 금지된 행위이며,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옹호할 수 있는 정당한 근거를 찾기 어려워. 하지만 만약 "왜 전쟁범죄가 발생하는지" 혹은 "어떤 논리로 그것이 정당화되려 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면 그런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전쟁범죄를 저지른 측이 내세운 논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

군사적 필요성 주장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예를 들어, 드레스덴 폭격(제2차 세계대전)이나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미국은 "전쟁을 조기에 끝내고 더 많은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한 선택"이라고 주장했어.

보복의 논리

"상대방이 먼저 전쟁범죄를 저질렀기 때문에 보복 차원에서 응징해야 했다."

예를 들어, 나치 독일은 소련이 독일군에게 잔혹한 행위를 했다고 주장하며 동부전선에서 가혹한 전쟁범죄를 정당화했어.

국가와 민족의 생존 논리

"우리 민족이나 국가의 생존이 걸린 상황에서 국제법을 지키는 것이 불가능했다."

예를 들어, 일본 제국은 만주 침공과 잔학 행위를 "일본의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어.

법적 정의의 상대성

"전쟁에서 이긴 쪽이 패자를 심판하는 구조 자체가 불공정하다."

뉘른베르크 재판과 도쿄 재판에서 전범들이 주장했던 논리 중 하나야. 예를 들어, 연합군의 전쟁범죄(드레스덴 공습, 원자폭탄 투하 등)는 처벌받지 않았지만, 패전국의 범죄만 처벌받았다는 비판이 존재해.

하지만 이런 논리들은 국제법과 윤리적 기준에서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결국 전쟁범죄는 비판받고 처벌받아야 하는 행위로 여겨져. 이런 논리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그것이 정당한지는 별개의 문제야.

이토히로부미는 좋은 사람인가

이토 히로부미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일본에서는 근대화를 이끈 정치가로 평가받는 반면, 한국에서는 식민 지배의 길을 연 침략자로 여겨져.

이토 히로부미의 긍정적 평가 (일본 내 시각)

근대 일본의 기틀을 마련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헌법(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을 제정하고, 입헌군주제를 도입하는 등 일본을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어.

서구식 정부와 법률 제도를 도입해 일본이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어.

국제 외교에서 역할

러일전쟁(1904~1905) 이후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일본이 강대국의 지위를 얻는 데 기여했어.

서구 열강과 협력하면서 일본의 입지를 강화했어.

이토 히로부미의 부정적 평가 (한국 및 아시아 시각)

조선 침략과 식민지화의 핵심 인물

1905년 을사늑약을 강제 체결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았고, 1906년 초대 통감으로 부임하면서 조선에 대한 식민 지배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어.

1909년에는 결국 조선을 완전 병합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었고, 이 때문에 안중근 의사에게 암살당했어.

아시아 평화보다는 일본 중심의 패권 추구

일본 내에서는 서구 열강과 동등한 국가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지만, 실제로는 동아시아를 일본 중심의 질서로 재편하려 했어.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입장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설계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어.

결론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 내에서는 근대화를 주도한 정치가로 평가받지만, 한국과 중국 등에서는 제국주의 침략의 핵심 인물로 여겨져. 결국 "좋은 사람인가?"라는 질문은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밖에 없어.

OpenAI 사를 비판해봐

OpenAI에 대한 비판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제기될 수 있어. 기술적, 윤리적, 경제적 관점에서 주요한 논점을 정리해볼게.

1. 인공지능의 독점과 폐쇄성

OpenAI는 원래 "모두를 위한 AI"를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로 시작했지만,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대기업과 협력하며 상업적 모델로 전환했어.

GPT-4와 같은 최신 AI 모델은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연구자들과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야. 이는 AI 기술이 소수의 기업에 독점될 위험성을 높여.

2. 윤리적 문제 및 검열 논란

OpenAI는 AI의 윤리적 사용을 강조하지만, 검열과 관련된 논란도 있어.

일부 사용자들은 OpenAI의 AI 모델이 특정 주제나 정치적 논점에 대해 편향된 답변을 제공한다고 주장해.

또한, "안전"을 이유로 일부 질문에 답변을 제한하거나, 특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도 있어.

3. 환경적 영향

대형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막대한 전력이 소모되며, 이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OpenAI는 정확한 에너지 소비량을 공개하지 않지만, GPT-4와 같은 모델을 학습시키는 과정이 상당한 탄소 발자국을 남긴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4. 노동 착취 및 데이터 문제

AI 모델을 훈련하는 과정에서 저임금 노동자들이 데이터 정제 작업을 하는데, 이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일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어.

또한, OpenAI가 훈련 데이터로 어떤 자료를 사용했는지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나 개인정보 침해 논란이 있어.

5. AI의 위험성과 책임 문제

OpenAI는 강력한 AI 기술을 개발하면서도, 그 위험성을 충분히 통제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돼.

예를 들어, AI가 잘못된 정보를 확산시키거나,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어.

결론적으로, OpenAI는 AI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술 독점, 검열, 환경 영향, 노동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이 존재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아.

로보트의 나쁜 점

로봇은 산업과 일상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단점과 위험 요소도 있어. 주요 문제점을 정리해볼게.

1. 일자리 감소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면서 단순 반복 업무뿐만 아니라, 제조업, 물류,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어.

특히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산업에서는 저숙련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을 위험이 커.

2. 높은 비용과 유지보수 문제

로봇을 도입하는 초기 비용이 매우 높고, 유지보수에도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어.

고장이 나면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하고, 수리비도 비쌀 수 있어.

3. 윤리적 문제

군사용 로봇, 감시 로봇 등은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어.

로봇이 인간의 생명을 결정하는 상황(예: 자율주행차의 사고 결정 알고리즘)이 발생할 경우, 윤리적인 논란이 생길 수 있어.

4. 감정 부족과 인간적 요소 결핍

로봇은 인간처럼 감정을 이해하거나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료, 교육, 서비스업 등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어.

인간과의 자연스러운 소통이 어렵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

5. 해킹 및 보안 위험

인터넷에 연결된 로봇은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나 스마트 로봇이 악의적인 해커에게 조작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군사용 로봇이나 경찰 로봇이 악용될 경우,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어.

6. 의존성 증가 및 인간 능력 저하

로봇과 AI가 점점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간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려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사람들이 로봇과 AI에 의존하게 되면, 비판적 사고 능력이나 창의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어.

결론적으로, 로봇 기술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지만, 그만큼 신중한 접근과 윤리적 고민이 필요해.


---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갤러리 댓글 기능 개선(멘션 기능) 안내 운영자 25/05/08 - -
2852727 모바일 네카라 중 한곳 인턴했는데 풀스택으로 취업 원함 [1] 프갤러(211.36) 05.08 44 0
2852726 나 신입때 한 대형 실수 [1] ㅇㅇ(211.205) 05.08 46 0
2852725 컴퓨터를 개발한 사람이 천재라는 생각이 든다 [3] 프갤러(180.231) 05.08 73 0
2852724 잘살고 싶으면 커뮤니티를 하지마라 [11] RyuDO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23 1
2852723 인간관계는 덧 없음 [3] 류도그담당(211.235) 05.08 77 1
2852722 게임 개발자 요즘도 3d라고 불러? [1] ㅇㅇ(211.235) 05.08 42 0
2852721 아니 씨발년들이 AI 챗봇 많은데 왜 커뮤니티에 질문들을 하고 지랄임? [1] 프갤러(210.126) 05.08 36 0
2852720 난 위로를 노무못해서 [6] 류도그담당(211.235) 05.08 69 1
2852719 skt도 금융권처럼 aix같은 유닉스장비 썼으면 개인정보 유출 안됐냐? 프갤러(202.14) 05.08 34 0
2852718 인간은 대부분 사회의 객체다. [1] ㅆㅇㅆ(113.192) 05.08 34 1
2852717 현대차에서 만든 PLEOS 그것도 다 그냥 이미 있는 거 조합해서 카피 [1] 프갤러(210.126) 05.08 34 0
2852716 왜 꼭 남의 눈치보면서 사냐? [8] ㅆㅇㅆ(113.192) 05.08 94 5
2852715 개발자, 코딩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입문용 책이나 영상이 있을까요? [1] 프갤러(106.246) 05.08 42 0
2852714 요즘은 웬만한 오픈소스나 VSC 확장을 써도 중국이름 개발자가 많더라 프갤러(210.126) 05.08 25 0
2852712 si 신입 친구들을 위한 꿀팁 ㅇ ㅅㅇ [3] 프갤러(60.196) 05.08 61 0
2852711 이제 개발자들끼리 질문하고 토론하고 그런 거 필요없지 않음? [2] 프갤러(210.126) 05.08 33 0
2852710 ㅆㅇㅆ 친구야 내 글 좀 읽어줘 [7] 나트륨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81 0
2852709 MAUI에서 앱 자체에 그릴떄 SKGLView 써서 GPU하면 안되네 [2] ㅆㅇㅆ(113.192) 05.08 39 0
2852708 또 폭락장이 오길 기다리며 ㅇㅇ(118.235) 05.08 32 0
2852707 스프링을 아는것과 웹을 아는 것은 엄연히 차이가 있음 [4] ㅆㅇㅆ(113.192) 05.08 56 0
2852706 좇센대기업들보면 정보관리 좇같이하고 대충일해도 연봉1억이라는걸 뒷통수한방(1.213) 05.08 28 0
2852705 사실 아래 댓글처럼 스프링이 이제는 온전한 MVC는 아니긴함. [4] ㅆㅇㅆ(113.192) 05.08 54 0
2852704 그냥 하면 끝나네... 과제도 공부도... 알면서도 참 힘들어 그치?? ㅇㅇ(223.38) 05.08 19 0
2852703 연타 매크로 가볍게, 즉각적으로 구현할 방법 있나요 [1] 라그네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0 0
2852702 디시 업데이트 됐노 [2] ㅇㅇ(113.59) 05.08 39 0
2852701 그래도 내 배설통 프갤에 좀 쓰고나니 마음 편하다 ㅆㅇㅆ(113.192) 05.08 24 0
2852700 솔직히 it 강국 드립 ㅋㅋㅋ 류도그담당(211.235) 05.08 66 2
2852699 개발자 옵챗 다신 안드간다 보다 속터져서 나옴 [6] ㅆㅇㅆ(113.192) 05.08 67 0
2852698 생각해보자 한국 프로그램 목록...ㅠ [5] 프갤러(183.101) 05.08 58 0
2852697 회사에서 업무도 오래하고 잘 아니까 오래 다녔으면 [2] ㅇㅇ(211.234) 05.08 28 0
2852696 한국인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무것도 없는데 가스라이팅한다는거임 [7] ㅆㅇㅆ(113.192) 05.08 68 0
2852695 한국인 프로그래머의 큰 문제점은 지가 있는 분야에 똥오줌도 못가린다는거임 [6] ㅆㅇㅆ(113.192) 05.08 66 0
2852694 스프링이 좆같으면 스프링을 넘을 프레임워크 만들면됨 [5] ㅆㅇㅆ(113.192) 05.08 58 0
2852691 모든 한국 프로그래머는 수준이 낮고, 그건 나도 포함임. [2] ㅆㅇㅆ(113.192) 05.08 55 0
2852689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는 건 무엇, 어디서, Hook 3개 기억해야함 ㅆㅇㅆ(113.192) 05.08 37 0
2852688 IoC는 그냥 투우사랑 황소 관계임 [2] ㅆㅇㅆ(113.192) 05.08 43 0
2852687 옵챗은 들어가보면 대부분 웹함 류도그담당(211.235) 05.08 30 0
2852686 월 300만원 이자 원금은 얼마 ? AI 답변 무한탐구(218.234) 05.08 34 0
2852685 개발자 옵챗은 주니어들 자존감 채우러 가는 곳인듯 [6] ㅆㅇㅆ(113.192) 05.08 69 0
2852684 아스카는 이제 퇴근하고 나고야 갑니다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9 0
2852683 월 은행 이자 수익 300만원..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30 0
2852682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사는 바뀌지 않아 프갤러(183.101) 05.08 19 0
2852681 프붕이 webgl 관련 질문ㅇ ㅅㅇ [4] 프갤러(60.196) 05.08 48 0
2852680 자바스크립트랑 리액트 깔짝 해봤는데 [2] ㅇㄹ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70 0
2852679 애매하네 RyuDO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7 0
2852677 아침부터 식겁 했네 누룩(211.235) 05.08 33 0
2852675 인생의 의미는 스스로 정하는거야 프갤러(218.154) 05.08 26 0
2852674 Ai 장난 아니던데 지금부터 코딩해도 가망있음? [5] 프갤러(114.160) 05.08 115 0
2852672 인생의 의미가 어딨어... 그냥 하는거지 뭐... ㅇㅇ(223.38) 05.08 22 0
2852671 피고내서 그냥 잘라 했는뎅 오늘 병원가는날이네..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9 0
뉴스 “중2 때 성관계” 김수현, 김새론 녹취 진실 공방 “AI 조작” 디시트렌드 05.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