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29 10:27:05
조회 1117 추천 0 댓글 0
[IT동아 차주경 기자] 지난 기사에서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성민 주임교수와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은 세계 각국 정부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조사했다. 자금의 직간접 지원과 세제·규제 특례, 기술·제품 연구 개발과 네트워킹 공간으로 쓸 스타트업 특구 조성, 해외 투자금과 인재 유치 정책 등이 골자다.

이어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나 정부 기관의 최신 스타트업 육성·지원 정책을 조사, 정리했다. 예비 창업자와 기업 대표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할 목적이다.

전라북도 - 대학교와 기관 힘 합쳐 콘텐츠, 탄소 등 특화 부문 육성에 총력

전라북도 정부 기관과 대학교는 힘을 합쳐 스타트업 창업과 육성을 지원하는 정책을 편다. 이 가운데 주목할 곳은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이다. 농생명과 바이오 부문 기술거래 전문 기관으로 기술이전과 사업화, 국내외 마케팅과 수출 지원, 농업과 기업간 연계강화 사업 등을 벌인다. 농수산식품 수출을 도울 해외 바이어 초청과 수출활성화 사업, 이 부문의 해외시장개척 지원 사업과 전통식품 마케팅 활성화도 연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의 활동도 두드러진다. 예비창업과 창업도약패키지를 운영하며 창업보육센터, 메이커스페이스 등 기반 시설도 제공한다. 탄소융복합산업의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며 전라북도 내 탄소소재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지원하는 임무도 맡았다. 탄소 제품을 사업화할 경우 시험 분석과 인증 지원, 국내외 마케팅 도움도 준다. 나아가 탄소 전문가를 양성할 세부 지원 사업도 마련했다.


출처 =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홈페이지



게임과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창업자를 돕는 것은 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의 몫이다. 콘텐츠의 교육과 발굴, 창작과 기업화, 판로 개척과 투자 유치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이 기관이 지원한다. 전라북도 내 음악 창작소와 웹툰 캠퍼스, 글로벌 게임센터와 콘텐츠코리아랩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는 덕분이다.

디지털 기술로 지역 산업 도약에 기여한다는 목표 아래,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다양한 스타트업 육성 지원 정책을 마련한다. 지역 특화 정보통신기술과 이를 활용할 인력, 시설을 집중 지원한다. 소프트웨어와 가상현실 전문가를 가르치고 디지털 전환으로 일자리를 만들며, 지역 특화나 서비스 부문의 디지털화도 주도한다.

‘전북테크노파크’는 지역 거점 중소·중견 기업을 단계별로 지원, 세계 수준의 기업으로 도약하도록 이끈다. 정보통신은 물론 농생명, 세계에서 겨룰 만한 기술과 상품을 가진 기업이면 어디든 이들의 지원 프로그램으로 도약을 노린다. 위기지역에 속한 기업, 유망한 수출 기술을 가진 기업, 디자인 혹은 연구 역량을 가진 기업도 이 곳의 도움을 받아 성장을 꾀한다. 청년 기술·디지털 창업 플랫폼을 운영하는 ‘캠틱종합기술원’도 탄소와 스마트팜, 로봇과 항공우주, 드론과 스마트 공장 등 미래 기술의 인재를 집중 육성 중이다.

제주도 - 지역 특화와 융합 산업으로 고도 성장 이끈다

제주특별자치도 정부 기관과 대학교는 다양한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제주도 창업지원사업은 중소기업과 아이디어 창업 지원, 제주의 자원을 활용한 창업과 미래형 농수축산업 창업을 각각 지원하는 내용이 많다. 여성과 청년을 위한 창업 프로그램, 스타트업 네트워킹과 창업 진작을 위한 스타트업 베이도 운영 중이다.

‘제주테크노파크’는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골자로 여러 지원 프로그램을 만든다. 용암해수산업화와 생물종다양성 연구, 바이오융합과 배터리 재활용, 화장품 원료 산업화와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등 제주도의 특성을 살린 산업 육성 프로그램이 많다. 스타트업 단계별 육성 지원과 기술 교류 센터, 서비스 융합 사업화와 R&D 지원 센터도 힘을 싣는다.


출처 = 제주테크노파크 홈페이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도 미래 신산업과 제주 고유의 산업을 융합, 제주형 지역혁신 사례를 적극 구축 중이다. 엄격히 선발한 입주 기업에게 풍부한 보육 지원과 투자 연계를 제공한 결과, 이 곳의 보육 스타트업들의 기업 가치는 1년 여만에 242% 늘었다. ‘제주청년창업사관학교’는 기술창업을 하려는 청년을 선발해 창업의 모든 단계를 지원한다. 졸업한 스타트업에게도 5년간 수출과 마케팅, 판로 지원과 세계 진출 지원을 한다.

정보통신기반 문화예술, 미래 관광 등 제주도의 특성을 살린 창업은 ‘제주혁신성장센터’가 돕는다. 블록체인과 캐릭터/애니메이션, 패션/라이브와 공유경제 스타트업도 이 곳의 도움을 받으면 성장 가능하다. ‘제주경제통상진흥원’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이들에게 자금과 정보, 인력과 교육 등을 제공한다.

‘서귀포스타트업베이’는 서귀포의 창업 중심지다. 스타트업의 단계별 육성, 성장 지원은 물론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과의 연계를 시도, 창조적 미션과 지속가능한 가치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그 밖에 제주대학교와 제주관광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등 대학교도 교내에 창업보육센터를 만들고 유망 스타트업과 예비 창업가의 성장을 돕는다.

조사 : 조정숙 (주)삼성플라텍 / 출처 : 각 기관

농림축산식품부 - 창업하기 좋은 농업, 풍부한 지원 육성 프로그램 마련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 이후 농업 기술을 진작하고 이를 다루는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여럿 마련했다. 2023년까지 청년농 3만 명을 육성하고 농업 스타트업 단지를 조성해 이 부문의 발전을 주도할 계획도 공개했다. 농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빅데이터 창업 경진대회, 농식품 기업의 성장을 도울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사업과 인턴 제도도 운영한다. 전통주와 전통식품 기술 지원, 국가 식품 클러스터도 이 계획에 힘을 더한다.

농업 펀드를 만들어 농산업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탄소중립 스타트업을 지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어 스마트 농업, 그린 바이오 등 세계 농산업 기술을 연구 개발할 모태펀드를 만들었다. 푸드테크도 이들이 눈여겨보는 분야로 거액의 예산을 책정, 육성할 계획이다.


출처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스타트업 지원 육성 프로그램의 실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농업과 농식품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도시농업, 치유농업과 그린 바이오 등 차세대 농산업 기술 연구 개발과 육성이라는 임무를 맡았다. 농업법인에서 스타트업까지 폭넓은 기업 지원 정책을 펴며 농업 전문 VC를 양성해 자금 유동성까지 확보했다.

농식품 기술사업화, 벤처 창업을 돕는 공모전은 농산업 스타트업의 등용문으로 자리 잡았다. 아이디어 구현과 창업에서부터 성장, 후속 투자와 해외 진출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한다. 농생명자원 분석과 스마트 농업 실용화 지원으로 정보통신기술과 농산업의 융합 및 상승 효과도 낸다. 유망한 농산업 스타트업의 기술 발굴과 이전, 특허 출원을 도와 농업의 기본기를 튼튼하게 다지는 것도 이들의 역할이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그 밖에도 ▲농산업 스타트업의 역량을 강화할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농식품 기업 해외진출·지사 설립 지원 ▲스마트팜 패키지 수출 활성화 ▲농기계와 정보통신기술의 신뢰 평가와 테스트 환경 지원 ▲농식품 기술평가 지원 ▲농산업 VC와의 투자 연계 ▲농산업 스타트업 공모전인 A 벤처스와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 등 풍부한 지원 정책을 운영한다.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가르치는 김성민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주임교수.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은 우리나라와 창업 선진국의 지원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가장 알맞은 창업 지원 정책을 발굴해 정부에 제언한다. 중소벤처기업 맞춤형 자금확보 로드맵 설계도 다룬다. 이를 토대로 창업자들의 실패를 최소화하고 정부 정책을 적재적소에 추천하는 창업 전문가를 육성하는 과목이다. 나아가 스타트업 성장 단계에 따라 창업·금융·인력·기술·R&D·판로·수출지원 등 정책자금 확보를 위한 실전 전략과 출구(EXIT)전략인 IPO, M&A 노하우도 전수한다. 국책과제 심사위원, 스타트업 CEO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실전 위주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 스타트업의 자금 확보 실전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이슈 [디시人터뷰] 모델에서 배우로, 떠오르는 스타 이수현 운영자 25/02/21 - -
2222 [스케일업] 본투비 [2] “그림 작가와 손 잡고 새로운 시장으로 도전한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644 0
2221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6.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12 0
2220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바이옴에이츠 “미생물 복합 균주 의약품의 리더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12 0
2219 [IT애정남] 70만원대 이하의 업무용 소형 노트북 추천해 주세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2043 0
2218 미중 패권 싸움 휘말린 틱톡…'회사 팔거나, 사업 접거나' [3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2626 14
2217 계묘년 새해...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47 0
2216 [주간투자동향] 온더룩, 7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24 0
2215 밝아온 2023년, 올해 바뀌거나 시작하는 IT 제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3478 1
2214 [먹거리+IT] 이티튜드, “걱정 없이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찾았습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224 0
2213 [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허브', 다양한 모빌리티간 연계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57 0
2212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를 모아서 본다, '금융상품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5 0
2211 어플러드 “사과와 함께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제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49 0
2210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2] “타겟에 맞춘 채널에, 신뢰성 있는 콘텐츠로 접근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55 0
2209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왜 발생할까?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5753 3
2208 [스타트업-ing] 바다드림이 보낸 제주도의 1년, “여전히 도전 중인 산지와의 연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30 0
2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T 스타트업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44 0
2206 [먹거리+IT] 마스플래닛 전창호 대표, “쿠클리는 고객과 대화하는 식품 브랜드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1 0
2205 도약 거듭한 2022년 IoT 시장, 내년부터 판 더 커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80 0
2204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2022 메이커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개관식’ 및 ‘성과 공유페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8 0
2203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0. '루나/테라 사태' 정확히 이해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2 0
2202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3 0
2201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8 0
2200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7 0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17 0
2198 [IT강의실] 코로나 진단용으로 주목받은 바이오센서, 이젠 수산물 배달 서비스에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94 0
2197 앱과 게임으로 암·당뇨·ADHD·트라우마 치료한다... 디지털 치료제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88 0
2196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농산업 기업 스케일업 지름길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83 0
2195 전자레인지와 스마트폰의 전자파, 정말로 암을 유발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95 0
2194 [농업+IT=스마트팜] 1. 스마트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55 0
2193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1] 서울특별시·충청남도·경기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088 0
2192 [먹거리+IT] 오늘맑음 장수문 대표, “물만 부으면 김치양념을 만들 수 있는 블록을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81 0
2191 [리뷰] PC방에서 대환영? 완전방수 광축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W101P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18 0
2190 콘텐츠 PD도, 마케터도, 개발자도 날개 달았다…라이브커머스 스타트업 ‘모비두’의 HP 비즈니스 노트북 사용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85 0
2189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3. 게임으로 열 수 있는 자녀들의 미래와 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87 0
2188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9. 블록체인(코인) 생태계와 디파이(DeF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88 0
2187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시프트바이오 “엑소좀 플랫폼, 희귀 난치병 치료의 열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90 0
2186 [주간투자동향] 피유엠피,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51 0
2185 [먹거리+IT] 로맨시브 이수현 대표, “코자아, 당신의 내일을 위한 오늘의 숙면을 드립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09 0
2184 갑작스런 환율변동에 '속수무책'인 중소기업...적극적으로 환헤지 나서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04 0
2183 [리뷰] 16인치 WQXGA 해상도 휴대용 모니터, 카멜 포터블 프리즘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3527 1
2182 [스케일업] 누비랩 [1] “푸드 데이터를 활용해, 친환경 키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25 0
2181 영상/음향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스위치, 넷기어 AV 라인 M4250 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33 0
2180 [농업이 IT(잇)다] 9단 수직 재배판으로 생산성 향상…파종부터 재배까지 자동화 꿈꾸는 ‘울트라파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21 0
2179 [스타트업 리뷰] IT장비의 사고를 AI로 예방한다, 인포플라 아이톰스의 장비헬스체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24 0
2178 [스케일업] 엣지케어 [3] 전문가 제언 “IR, 지속적인 만남을 두려워 하지 말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12 0
2177 [IT애정남] 오래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어떻게 찾고 설치하나요?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3050 3
2176 [스케일업] 펫나우 [1] 반려동물 등록제 혁신, 세계 시장·문화 선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25 0
2175 [기고] 미술품 투자시장의 확장: 가치평가의 신뢰성 확립이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10 0
2174 국립현대미술관 수놓은 IT기술…’라이다로 포착한 움직임과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23 0
2173 [리뷰] 미래 성능 지금 누리는 워크스테이션, 델 프리시전 7865 타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32 0
뉴스 ‘전참시’ 한해X문세윤, 확신의 발라드 듀오 탄생? 듀엣곡 ‘가르쳐줘’ 라이브 클립 촬영 현장 공개!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