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독일·스웨덴·영국·프랑스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08 17:06:15
조회 196 추천 0 댓글 0
[IT동아 차주경 기자] 세계 각국 정부는 여러 가지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편다. 자금 직간접 지원과 세제·규제 특례, 기술·제품 연구 개발과 네트워킹 공간으로 쓸 스타트업 특구 조성, 해외 투자금과 인재 유치 정책 등이 골자다.

세계 각국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의 내용은 대개 비슷하지만, 나라별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지원 정책도 있다.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성민 주임교수,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은 세계 각국의 최신 스타트업 육성·지원 정책을 조사, 정리했다. 이 가운데 해외의 정책 가운데 우리나라에 도입할 만한 것을 찾아 제언할 목적이다.

독일 - 베를린 중심으로 풍부한 자금 지원, 창업보육센터도 활약

독일은 시장조사기업 스타트업블링크가 선정한 ‘유럽에서 스타트업에 가장 적합한 생태계’를 가진 국가다. 독일 정부는 200억 유로(약 27조 7,600억 원)를 투자해 이 기조를 강화한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이 세계를 휩쓸자, 독일 정부는 어려움에 빠진 스타트업을 도울 지원금 120억 유로(약 16조 6,510억 원)를 편성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스타트업이 경제 발전을 이끌 것이라는 확신 덕분이다.

독일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유럽 회복 계획(ERP)’은 독일 개발은행이 펀드 하나당 5,000만 유로(약 700억 원)를 VC에 투자하도록 이끈다. 스타트업이 시리즈 C, D 이후의 투자금을 유치하도록 ‘독일미래기금’도 35억 유로(약 4조 8,580억 원) 규모로 만들었다.


독일 베를린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Berlin Startup Stipendium. 출처 = Berlin Startup Stipendium



독일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허브는 베를린이다. 최대 5만 유로(약 7,000만 원) 상당의 ‘창업 보너스’는 베를린 소재 영리 기업 설립자와 스타트업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독일의 유명 사회적 기업 슈퍼쿱(Super Coop)이 이 프로그램 덕분에 성장했다. 1만 5,000 유로(약 2,100만 원) 상당의 수공업자 대상 ‘마이스터 창업 보조금’도 돋보인다. 독일 장인 시험에 합격한 수공업자가 4년 이내 창업 시 받는 보조금이다. 수공업자가 새 일자리를 만들면 7,000유로(약 980만 원)를 더 보조한다.

독일 베를린은 혁신 스타트업의 지분을 사려는 개인 투자자를 도울 ‘인베스트 벤처캐피탈 보조금’, 학생과 연구자의 창업을 돕는 ‘EXIST 창업인 장학금’도 운영한다.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세우면 대학교가 인건비와 인프라,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베를린 스타트업 보조금’도 있다. 덕분에 독일 스타트업 투자금 유치 건수의 40%가 베를린에서 이뤄졌다.

독일 스타트업 지원을 맡은 기관 창업보육센터는 1983년부터 기업 부흥을 위해 힘썼다. 이어 1998년 독일 혁신기술창업센터협의회(ADT) 발족 후, 이를 중심으로 연구소와 기술이전 사무소, 금융 기관과 전문가들이 연합해 스타트업 지원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이들은 자금 지원을 기본으로 창업 기관과 단체를 한 몸처럼 운영, 국가 전체의 경쟁력으로 만들자는 목표를 공유한다.

조사 : 유상준 수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팀장 /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베를린 스타트업인큐베이터, IBB 비즈니스팀

스웨덴 - 창업 친화 정서, 스케일업 지원해 유니콘 선진국으로

무선 통신 앱 스카이프(Skype),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 배터리 개발 기업 노스볼트(Northvolt). 이들은 모두 스웨덴 스타트업이다. 스웨덴 창업 생태계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 ▲우수한 창업 지원 제도와 인프라 ▲스케일업과 투자 유치 특화 ▲전문 연구 인력을 앞세워 세계 혁신 리딩 ▲창업 친화적인 문화다.

스웨덴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단체도 창업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인프라를 구축한다. 대학교, 연구 기관과 금융권이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 지식재산권 보호 제도를 함께 만든다. 스웨덴에는 상속세와 부유세가 없다. 스톡옵션 급여세도 면제여서 창업하기 좋은 나라로 꼽힌다. 무상 의료와 교육 등 사회안전망도 함께 구축해 창업 실패 부담을 줄인다.


스웨덴 혁신청 VINNOVA 홈페이지. 출처 = 스웨덴 혁신청 VINNOVA



스타트업의 내실을 다지고 성장을 유도하는 스케일업 사업도 활발하다. VC 투자와 CV 협업 모두 활발하며, 이 덕분에 세계 각국의 투자금이 스웨덴으로 쇄도한다. 이 유동성으로 정보통신 시설과 인재를 육성한다. 스웨덴은 유럽에서 글로벌 혁신 지수 1위(2021년)에 올라선 나라다. 정보통신 접근성과 활용성, 대학교의 연구 능력과 교육 투자액, 고급 기술 인력의 비율과 영어 사용 인구 비율, R&D 지출과 신규 특허 출원 수 모두 수위를 기록한 결과다. 이는 자연스레 창업에 친화적인 정서, 문화로 이어진다.

스웨덴은 지금까지 유니콘 스타트업 35곳을 배출한, 인구 1인당 유니콘 스타트업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다. 그 중심에 스웨덴 혁신청 VINNOVA가 있다. 지역별 특화 클러스터에서는 지금도 제조와 바이오, 로봇과 식품산업 등 부문별 전문 지식을 연구하는 스타트업이 태어난다. 스타트업간 인수합병과 기업공개도 활발하다. 2022년 1월~2022년 10월까지 스웨덴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액은 43억 유로, 약 6조 원에 달한다.

조사 : 이정민 (주) 라비돌 / 출처 : Kotra, World Economic Forum

영국 - 혁신 기술에 풍부한 금융 자금 더해 스케일업에 집중

영국 스타트업의 중심은 런던이다. 나아가 런던은 5,900여 개의 스타트업이 활동 중인, 유럽 기술의 수도로도 불린다. 세계 금융 센터로 불릴 만큼 자금 운용 규모가 큰 이 곳에 예비 창업자와 기술자들이 모이면서 자연스레 스타트업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2017년 기준, 런던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 금액은 총 24억 5,000만 파운드(약 3조 8,000억 원)에 달한다.

스타트업 문화는 런던 외 다른 영국 도시에도 긍정 효과를 끼쳤다. 도시마다 각기 다른 유형의 스타트업이 발전한 것도 눈에 띈다. 캠브리지는 인공지능, 브라이턴은 창조 산업을 주로 다룬다. 맨체스터에는 하드웨어 스타트업이, 글래스고에는 컴퓨터 사이언스와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많다. 뉴캐슬과 리버풀 등 영국 주요 도시에서도 각각 디지털 콘텐츠와 5G·VR 스타트업들이 활동 중이다.


영국 테크 네이션 홈페이지. 출처 = 테크 네이션



이는 영국의 창업 클러스터 육성 정책 ‘테크 네이션’과 연관이 있다. 미국 실리콘 밸리 조성을 목표로 2010년 이 정책을 마련한 영국 정부는 2011년, 이를 고도화해 TCIO(Tech City Investment Organisation)을 세운다. 이 조직은 2014년 테크 시티 영국(Tech City UK)로 이름을 바꾸고, 바람직한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를 만들려 노력 중이다. 테크 네이션은 ▲창업 초기 네트워킹 프로그램 ▲창업 중기 업스케일 프로그램 ▲창업 마무리 퓨처 50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해외 우수 인력과 스타트업을 유인할 테크 네이션 비자도 운용한다.

영국 정부는 ‘소수의 리더급 스타트업이 성장하면 여러 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인식 하에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스케일업에 집중한다. 세계 최초로 스케일업 육성 전담 기관 ‘스케일업 인스티튜트(Scale Up Institute)’를 세워 2034년까지 일자리 15만 개, GDP 2,250억 파운드(약 359조 4,900억 원) 증대라는 목표를 세웠다.

스케일업 인스티튜트의 지원은 ▲40여 개의 멘토링 프로그램과 400만 파운드(약 64억 원)의 기금을 운용하는 ‘CEC(Carrers & Enterprise Company)’ ▲10개월간 경영 전문성을 강화할 코칭과 멘토링, 워크샵을 제공하는 ‘스케일업 리더스 아카데미’ ▲고성장 기업과 전문가, 투자자 사이 커뮤니티를 만들어 성장과 투자 유치를 돕는 ‘Elite Programme’ 등이 있다. 영국 BBB(British Business Bank)도 단계별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출처 : Kickstart Asia

프랑스 - 민간과 정부 힘 합쳐 대형 스타트업 지원 사업·공간 조성

프랑스 스타트업들은 2021년 투자금 115억 유로(약 16조 1,078억 원)를 확보했다. 벤처 투자 자본이 프랑스의 핀테크, SaaS 스타트업을 주목한 덕분이다. 스타트업 육성이 나라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주장 아래, 프랑스는 2017년 이후 여러 스타트업 지원 전략을 꾸렸다. 중추는 ‘La French Tech’다. 스타트업 선정과 지원은 물론 유망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선발 지원 프로그램 마련, 공동 펀드 조성과 해외 기업의 투자를 이끌 국제 행사 참여 보조금 정책을 이 기관이 만들어 운용 중이다.

2019년 만들어진 French Tech Next 40/120은 매년 120개 스타트업을 1차로 선정하고, 이 가운데에서도 매출 규모가 꾸준히 늘고 3년간 1억 유로(약 1,400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유지한 우수한 스타트업 40곳을 2차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프랑스 노동청과 관세청, 중앙은행 등 정부 부서 역시 이들을 전폭 지원한다.


French Tech Next 40/120 기업 명단과 홈페이지. 출처 = French Tech Next 40/120



스타트업의 성장을 이끄는 공간 ‘Station F’도 눈에 띈다. 2017년 문을 연 이 곳은 프랑스 주요 인터넷 기업 Free 그룹의 창시자가 2억 5,000만 유로(약 3,500억 원)를 들여 만들었다. 여기에 구글과 메타, 네이버 등 세계 정보통신 기업은 물론 프랑스 대학교와 투자자들도 힘을 보탰다. 여의도 공원 15개를 합친 것만큼 넓은 이 공간에 스타트업 1,000여 곳이 입주했다. 매년 600여 개의 스타트업 행사가 이뤄지는 Station F는 프랑스의 스마트 시티 계획을 이끄는 엔진 역할을 한다.

Station F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도 있다. ‘Lunch by Station’은 창업 시 필요한 도구를 무상 지원하고 비즈니스모델 선정, 상표와 홍보 전략 수립을 돕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Founders Program’은 초기 단계 스타트업 가운데 우수한 곳을 선정해 네트워킹과 워크샵, 멘토링으로 성장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어려운 환경에서 고군분투하는 스타트업과 대표를 돕는 ‘Fighters Program’, 여성 건강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하는 ‘Fem Tech Program’도 운영한다.

프랑스 정부는 경기 부양 정책, 미래 투자 프로젝트 등 대형 지원 사업을 꾸준히 펼 예정이다. 기업 활동을 진작할 세제 혜택, 해외 인재를 유치할 비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어서 프랑스에 진출하려는 우리나라 스타트업들이 참고할 만하다.

조사 : 조정숙 (주)삼성플라텍 / 출처 : 프랑스 경제부, EY France,KOTRA 파리 무역관(KOTRA&KOTRA),프랑스 경제부 사이트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가르치는 김성민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주임교수.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은 우리나라와 창업 선진국의 지원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가장 알맞은 창업 지원 정책을 발굴해 정부에 제언한다. 중소벤처기업 맞춤형 자금확보 로드맵 설계도 다룬다. 이를 토대로 창업자들의 실패를 최소화하고 정부 정책을 적재적소에 추천하는 창업 전문가를 육성하는 과목이다. 나아가 스타트업 성장 단계에 따라 창업·금융·인력·기술·R&D·판로·수출지원 등 정책자금 확보를 위한 실전 전략과 출구(EXIT)전략인 IPO, M&A 노하우도 전수한다. 국책과제 심사위원, 스타트업 CEO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실전 위주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 스타트업의 자금 확보 실전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1] “전자파, 방사선 차폐는 이제 현실 속 이야기입니다”▶ 초기 창업자의 동반자,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2)▶ [스케일업] 엘포박스 [1] 차세대 스마트 홈스쿨 ‘톡톡박스’의 차별화 콘텐츠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2016 올해의 농식품 혁신 주역들을 만나다…’2022 A-벤처스’ 시상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64 0
2015 [스케일업] 엣지케어 [1] “초음파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48 0
2014 ASML 피터 베닝크 CEO, "반도체 시장 앞으로 10년 간 두 배 성장"··· 한국에 2천400억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79 0
2013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3.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12 0
2012 [르포] '볼보' 토슬란다 생산 공장…"1,400대 로봇과 6,500명 작업자의 조화가 ‘핵심’"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420 2
2011 [2022 창구] 소셜인베스팅랩 "개미투자자 위한 주식정보는 쉬워야 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66 0
2010 "프리미엄 시장 잡아라" 中 스마트폰 기업 신제품 파상공세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796 2
2009 [스케일업] 푼타컴퍼니 [3] “식후경 속 고객 행동 데이터는 시식의 또 다른 가치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23 0
2008 [주간투자동향] 스픽이지랩스, 38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687 0
2007 AMD 4세대 에픽 프로세서 출시 관련 질의응답 정리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2 7388 10
2006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7) 채권과 ESG에 대한 핵심 질문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56 0
2005 [농업이 IT(잇)다] 그린 “중소/청년 농업인 정착을 위한 맞춤형 토털솔루션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49 0
2004 한국차양산업협회, 애니온넷과 MOA 체결 “IoT+차양, 진정한 융복합 산업으로 거듭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44 0
2003 [IT신상공개] 라이카 렌즈를 스마트폰으로 ‘라이츠 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65 0
2002 [스케일업] 카파바이오사이언스 [1] 신소재 합성 기술로 원료의약품 혁신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206 0
2001 AMD, 4세대 에픽 프로세서 공개··· '115조 서버 시장 놓고 경쟁'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160 6
200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5. 전자지갑의 이해와 사용 실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34 0
1999 [모빌리티 인사이트] 보다 안전한 세상을 만든다, 생명을 수호하는 '인간형 로봇'의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25 0
1998 스웨덴 볼보 ‘EX90’ 공개 현장…첨단 기술과 전동화에 담은 미래 청사진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846 0
1997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제품을 찾아서, 서울과기대 해커톤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35 0
1996 스마트한 교통 관리 체계의 완성, 해답은 클라우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35 0
1995 시놀로지, 데이터 관리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영역 넓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49 0
1994 [스타트업-ing] 주식회사 쉼 김희진 대표, “1인 창업가를 위한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87 0
1993 [스케일업] 코스모블라썸 [1] 비건 화장품 전도사, 무엇을 앞세울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44 0
1992 [월간 자동차] 지난 10월, 국산 신차 등록 증가…수입차·중고차는 감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988 1
1991 복잡한 건강검진 비교·예약...앱으로 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59 0
1990 마드라스체크 ‘flower 2022’ 개최… “K-일 문화의 좋은 협업툴 사례 공유하는 축제가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39 0
1989 [2022 창구] 피어코퍼레이션 “누구나 나만의 스토리 게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듭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31 0
1988 [고려대 스타트업 2022] 아이노클 “단일세포 유전체 멀티오믹스 분석, 의료·진단 혁신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27 0
1987 [기고] 비즈니스 자동화 전략이 실패하는 5가지 이유와 예방법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2864 1
1986 마드라스체크의 'flower 2022' 페스티벌, 혁신적인 협업툴 사례 공유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135 0
1985 자동차 외장 스크래치/흠집, 한번에 모아서 수리하면 좀더 저렴할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3619 4
독일·스웨덴·영국·프랑스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196 0
1983 [리뷰] 문턱 낮춘 넷기어 공유기, 오르비 RBR350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193 0
1982 [기고] 국내 미술시장 더 높이 날려면 ‘미술품 가치 평가 시스템 구축’에 힘 모아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148 0
1981 AMD, RDNA 3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RX 7900 시리즈 발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8 933 4
1980 [2022 창구] 엔돌핀커넥트 "많이 도전하고 제작 노하우 쌓아야 좋은 게임이 나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7 123 0
1978 스윗 이주환 대표 “OKR 도입으로 기업과 조직의 목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7 128 0
1977 샤오미·라이카 컨셉 스마트폰 12S 울트라, 혁신일까 실패일까?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7 2716 3
1976 거장과의 Q&A부터 멘토링, 네트워킹까지…콘진원 ‘콘텐츠인사이트’ 성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7 125 0
1975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1] “전자파, 방사선 차폐는 이제 현실 속 이야기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7 183 0
1973 [리뷰] 데스크톱에 견줄 성능의 미니 PC, 인텔 NUC 12 프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504 0
1972 신체 건강까지 위협하는 '스마트폰 중독', 이때만큼은 사용하지 말아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404 0
1971 [농업이 IT(잇)다] 송아지 폐사 막을 정밀 사육 솔루션 개발 기업 ‘바딧’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229 0
1970 초기 창업자의 동반자,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66 0
1969 [스케일업] 엘포박스 [1] 차세대 스마트 홈스쿨 ‘톡톡박스’의 차별화 콘텐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34 0
1968 [스케일업] 아시안푸드컨넥트 [3]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아이템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71 1
1967 어도비, 팬톤 색상 지원 중단 논란…"색상을 인질로 잡았다" [10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5272 55
1966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2. NFT 구매 전 알아 할 필수 지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66 1
1965 글로벌 농축산업 ‘탄소중립’ 활발…우리 농가는 ‘걸음마’ 단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142 0
뉴스 “누가 뭐래도 태민은 태민…변하지 않아”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