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애니-일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애니-일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경호처 '초유의 연판장' 사태… 김성훈에 반발 희망22
- "선생님 예뻐요" 초등생 한마디에 징계…도 넘은 교권 보호 논란 감돌
- 싱글벙글 나폴리탄 대학교 ㅇㅇ맨
- '부모 찬스' 의혹 3년 만에...선관위 늑장 대응 '도마 위' 마스널
- "자녀의 실패는 부모 책임"…아이 안 낳는 이유가 마스널
- 탄핵 찬성했다고 악플테러받고 공황장애 오신 안녕자두야 작가님 ㅇㅇ
- 덴마크 vs 한국 역사적위인 대결하면 누가이김?.jpg ㅇㅇ
- 관세빔 맞은 애플, 아이폰 걱정에 난리난 미국 근황.jpg ㅇㅇ
- 이재명, 대선 출마 공식 선언…“‘K이니셔티브’로 세계 선도할 것” 감돌
- 싱글벙글? 일본인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영상 와히라나고미
-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138 - 우체국 편 badassbilly
- 구글 Cloud Next '25 기조연설 요약 [250410] DNA
- 싱글벙글 일일 행운.manhwa 타원형플라톤
- 현직 스키야 알바의 충격 증언... 절대 日규동집 가지 마세요! 난징대파티
- 4월 10일 시황 우졍잉
에르메스백 아닌데 "짝퉁 아니다"…트렌드 뒤흔드는 '듀프' 뭐길래
안녕하세요. 오늘은 K뷰티 이야기네요 지난해 K뷰티의 업황이 굉장히 좋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트럼프 발 관세 전쟁의 영향이 K뷰티에는 뭔가 있지 않을까요?K뷰티가 반도체나 자동차 철강처럼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지난해 대미 화장품 수출 1위를 차지한 만큼 영향은 없을지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지금까지는 K뷰티 업계도 한미 FTA에 따라 무관세로 제품을 수출해 왔죠.K뷰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에서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는데요.1분기 수출액에서 미국이 전체의 17% 정도를 차지하는 만큼, 이번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수출 여파가 우려되고 있습니다.다만, 다른 산업에 비해 관세부과 기준인 매출 원가가 낮은 데다, K뷰티가 단순히 저렴한 가격만으로 승부하는 게 아니라서 상황이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관세는 우리만 적용하는 게 아니죠.한국 뷰티와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의 경우 더 많은 상호관세를 매기고요.또 미국 정부가 다음 달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 대한 '소액 면세제도'를 폐지하면서 K뷰티가 오히려 반사 이익을 볼 거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또 미국 현지에 생산 인프라를 갖춘 한국 OEM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는데요.화장품 브랜드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에 생산을 맡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관세의 영향은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군요. 그런데 이렇게 K뷰티가 성장하기까지는 중소기업 위주의 인디 브랜드의 성장이 또 뒷받침됐기 때문 아닌가요?맞습니다.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 품목 1위는 화장품이었습니다.전년 대비 27.7% 증가한 68억 달러, 약 10조 원 규모인데요.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 실적 가운데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이런 중소기업의 매출 성장을 이끈 건 역시 미국 시장이었습니다.미국 수출액이 46.5% 증가해서 우리 돈으로 2조 원으로 집계됐는데, 중국과 일본을 넘어섰습니다.관세 영향에서도 긍정적인 해석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국내 중소 뷰티업체들이 중고가 브랜드로 미국 현지에서 포지셔닝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가장 중요한 부분이 현재로서는 한국이 강세를 보이는 기초 화장품과 메이크업 제품군의 경우, 한국 제품 외의 마땅한 대체재가 없다는 점이거든요.물론 화장품 산업이 강한 유럽의 대미 상호관세율이 20%로 우리보다 유리하기는 하지만, 유럽 화장품은 비싸잖아요.또 미국제품은 해당 품목에 경쟁자가 없어 직접적인 경쟁 관계가 아니라는 이유에서입니다.그렇기 때문에 5천 원에 팔았던 제품이 7천 원이 된다고 해도, 우리 중소기업 인디브랜드 화장품의 경쟁력이 여전히 있다는 거죠.상대적으로 값은 싼데 성분은 더 좋을 수 있는 그런 것들이 K뷰티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이 때문에 화장품 소비에 있어서는 듀프 소비라는 게 뜨고 있다고요?지금 이 두 제품 보이시죠.언뜻 보면 화장품 용기의 크기와 모양 색깔도 비슷한데요.하나는 고가 명품 브랜드 제품이고 다른 하나는 국산 인디 브랜드 제품입니다.그런데 가격이 네다섯 배 차이가 납니다.이렇게 명품 브랜드 제품의 기능과 제형의 색, 그리고 향까지 모방한 제품이 많은데요.이런 걸 듀프제품라고 합니다.듀프는 복제품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Duplication'과 소비의 합성어인데요.단순히 로고만 베끼고 풀질은 떨어지는 '짝퉁' 제품이 아닌 명품 브랜드 상품과 디자인, 품질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더 저렴한 제품을 말합니다.특히, 요즘처럼 고물가에 듀프 소비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다른 예를 들자면, 수천만 원 에르메스 버킨백을 똑 닮은 10만 원대 미국 월마트의 월킨백이 있습니다. 비슷하게 생겼죠.바로 이렇게 값싸면서도 질 좋은 제품을 찾는 걸 듀프소비라고 하는데요.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듀프소비가 새로운 소비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어서입니다.한 미국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미국 젠지세대 응답자의 70%는 듀프소비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고 나타났습니다.이쯤 되면 "어? 저거 저작권법상 문제가 될 소지는 없는 건가?" 하실 수 있는데요.법적 단속 대상은 아닙니다.듀프제품처럼 디자인 유사성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하게 해석될 수 있어서인데요.그래서 현재 대부분 듀프 제품들은 아이디어와 스타일을 참고하되, 법적 문제가 되지 않도록 디자인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고 합니다.물론 저작권법 외에 디자인보호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등이 적용될 수 있어서 동일 디자인은 물론 실질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디자인도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1943년 10월 21일 일본 학도출진
NHK 제작, 영상의 세기 PREMIUM 제21부 - 태평양전쟁 · (전선)후방 또 하나의 전장 다큐멘터리 내용 중https://tv.naver.com/km193 KM193KM193tv.naver.com해당 링크에서 시청 가능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2722389114?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164): 학도출진으로 해군항공대에유야마 쇼조(1920년생, 해군 항공병) 학도출진: 1943년 12월 대학생이었던 유야마씨는 학도출진으로 사세보...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327201592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805): 게릴라에게 붙잡히다나루시마 료지(1922년생, 육군 포병) 학도출진: 1943년 나루시마씨는 학도출진에서 입대해 박격포부대에 배...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2724515825?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166.1): 특공에 지원한 게이오 대학생야나이 카즈오미(1922년생, 해군 특공대원) 학도출진으로 해군에: 1943년 12월 학도출진으로 오타케 해병단...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2879245920?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317): '귀국'의 폭풍 속에서오오무라 유타카(1925년생, 민간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조선에서 태어난 오오무라씨는 1941년 경성제국...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2703848095?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148): 죽음에서 도망칠 수 없는 병기니시무라 킨조(?년생, 해군 특공대원) 교관으로서: 1943년 학도출진으로 요코스카 해병단에 입단해 1944년 ...blog.naver.comhttps://blog.naver.com/pacificwar1941/222589161941?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본군 참전수기 - (34): 베일에 싸인 항모 시나노아라이 코지로(1922년생, 해군) 1941년 12월 8일 일미개전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러다...blog.naver.com학도출진으로 전쟁터에 내몰렸던 사람들의 NHK 인터뷰 번역글들은 링크 참조
작성자 : 투하체프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