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AFS 조이스틱 케이스 사용기(매우 스압)

퀵매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1.29 16:13:58
조회 38935 추천 156 댓글 122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73ac13825c88be8e11cfbe0


얼마전 3D프린터로 마이크로사이즈 히트박스를 만들어 테스트를 해봤고, 사용성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히트박스의 구매하기로 결정해 이리저리 둘러본 결과 총 세 가지의 구매루트가 있더라구요 :


1) 히트박스 오리지널 구매(199달러)

2) ISTmall(메이크스틱 미니 11.75만원 - PS4버전 구매시)

3) 옵시디언 등의 제품 구매 후 개조 의뢰(가격은 안드로메다)


이 세가지가 가장 대중적인 구매방법이고, 가장 저렴한 방법은 메이크스틱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메이크스틱의 플라스틱 소재는 제 취향이 아니기도하고(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저 저는 플라스틱보단 메탈소재를 선호 할 뿐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히트박스 오리지널을 구매하자니 가로로 쓸데없이 긴게 아닌가 싶기도한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해외 커스텀 케이스 제품에 눈을 돌렸습니다.

커스텀 케이스를 판매하는 판매자는 생각보다 꽤 다양합니다. 메탈 케이스로 가장 유명한 AllFightSticks, TRFightStick, 아크릴소재의 케이스를 판매하는 B15SDM 등등등.. 천조국 답게 다양한 제품들이 있습니다만, 저는 그 중 컨트롤 패널 교체가 가능한 AllFightSticks(이하 AFS)의 모듈러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사이즈에 있어서도 갤러분께서 이미 구매하신 제품인 9.5인치 사이즈부터 18인치까지 다양합니다.

저는 목업을 만들어 뽑아본 경험상 14인치가 적절하다 싶어 그걸로 선택했구요.

그리고 14인치 이하는 컨트롤 패널의 선택폭이 적습니다. 앞으로 나올지 아닐지는 모릅니다만, 히트박스 크로스업 레이아웃도 최소 이 사이즈부터 가능할 것 같구요.

14인치대에서 지원하는 레이아웃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03f935c5cea6a02b7136188


그리고 긴 시간 끝에 오늘에서야 받아볼 수 있었습니다.

무게때문에 직배로 보내면 배송비가 안드로메다인지라 배대지를 통했는데, 그것때문에 시일을 최소 3일이상 보냈네요.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03f94070cbf6d54b7097f88



겨우 손에 들어온 케이스. 저는 기본패널로 뷰릭스 8버튼 레이아웃과 히트박스 레이아웃을 구매했습니다.

꽤 괜찮아보이는 메탈소재이며, 마감 또한 매우 훌륭합니다. 모든 엣지부의 커팅이 완벽하며, 색도 균일하게 잘 칠해져 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3684c24c8f14b3bcd72d197


AFS모듈러 케이스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버튼을 고정하는 컨트롤 패널, 레버를 마운트하는 상단부, 그리고 바닥부입니다.

좌측 하단에 보이는 고무발을 하단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 바닥은 투명으로 써보고 싶어서 일부러 중심이 빈 제품으로 선택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1383c43b388e0c9e28ac401


상단부의 레버 마운트는 기존에 격겜유저들이 사용하는 산와레버 제품군과 국산 무각레버 제품군에 맞게 나사가 적절히 배열되어 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739491f1513bb4f192d96b4


이렇게 고정시킨 후,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c379ccfa3e0e987f9582b22


위 사진처럼 컨트롤 패널을 덮어 사용합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06a3196db8603ffc62c4479


레버를 마운트 시켜두고 히트박스 배열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덮어봤는데, 역시나 적시나 무리입니다. 두 배열 사이를 좀 쉽게 왔다갔다 할 수 있었으면 했는데 ㅠㅠ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737f5aeefdb77bcca63c417


해당 제품은 보드를 위한 나사홀을 구비해두고 있진 않습니다. 그냥 알아서 위치를 잘 잡아야해요.

저는 사진에 보이는 저 위치에 두기로 결정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33a790835b0103ce6d98ecf


나사 홀을 제공하진 않지만, 대신 PCB를 마운트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조각을 제공합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66c06e63c797ed0fd5fb40b


미리 준비해둔 버튼들을 결합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637af53b91fd481e5d6764f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13d5d53fd8e34362b3a2144


그리고 열심히 배선. 저는 이 과정이 너무 싫습니다...



어찌됐건 완성.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03d64f6517b5504031a068a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73f905fccc3c75f09dcab47


상부에 25밀리 버튼 4개를 결합 할 수 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06a62938f8c00a2c62c4479


하부 입니다. 나사들도 미관을 고려한 납작한 나사머리를 채택했습니다. 정말 센스있는 선택입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13f17bfc8731603fc199074


기존에 가지고 있던 매직스틱과의 크기 비교. 높이와 크기, 소재와 질감은 매직스틱과 거의 동일합니다.

매직스틱 케이스는 정말 훌륭하죠. 실상 메탈 커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구비되어 있다면, 매직스틱 상부를 커팅해서 AFS 11인치 컨트롤 패널을 적용 한다면 그것이 베스트일듯 합니다.



총평을 하자면 :


메탈소재를 좋아하신다면 더할나위없는 제품입니다. 마감도 흠잡을 곳 없이 깔끔하며,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향후 다양한 레이아웃에 대응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컨트롤 패널만 선택 할 경우 114달러 정도 인데, 가격도 충분히 납득할만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아쉬운 점을 꼽자면 :


1) 레버 마운트는 한 위치에 고정 될 수 밖에 없어, 개인이 컨트롤 패널을 아크릴로 뽑아 실험적인 무엇인가를 하긴 어렵다는 점

2)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컨트롤 패널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나사를 풀어야 하므로 기분에 따라 변경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점

3) 레버를 한 손으로 잡고 옮기는 상황에서, 하단부를 손으로 지지할 위치에 아크릴이 있어 잘못 잡으면 나사부가 깨지기 쉽다는 점


정도를 꼽을 수 있을듯 합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c3c8f1cd6fb6e7beff72b9f


제품의 완성도와는 관계없이 저는 오늘도 강등입니다. 개갓은 게임..




--------------------------

여기서 부터는 잡설

--------------------------


제가 하단부가 투명인 제품을 선택했던 이유는 아래 사진과 같은 LED 튜닝(?)을 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e490ea083fdab6d303fa6a760a6f74e8d9498b318e1398aceb


조이스틱을 드레스업 하는데에는 스킨을 입히거나 하는 방법들이 대부분이지만, 개인적으로 그런건 금방 질려서 잘 하지 않는 편이거든요.

대신 위 사진과 같이 LED로 은근한 빛을 비출 수 있게 하면 어떨까 해서였습니다. 버튼을 누를때마다 해당 버튼이 빛나는 세팅도 하고 싶었는데, 그건 너무 많은 노가다와 배선의 복잡함이 함께 야기되므로 포기했습니다. 할려면 하겠지만 하판이 투명이라 이것보다 더 지저분하게 보이고 싶진 않았어요.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539380c250f97826fd64fc7


브룩 파이팅보드의 핀아웃을 확인해서 5V 아웃풋에 점퍼와이어를 연결합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63701040b1a8ec260c93956


예나 지금이나 배선만큼 싫은게 납땜입니다. 하 .. 싫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63d31e73bcf81d732a0b181


그리고 집에 굴러다니는 아두이노 나노에 3D프린터로 뽑은 케이스를 씌워주고, 역시 같이 굴러다니던 LED스트립을 연결합니다.

납땜은 싫지만 싫은것 중에 원탑을 꼽으라면 스트립 납땜입니다. 너무 따닥따닥 붙어있어요. 이거 납땜은 정말 딱 질색...

얼마전에 키보드 스위치 전체갈이를 했는데, 수십개의 스위치를 디솔하고 새로 납땜했던 작업이 이것보다 낫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d6f5b32c5932b4e01b52a2a


어찌됐건 아두이노 케이스에 양면테입을 붙여서 케이스 상단부에, 그리고 LED스트립은 그 위에 붙여줍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16b19fb3394fc73ca7fe223


투명케이스를 쓰려면 선정리가 필순데, 정말 너무 어렵습니다. 지금까지 본 선정리는 빅트릭스가 가장 예술이었는데, 언젠가 그것도 DIY해봐야겠어요.


어쨌든 LED 파트는 이걸로 완료하고, 이 다음은 손잡이입니다.


빅트릭스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지난번 잉크때 빅트릭스를 사용하시는 갤러분이 너무 부러웠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손잡이였습니다.

간지도 간지지만 스틱을 편하게 쥘수 있는 손잡이가 있는게 너무 좋더라구요. 특히나 대회처럼 스틱을 들고있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제가 대회 나갈 일이 뭐가 있겠습니까마는, 어쨌든 뭐 그게 부러웠으므로 대충 만들어보겠습니다.


이미 성형이 종료된 메탈에 제가 구멍을 뚫을 순 없는 노릇이고, 그냥 끈으로 어찌어찌 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46bb1e599ea00e950fdab21


위 제품은 집에 굴러다니는 파라코드 서바이벌 킷입니다. 평소엔 팔찌로 쓰다가 조난시 좌측에 달린 마그네슘봉을 우측 쇠붙이에 긁어 불꽃을 낼 수 있고, 팔찌의 소재인 파라코드는 매우매우 튼튼하므로 부목, 밧줄등의 용도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손잡이로 쓸 마땅한 선이 없는 지금이 바로 위급상황이니만큼, 풀어서 사용하겠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366fc82342facb957cf5afd7


한 올 한 올 풀어줍니다. 견고하게 잘 묶여 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c6c20e95027f7b25ab7c9c1


그리고 미리 3D프린터로 뽑아둔 손잡이를 꺼내 둘러주고, 바닥고무에 파라코드를 감아줍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0380eeca770ec8bd62aa210


허접하지만 뭐 나름 괜찮네요. 어쨌든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습니다.


다음은 LED.

숨쉬는 것 처럼 켜졌다 꺼졌다 하는 코드를 만들어 아두이노에 업로드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4762fd89fcef083eddb4d101f1651f606a309084db52f6c62c4479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ba428a0ac2e71b4d7de7079121defadf4e6725fd603c3e61b9e7053836e22809773e35f2e171237b29f2abd


LED스트립의 위치가 거시기 한건지 처음에 의도했던 바닥에 비치는 광량은 영 부족하네요.

추가로 스트립을 한 라인 더 붙여야 할것 같습니다. 사실 버튼에 비치는 빛은 은은하게, 바닥은 강렬하게 하려는 계획이었는데.. 음..;


뭔가 더 하려고 해도 체력이 후달려서 안되겠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해야겠습니다 ㅋㅋ



-흙트박스 만들어서 사용해본, 장황한 이야기




출처: 철권 갤러리 [원본보기]

추천 비추천

156

고정닉 77

5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5640 시청,구청,도청,군청가서 지하철타고 목걸이줄 얻은 갤럼의 이야기 [492/1] 트람뿌대통령만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6 72968 318
15639 [약스압] 하나무라 디오라마 만들어봤어요 [256] 츄프(175.198) 20.02.05 50701 636
15638 반지빌런 물붕이 후기[스압] [602] loveR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5 85531 1363
15637 [만화] 미스티아가 병문안 오는 만화 [1796] 조져버리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4 105235 2174
15636 (스압) 파이리 알콜램프 만들기 [249] 닭귀신(124.56) 20.02.04 43364 689
15635 [초스압] 아 형림들 아산 격리 2일차인데 죽겠습니다 ㅋㅋㅋ [960] ㅇㅇ(180.134) 20.02.03 124296 1692
15634 주류갤 뉴비입니당! 집에서 삼양주 만들었습니다! 가양주가 대세지라! [274] 술익는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3 42158 464
15633 스스로 태고가 되어 태고의 달인 하는 법 [568] 스톤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1 106099 1819
15632 오작 이오지마전투 [350] HM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31 57733 677
15631 카이로 소프트에서 선물 받았다... [780] ㅇㅇ(175.112) 20.01.31 88783 1741
15629 보플기반으로 편곡한거 정리해봤슴 [192] 병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30 31220 287
AFS 조이스틱 케이스 사용기(매우 스압) [122] 퀵매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9 38935 156
15627 고3때 문학배틀 걸려온.manhwa [1034] 금요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9 150674 2609
15626 [스압] 엑스포 5주년 세계일주 - 밐스포 2020 유럽 후기 [537] Livetu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8 40281 463
15625 (솔플직관후기,장문)리바이스 스타디움 : 19-20 NFC 챔피언십[스압] [89] dd(1.177) 20.01.28 19255 139
15624 아렌델 성 제작기(완성) [602] 프릉프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7 61475 1737
15623 스압) 토붕이...1.5평 방토이 셀프인테리어 했다.jpg [880] 앗코라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5 125613 1829
15622 [초스압] 인형과 함께한 오가사와라 여행 [769] 和泉つば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4 65138 621
15621 2019년 포켓몬 클레이 총 모음 올려봅니다 ㅎㅎ!! [311] Tapcla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3 48490 642
15620 프로즌2 "Home" 스토리보드 완성:D [543] 홈작업러(211.208) 20.01.23 47257 455
15619 [ 찐따탈출 러브펀치 만화 ] [551] 왕바구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2 96663 1340
15618 미레이 인형으로 무선 충전기를 만들어보자 [스압] [6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2 44602 364
15617 본인 인생 너무 짜증나서 새로 방 꾸민 이야기 [1151] O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1 149593 1533
15616 스압)작게나마 홀로그램 공연을 만들 수 있는 가이드 [5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1 70237 620
15615 채연이 목격담 [1705] ㅇㅇ(118.235) 20.01.20 131116 1419
15614 장문주의) 러브라이브 라이브뷰잉 탐사 후기 [1079] 냥타반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0 60230 572
15613 스스로 악기가 되어서 리듬게임 하는 법 [782] 스톤볼(211.246) 20.01.18 138636 2415
15612 RX570 새척했다 ㅋㅋ [692] 마케나이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7 132007 861
15609 지금까지 모은 유물들 [361] 최쨔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7 105647 402
15608 한국전쟁과 탱크쇼크-1 [473] 야채(59.14) 20.01.16 84175 598
15607 [스압] 소녀전선과 함께하는 크루즈여행 [809] 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6 62549 624
15606 끄아악의 야동보다 걸린만화 [336] 끄아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5 140907 820
15605 스압) 토붕이 야미끠겨 만들어 봤워. [767] ㅃ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5 65258 1187
15604 초보 도색꾼입니다. 토이갤에 인사박읍니다^^ [549] ij.custo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4 65678 915
15603 이집트 순례 :아부심벨 신전 [스압] [272] 후유카이(62.241) 20.01.14 47132 490
15601 선임이 폐급이면 1~10 [완][스압] [443] 진짜가끔씩그림올리는새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3 238429 392
15600 종이모형) 4호전차 만들어 왔어! [스압] [221] Dika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1 38074 302
15599 [스압] 자취요리. 볶음파스타 외 [375] 랜스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77143 842
15598 아렌델 성 제작기(3) [462] 프릉프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53339 818
15597 [혐] 밀웜 라면 끓이기 [1556] 기음갤석사(119.203) 20.01.09 146374 1808
15595 [파키텍트] 운영중인 고즈니랜드(스압) [184] JB바이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8 42635 316
15594 [JUST GO VIETNAM]베트남 중부 여행기 ep01~ep40 [완][스압] [134] Rusty Heart(121.163) 20.01.08 23084 128
15593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케이키 볼짤 만들어 옴. [652/1] BTT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7 51482 453
15592 [음주회 후기] WILD WILD WEST 카우보이의 끝 [204] 습관성음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7 24607 200
15590 (스압/데이터) 지난 1년간의 롤코타 시나리오 결산 [266] Moon(125.176) 20.01.06 43843 830
15589 롱패딩이 대 유행인 만화 [685] 다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4 174033 1480
15588 그동안 집에서 저렴하게 롤 코스프레 한거 올려봄. [907] 레나천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3 155506 2255
15586 [스압] 얼굴 10 (그 마지막화).manhwA [235] 찬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2 74529 352
15585 1월 1일 가덕도 [200] SoS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02 30619 423
15584 2019지스타 코스프레 제작기(초스압 글 많음) [316] ㅇㅇ(211.224) 20.01.01 76588 92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