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무선 이어폰이 인체에 유해한가 생물학 ,공대 교수에게 물어봄

이갤러(221.147) 2025.01.09 06:25:14
조회 278 추천 1 댓글 0
														

🔼 채권석 경북대 생물교육과 교수

[%%IMAGE4%%] 🔼 애플 에어팟, 삼성 갤럭시버즈 등 무선이어폰에서 나오는 전자기장은 우리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가요?
“위 예의 특정 회사, 특정 제품의 전자기장의 우리 건강에 대한 위해성에 대해 본인은 아는 바가 없습니다.”
🔼 이 제품들은 국내외 정부가 정한 전자기장 안전 기준치 아래에 있습니다. 이 기준치 아래에 있다는 것이 건강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나요?
“시중에 유통되는 이들 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세기가 국내외 정부가 정한 전자기장 안전 기준치 아래에 있는 것이 건강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이 기준치는 어느 시점에 사회적 절차에 따라 도달한 그 당시의 기준치일 뿐이지 그 자체로 건강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 기준치가 충분한 과학적 연구 결과를 포함한 전문가의 견해를 언제나 제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최근 무선 전자 제품이 늘면서 전자기장이 생활 곳곳에 쌓이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각계각층의 연구자를 포함한 전문가들이 연구 및 검토를 최근에 시작했거나 이미 어느 정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본인 생각에, 하지만 아직 충분한 연구와 검토가 되지 않은 가운데 이들 무선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이런 전자파 환경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로써는 불명확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정은 국내 뿐 아니라 외국의 경우도 대동소이하다고 생각합니다.”
🔼 어떤 생활 습관을 가져야 무선 전자 제품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현재 상황이 위에 본인이 언급한 바와 같다고 본다면,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무선 전자 제품을 꼭 필요한 경우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봅니다. 이런 견해는 이미 잘 알려진 대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주의(Precautionary Principle)’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 EMF사이언티스트가 낸 성명은 2015년 5월 처음 나온 뒤, 올해 1월1일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당시 교수님이 이 호소문에 참여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위의 질문들에 대한 본인의 답에 저의 기본적인 입장이 어느 정도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주파수의 전자기장이 사람 및 다른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2015년 당시나 그 후 현재까지도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한편, 현실에서는 점점 급속히 그리고 광범위하게 새로운 전자파 환경이 우리 주변에 형성되고 있습니다. 본인이 서명한 이유는 이러한 전자파 환경에 의한 인체 위해성에 대해서 세계보건기구와 같은 국제적인 기구를 통하여 일반인 및 전문가 그룹의 관심과 필요한 조치를 촉구할 필요가 매우 컸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국내외의 관련 학회에서도 반복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휴대폰 사용과 발암 가능성에 대한 역학조사 연구를 위해서는 개인별 통신 정보가 개인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해당 통신회사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거의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통신회사의 비협조 및 관련 제도, 법규의 미비로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것이 매우 아쉽습니다.“
🔼 성명을 낸 지 4년이 흘렀는데, 취지가 달성되었다고 보시는지요?
“결론적으로, 아직 그 취지는 충분한 정도로 달성되지 않았고 이 상황은 국내외 모두 대동소이하다고 생각합니다.“
🔼 4년 전 낸 성명이 최근 다시 인용되는 데 대해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2015년 당시 성명서를 현재 시점에 언론 보도에 그대로 인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몇 가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그 당시 성명서에 서명한 전문가들 사이에도 그 당시 상황과 현재 상황을 비교적으로 인식하는 내용과 그 정도에는 개인별 차이가 있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인 전자파 환경도 그 당시와 현재는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오래전에 서명한 자료를 상당한 기간 이후에 사용하는 것은, 과거에 서명한 개인들에게 ‘동의’ 여부를 재차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성명서의 취지가 현재까지 충분히 달성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면 이 성명서에 담겼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아직도 분명히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윤명 단국대 공대 명예교수
[%%IMAGE5%%] 🔼 애플 에어팟, 삼성 갤럭시버즈 등 무선이어폰에서 나오는 전자기장은 우리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가요?
“애플 에어팟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이 건강에 유해하다는 것은 기자의 잘못된 생각으로 작성된 보도입니다. 우선 에어팟이나 갤럭시버즈에서 발생되는 최대 전자파의 양이 얼마인지를 평가해야 합니다. 그러한 평가 없이 무선으로 작동되니까 위험하다는 것은 타당성이 없습니다.”
🔼 이 제품들은 국내외 정부가 정한 전자기장 안전 기준치 아래에 있습니다. 이 기준치 아래에 있다는 것이 건강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나요?
“정부의 안전기준치란 것은 현재까지 밝혀진 지식의 범위 내에서 여러 사람들이 합리적 판단을 할 때에 안전하다는 것이지, 영구불변의 안전기준치는 아닙니다. 안전기준치란 행정적 관리(규제)를 위하여 방편적으로 정한 것이지, 건강상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을 영원히 완전하게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safety factor (or reduction factor)를 도입하여 안전기준을 또 한 단계 더 내리기도 합니다만, 그렇다 하여도 그 안전기준이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모든 안전기준치가 다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경우에라도 완벽하게 안전함을 보장하려면, 현재의 안전기준을 1/100 이하쯤으로 내려야만 할 겁니다. 물론 이에 따라 우리 모두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은 좀 올라갈 것입니다.“
🔼 최근 무선 전자 제품이 늘면서 전자기장이 생활 곳곳에 쌓이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현재 무선정보통신제품이 엄청나게 늘어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각 제품마다 전자파 안전을 고려하고 시험을 하기 때문에, 지금의 지식범위 내에서는 인체건강에 해로운 것은 없습니다. 현재까지 드러난 객관적으로 확실한 위험성이 있는 것은 없습니다.”
🔼 어떤 생활 습관을 가져야 무선 전자 제품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혹 나중에 현존하는 IT 기기로부터의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자파가 방출되는 기기로부터 약간이라도 거리를 두고 사용한다면 그 효과는 매우 큽니다. 그리고 근접하여 사용하는 시간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EMF사이언티스트가 낸 성명은 2015년 5월 처음 나온 뒤, 올해 1월1일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당시 교수님이 이 호소문에 참여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강한 극저주파 발생장치를 만들고, 그 장치를 측정하는 일을 할 때 메스꺼움과 어지럼증을 느꼈습니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었고, 같이 일하던 연구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러나 그 세기는 안전기준 이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존하는 안전기준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에 서명을 하게 된 겁니다. 즉 장시간 노출에 대한 어떠한 고려사항도 없다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혹 와전이 되어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상당히 미약한 전자기장에서 나의 생각을 왜곡하여 주장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염려는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워낙 억지 주장들을 많이 하니까요.”
🔼 성명을 낸 지 4년이 흘렀는데, 취지가 달성되었다고 보시는지요?
“전자기장의 인체 안전기준은 매우 보수적입니다. 잘 고쳐지지 않습니다. 극저주파에 대한 ICNIRP 안전기준은 오히려 그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 4년 전 낸 성명이 최근 다시 인용되는 데 대해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공학을 하는 사람이 거기에 동의를 한 한국 사람은 저 혼자 뿐입니다. 그 성명에 동의를 한 한국사람들이 많던데, 거의 의학이나 생물학, 환경학 같은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더군요. 제가 공학을 전공하는 입장에서 그 당시에 좀 용기를 내서 동의하는 쪽에 섰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그 활동이 유야무야 되는 줄 알았습니다. 그것이 다시 통계적 집합이 되어 그 속에서 제 이름이 실린 것을 처음 보았습니다. 이참에 강한 극저주파 자기장에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될 때 인체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의학적으로 밝혀보고 싶습니다. 물론 의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같이 있어야 합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예능 출연 한방으로 인생 바뀐 스타는? 운영자 25/02/03 - -
3376540 하루에 게임 8시간해서 편한 이어폰 사려고 [5] 이갤러(112.146) 01.09 274 0
3376539 에어팟 프로2 vs 에어팟4 vs 에어팟3 vs 에어팟맥스 [2] 이갤러(106.146) 01.09 177 0
3376531 아크로 C타입과 AKG C타입 같은 제품이다 [12] 이갤러(59.19) 01.09 176 0
3376530 버3프 노캔 더 좋아질수있음? ㅇㅇ(220.86) 01.09 94 0
3376527 i폰에 동글붙이면> 어댑티브 헤드폰 연결됨? [3] 투경(175.200) 01.09 120 0
3376526 30만원대 이어폰&헤드폰 모맨텀4 미만잡임? [2] ㅇㅇ(220.85) 01.09 209 0
3376525 무선이어폰 추천 받아요! [4] moving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24 0
3376524 형들 컴터 연결해서 쓸껀데 추천점 [2] 이갤러(220.120) 01.09 95 0
3376522 버즈3프로 쓰는데 ie200 ?? [10] 이갤러(125.190) 01.09 365 0
3376521 Ie200 중고 9.5 vs 신품 낭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97 0
3376519 버3프 미개봉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08 0
3376515 오탁후 노래 싫다는게 있는척이야?ㅋㅋㅋ 이갤러(118.235) 01.09 69 0
3376512 컴퓨터에 꽂을 꼬다리 추천좀 드려도 될까요 [5] 이갤러(117.123) 01.09 150 0
3376504 밀폐 노캔 헤드폰 추천좀 부탁해요 [2] 카오틱코스모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21 0
3376503 일렉기타 치는 용으로 헤드폰 구매할려는데 뭐추천하나요? [5] 이갤러(118.216) 01.09 103 0
3376495 크림앱에서 pi7 s2 미드나잇블루 사려하는데 [2] qreq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44 0
3376493 씹덕곡 듣는 색이들하고 무슨말을 해야 하는지 [14] 이갤러(118.235) 01.09 164 1
3376486 이 노래 정도면 일반인 픽임? 씹덕픽임? [5] 메쿠이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14 0
3376479 Flac랑 mp3 음질 구분 못함?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64 0
3376475 버3프최저가얼마?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35 0
3376474 여름에 버즈3프로 환불받았다가 다시 샀어 [5] 음주가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95 0
3376469 무선 추천 부탁드립니다. 형님들 [5] 이갤러(115.138) 01.09 274 0
3376466 용도에 따른 유선 이어폰 추천픽 (1만~20만) || 12/12 수정 [2] 이갤러(58.78) 01.09 335 1
3376456 젠하이저 엑센텀 플러스 샀는데 원래 버튼 유격이 있나요? [2] 이갤러(104.28) 01.09 135 0
3376453 야스 신품 30주고 사면 개손해임?! [1] NylonKuch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87 0
3376447 이어폰 vs 헤드셋 둘중 추천 가능할까? [5] ㅇㅇ(106.101) 01.09 158 0
3376442 가성비 게이밍 이어폰 좀 추천해주라 [7] 이갤러(106.101) 01.09 589 0
무선 이어폰이 인체에 유해한가 생물학 ,공대 교수에게 물어봄 이갤러(221.147) 01.09 278 1
3376437 포타프로 쓰고다녀도 됨? [2] ㅇㅇ(211.178) 01.09 83 0
3376432 16비트와 24bit의 차이는 소리의 다이나믹성 (음질차이는 아니다) 이갤러(118.235) 01.09 95 0
3376430 근깐 ㅋㅍ에서 살땐 로켓와우 아니면 사지마 [1] 이갤러(118.235) 01.09 174 0
3376418 테크닉스 eah AZ100 출시영상이 조회수 7만을 찍네요 [3] 이학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36 0
3376414 WF-1000XM4 쓰다가 5로 넘어왔는데 [2] 이갤러(223.39) 01.09 205 0
3376412 수월우 메이 PC에 연결에 쓰면 나만 뿅뿅 소리남? [2] 이갤러(119.192) 01.09 148 0
3376409 Ze8000 mk2 하고 ze3000 소리어떰? [1] 낭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69 0
3376403 무선헤드폰 그냥 귀마개용 없으려나 [1] 이갤러(211.177) 01.09 80 0
3376394 팟 프로2 샀는데 [3] 이갤러(121.176) 01.09 111 0
3376392 에어팟4 노캔키면 음질구려지는디 ㅇㅇ(39.116) 01.09 109 0
3376385 예전에 hd560s 샀는데 [3] 이갤러(39.123) 01.08 170 0
3376384 결국 이리아2 샀다 다들 감사요 [2] 이갤러(110.45) 01.08 133 0
3376379 꼬다리 추천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34 0
3376378 JBL투어프로3 반품할지말지 존나 고민중 [3] ㅇㅇ(59.21) 01.08 347 0
3376377 컴퓨터-레이저 사운드카드-y잭에 마이크는 헤드셋, 소리는 이어폰으로결 스티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37 0
3376375 무선찾다가 이상한거 꽂혀서 질러버림 이갤러(211.59) 01.08 140 0
3376374 무선 지금 고민중인데 [4] 커붕이(218.37) 01.08 242 0
3376368 귓구멍에 3m귀마개 두개들어가는데 이어팁 큰거없냐 ㅇㅇ(61.34) 01.08 33 0
3376367 hd600 영하 온도 버팀? [4] ㅇㅇ(118.129) 01.08 154 0
3376366 샤오미 골전도 vs polv 골전도 비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64 1
3376363 MTW4 아직 LE 오디오 지원 안되는거 맞냐 [1] 이갤러(133.209) 01.08 134 0
3376362 수월우 츄2에서 넘어갈 이어폰 추천좀 [6] 이갤러(112.160) 01.08 187 0
뉴스 저스트비, 1년 3개월 만에 일본 팬미팅 개최 확정..국내외 열일 디시트렌드 02.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