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미정상회담서 '원전동맹' 선언.. 사드기지도 정상화 나선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5.20 09:37:05
조회 1860 추천 40 댓글 68

3줄 요약 :

오늘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사드기지 시위 막혀 주 2~3회 물자반입.. 제한 없애

사우디·체코 원전 공동진출하고 소형원자로 함께 개발



윤석열 대통령, 조 바이든 미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조 바이든 미대통령

정부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방한에 맞춰 현재 임시(야전) 배치 상태인 경북 성주 주한 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기지의 조기 정상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으로 19일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사드 정상화를 바이든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서두르겠다는 것이다. 한·미는 또 21일 정상회담에서 해외 원전 시장 공동 진출 선언과 차세대 원전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공동 개발이 포함된 원전 협력 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이른바 ‘한·미 원전 동맹’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액션 플랜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이날 “주한 미군 사드 정상화는 한·미 동맹 정상화의 상징적인 사안”이라며 “다양한 조기 정상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사드 조기 정상화는 일반 환경영향평가 착수, 무제한 기지 접근권(출입권) 보장, 기지 내 일부 미군 시설 부지 공여 절차 완료 등 크게 3가지 방안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고위 소식통은 전했다.


경북 성주군 사드 기지./국방부 영상공동취재단 제공=연합뉴스

경북 성주군 사드 기지./국방부 영상공동취재단 제공=연합뉴스

2017년 4월 배치된 성주 기지의 사드 포대는 5년째 야전 배치 상태다. 박근혜 정부는 6개월 정도 걸리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정식 배치할 계획이었지만, 문재인 정부가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거치도록 방침을 바꿨다.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환경영향평가협의회 구성 및 심의, 평가서 초안 작성·협의, 주민 등 의견 수렴, 평가서 본안 작성·협의 등 총 4개 단계의 협의 절차를 밟아야 하고 보통 1년 이상이 소요된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협의회 구성도 못 하는 등 문재인 정부 5년간 아무런 진척이 없었다.

정부는 자유로운 기지 접근권 보장을 위해 현재 매주 2~3회로 제한돼 있는 물품 및 공사 자재의 기지 반입 제한을 풀 계획이다. 물품·자재 반입은 기지 입구를 차단하고 있는 사드 반대 단체와 일부 주민의 시위로 사실상 막혀 있었다. 작년 3월 방한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서욱 당시 국방장관에게 “사드 기지를 지금 같은 상태로 방치할 것이냐” “동맹으로서 용납할 수 없다(unacceptable)”며 강력 항의한 이후 주 2~3회 반입이 이뤄지며 숨통이 트였지만 사드 레이더 가동 등을 위해 필수적인 발전용 유류 등 핵심 물자는 여전히 헬리콥터로 공수되는 실정이다.


2020년 10월 22일 경북 성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공사 장비를 실은 차량이 사드장비반입 반대시위 속에 기지로 들어가고 있다./뉴시스

2020년 10월 22일 경북 성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공사 장비를 실은 차량이 사드장비반입 반대시위 속에 기지로 들어가고 있다./뉴시스

현재 성주 기지엔 한·미 장병 400명가량이 주둔하고 있다. 이들은 한동안 임시 컨테이너 막사에서 온수·난방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는 등 열악한 환경에서 큰 불편을 겪었다. 작년 4월 물품·자재 반입에 숨통이 일부 트이며 근무 여건이 소폭 개선됐지만 컨테이너 막사 생활이 계속되는 등 불편이 해소되지 못했다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 17일 미 의회 비공개 청문회 서면 답변을 통해 “물류 지원의 완전한 보장과 현장 주둔 병력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한받지 않는 접근(unfettered access)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부는 성주 기지에 대한 ‘제한 없는 접근권’ 문제를 가급적 반대 단체 및 주민들과 대화로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반대 단체와 일부 주민들이 끝까지 정부 요구를 거부할 경우 공권력 동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년전 성주 사드기지… 현재도 열악한 병영생활 - 주한 미군 관계자들이 2017년 9월 경북 성주군 사드 기지에서 추가 반입한 발사대 4기에 대한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한 미군 사드 포대는 지난 정부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5년째 야전(임시) 배치 상태다.

5년전 성주 사드기지… 현재도 열악한 병영생활 - 주한 미군 관계자들이 2017년 9월 경북 성주군 사드 기지에서 추가 반입한 발사대 4기에 대한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한 미군 사드 포대는 지난 정부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5년째 야전(임시) 배치 상태다.

군 고위 관계자는 “미 측은 문재인 정부가 공권력을 동원해 성주 기지를 차단하고 있는 반대 단체와 주민들을 강제 해산하지 않은 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여왔다”고 말했다.

사드 정상화의 세 번째 조치는 사드 기지 내 미군 일부 시설 부지에 대한 정식 공여 절차 완료다. 일반 환경영향평가와 마찬가지로 정식 공여 절차도 문재인 정부 5년간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한·미, 원전 동맹으로 업그레이드

한·미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에너지 분야 의제인 해외 원전 시장 공동 진출, SMR 공동 개발 협력,한·미 원자력고위급위원회(HLBC) 재가동 등을 합의문에 담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원전 도입과 원자력 분야 한·미 협력 심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원전 수출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등 제3국으로의 공동 수출을 위한 기술·인재 협력 구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했지만 자국 내 원전 건설 중단으로 시공 능력을 상실한 미국, 미국의 원전 기술을 발판으로 세계적 시공 능력을 갖춘 한국이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최상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2030년까지 해외 원전 10기 이상을 수주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외교 소식통은 “한·미가 협력해 중국·러시아 중심의 원전 시장 질서를 흔들겠다는 것”이라며 “군사·경제 협력 위주인 한미동맹을 원전, 우주 개발 등을 포함하는 기술 동맹으로 확대한다는 의미도 있다”고 했다.

미래 에너지 시장의 유력한 대체재로 꼽히는 SMR의 경우 핵심 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2015년 체결된 한·미 원자력 협정에 따라 설치됐지만 2018년 8월 이후 열리지 않고 있는 ‘한·미 원자력 고위급 위원회’의 재가동을 선언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40

고정닉 4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559 일본 육상자위대 최신 장비 등장! 2022 '후지 종합화력연습'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3017 15
558 헤엄쳐 다가온 거북이 한마리.. 적이 보낸 정찰 로봇이었다 [3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5065 25
557 말 많은 방사청장 인선 지연..K-방산 수출 대박에도 악영향?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361 2
556 전차 포신에 생수병을 올려 놓고 기동, 중국 96식 전차 성능 과시 영상 [3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2917 2
555 주일 미해병대 제 3정찰대대 낙하산 타고 해상 고공강하 침투훈련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800 5
554 소형폭탄이 하늘에서 뚝! 우크라군 공격드론으로 변신한 중국 상용 드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2714 8
553 AI·드론봇으로 무장했다... ‘아미타이거’ 전투단 출범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224 3
552 박격포, 로켓, 무인기 등 1발 요격에 4천원! 레이저 방공무기 아이언빔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683 7
551 레이건 항모·마라도함 함께 떴다… 북 겨눈 한미훈련, 오키나와서 한 이유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670 5
550 3세대 핵항모 '제럴드 R. 포드', 최신 전자식 사출장치와 강제착함장치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2031 3
549 주한미군 미사일만 400여발.. 한미, 유사시 1500발로 북한 때린다 [2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7 1824 12
548 북 핵실험 임박설속 F22 등 미 스텔스기 30여대 주일미군기지 전진배치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1745 8
547 게임 같은 미 육군의 첨단 야간투시경 ENVG-B 착용 시가지 전투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2 2016 2
546 실전경험 3번 가진 합참의장 지명과 한국군의 체질 변화 [4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31 3629 29
545 미사일 무장하고 종횡무진, 국산 첨단 장갑차 ‘레드백’ 베일 벗었다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30 2602 17
544 윤석열정부 첫 한미 정상회담과 진일보한 북 핵.미사일 위협 대응책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7 1190 2
543 중대장 때 무장공비 4명 잡고 무공훈장 받았던 장군 합참의장 됐다!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6 4773 39
542 바이든 순방 마지막날.. 중국·러시아, 한일 방공구역 침범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5 1921 11
541 바이든 방한때 뜬 '심판의 날'.. 내부 핵전쟁 지휘장비 보니 '반전'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4 2254 6
540 북한 도발 땐 미국전략자산 출동.. '북핵조준' 한미훈련 더 강력해진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3 404 3
한미정상회담서 '원전동맹' 선언.. 사드기지도 정상화 나선다 [6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860 40
538 바이든 방한 앞두고... 한미연합사단에 최신형 아파치 헬기 대대 창설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9 1429 12
537 현실화한 북한의 전술핵 위협… ‘한국판 맨해튼 계획’이 필요하다 [3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8 2717 9
536 단 한발로 대형선박 두동강.. '족집게 폭탄'의 어뢰 뺨치는 대변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7 1430 2
535 軍 대장급 7명 중 5~6명 이번달 물갈이 인사할 듯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228 8
534 ROTC 모집 연기와 초급간부 경쟁률 급락 [2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4161 9
533 세계 최정상의 자주포 K9 '썬더'와 대한민국 보병전투장갑차 K21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1972 13
532 유탄발사기에서 발사되는 이스라엘 초소형 정찰 공격 드론 '니녹스 40'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2026 4
531 미사일처럼 날아 탱크 포탑 때린다..우크라이나전 등장한 러시아 첨단 지뢰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3063 10
530 북한 이번엔 SLBM 발사.. 올들어 매주 1회꼴 도발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1569 4
529 병사 봉급 200만원 공약 논란‘... 모병제 하는 일본·대만보다 높아 [12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3389 17
528 남한 겨냥한 게 아니라고? 김정은의 선제 핵공격 전략 '커밍 아웃' [5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2490 8
527 윤석열정부 ‘한미 방산 FTA’로 미국 시장 노린다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994 37
526 '킬러 드론'을 부하로 쓴다, 평택 기지에 뜬 최신형 미군 공격헬기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2220 9
525 2분 만에 주 로터와 꼬리를 자동으로 접는 CH-53K 킹스탤리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979 3
524 북한판 NLAW 대전차미사일, 극초음속미사일 등 신형 무기 총동원 열병식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687 3
523 괴물 ICBM·신형 SLBM·극초음속 미사일..北, 전략무기 3종 과시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7 1378 4
522 사드 성능개량 성공과 사드 추가배치 대선공약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1630 18
521 업그레이드 된 미국 '침묵의 암살자'.. 일본·인도·대만이 사는 이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2395 3
520 [단독] 천궁-II 탄도탄 요격미사일의 눈, 천궁-II MFR 현장 취재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1667 15
519 우크라이나, 22년전 피격 똑같이 되갚았다.. 모스크바함 침몰 영상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2952 18
518 러시아 탱크 부순 '마법의 알라봉'.. 한국군 전차는 북한로켓에 안전할까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2753 3
517 세계적 파장을 일으키며 러시아를 궁지에 몰고 있는 모스크바함 침몰 쇼크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4079 31
516 北 전술핵 미사일, ICBM보다 큰 위협… 소형핵탄두 시험할 듯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1051 4
515 북한 도발 경고! 4년 5개월만에 동해 공해상에 전개한 미 핵추진 항모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2038 20
514 국산 무기 수출, 올해 150억달러 세계 5위 목표.. 방산 FTA 시급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747 11
513 미 육군 특수부대 그린베레가 운용하는 무인전투로봇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2134 7
512 고체로켓 첫 발사 성공과 뉴스페이스, 그리고 우주청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452 2
511 레이저 찍히자 쾅.. 우크라 대전차 미사일, 러 최신 공격헬기 잡았다 [2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2793 15
510 로봇팔이 탄약과 장약을 자동 장전하는 K9A2 155밀리 자주포 시스템 [1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1841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