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gpt랑 대화한 내용 (이눔시키.. 지어낸 말은 아니겟지...)앱에서 작성

쉽지않은식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1.01 15:09:10
조회 248 추천 0 댓글 6

쉽식린:
(영어 사이트에서 긁어온 유기질의 탄소/질소비율과 박테리아의 탄소/질소 비율 어쩌고 글)
이거 번역하고, 뭔 내용인지 쉽게 설명해줘.


​GPT:
번역:
식물 잔재물은 분해되면서 토양에서 이용 가능한 영양분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더 일반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그림 3.1**에 나타난 질소의 예에서 볼 수 있다. 질소는 바람직한 식물과 다른 생물들 모두가 대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 영양소 문제 중 가장 큰 문제로 자주 꼽힌다. 가장 좋은 조건에서도 식물에게 이용 가능한 질소는 종종 부족하다.

**그림 3.1.** 높은 탄소/질소 비율(C/N 비율)을 가진 잔재물이 토양에 포함될 때 발생하는 일시적인 질소 손실 예.

식물 잔재물이 토양에 포함되면, 위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분해가 시작된다. 어느 시점에서 박테리아가 활동을 시작하는데, 이들이 식물 잔재물을 먹이로 사용할 때, 잔재물이 제공할 수 있는 질소보다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하다. 이는 **탄소-질소 비율(C/N)**을 살펴보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비율은 식물 물질, 토양, 또는 생물에 있는 탄소의 무게와 질소의 무게 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톱밥의 C/N 비율은 약 500/1이다. 이는 톱밥에 1파운드의 질소에 대해 약 500파운드의 탄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비해 밀짚의 C/N은 약 80/1, 부패한 거름은 약 20/1, 어린 알팔파 건초는 약 13/1이다. 네브래스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표토의 유기물은 C/N이 약 11/1이다. 반면에 박테리아는 약 5/1의 C/N 비율을 가지므로, 이들이 "먹는" 식물 물질로부터 얻는 질소보다 훨씬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

간단한 설명:

이 내용은 식물 잔재물이 분해될 때 질소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 **핵심 문제:** 
  식물 잔재물이 토양에 섞이면,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면서 질소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잔재물 자체에 질소가 충분하지 않으면, 토양에서 질소를 가져갑니다. 이로 인해 토양에서 식물이 쓸 수 있는 질소가 일시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 **탄소-질소 비율(C/N 비율):** 
  - **C/N 비율이 높다:** 톱밥처럼 질소가 적고 탄소가 많은 물질은 분해하는 데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합니다. 
  - **C/N 비율이 낮다:** 젊은 알팔파처럼 질소가 많으면, 박테리아가 별도로 질소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박테리아의 필요:** 
  박테리아는 C/N 비율이 약 5/1인데, 이는 식물 잔재물보다 훨씬 낮습니다. 그래서 부족한 질소를 토양에서 가져와야 합니다.

**결론:** 
잔재물의 C/N 비율이 높을수록, 박테리아가 토양의 질소를 더 많이 가져가서, 식물에게 이용 가능한 질소가 줄어드는 문제가 생깁니다.



쉽식린:
오키아타 바크는 c/n이 몇이야?



​GPT:
오키아타 바크(Okiata Bark)는 주로 나무 껍질로 구성된 유기물질로, 일반적인 **탄소-질소 비율(C/N 비율)**은 약 **100/1에서 200/1** 사이입니다. 이는 톱밥(약 500/1)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질소 함량이 적어 분해 과정에서 토양의 질소를 소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활용 시 주의점:
- **질소 부족 보완**: 
  오키아타 바크를 토양 개량제로 사용할 때는 질소 비료(예: 우레아, 질산암모늄 등)를 함께 추가하여 질소 부족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C/N 비율 조정**: 
  C/N 비율을 낮추기 위해 질소가 풍부한 재료(예: 녹색 잔디, 음식물 쓰레기)와 섞어서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정확한 C/N 비율은 사용하는 바크의 종류와 상태(처리 여부, 분해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쉽식린:
(이어지는 글을 보여주며) 이것도 번역하고 간단하게 설명해줘.



​GPT:
번역:
한 가지 대안은 단순히 분해 속도를 늦추고 식물 잔재물을 한꺼번에 모두 분해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일부 식물 재료가 다른 것보다 더 천천히 분해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박테리아가 잔재물을 빠르게 분해하는 데 필요한 질소를 충분히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옥수수 줄기(C/N 약 60/1)와 나무 조각은 이런 이유로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토양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분해 속도를 늦추는 것 외에도, 박테리아는 매우 효과적인 탐색자가 된다. 그들은 토양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질소(대부분 질산염과 암모늄 형태)를 "채굴"한다. 문제는 작물이 자라는 시기에 작물도 질소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박테리아는 제한된 질소 자원을 두고 작물보다 더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가 죽고 내부에 저장한 질소를 토양으로 다시 방출할 때까지 작물은 질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식물 재료, 특히 높은 C/N 비율을 가진 재료는 바람직한 식물이 질소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토양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된다면, 식물에 일시적인 질소 결핍이 발생한다. 처음에 잔재물이 추가될 때 질소가 토양에 들어갔더라도, 토양이 식물에게 충분한 질소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가는 데는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식물의 성장이 크게 억제되어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분명한 답은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넣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되돌리는 것이 가져오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할 때 최선의 해결책은 아닐 것이다. 대안은 식물이 질소를 많이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잔재물을 토양에 넣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잔재물을 봄에 파종 직전에 넣는 대신, 수확 후 가을에 넣는 것이다. 잔재물을 포함하기 전에 추가적인 질소를 적용하면 유기물 분해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작은 규모에서는 식물 잔재물을 미리 퇴비화하여 높은 C/N 비율로 인한 일시적인 질소 결핍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퇴비화는 박테리아가 잔재물을 미리 분해할 시간을 제공하며, 퇴비가 포함되기 전에 C/N 비율을 낮춘다. 이 방법은 낙엽이나 잔디깎기와 같은 정원 폐기물을 처리하는 주택 소유자에게 가장 실용적일 것이다. 좋은 목표 C/N 비율은 토양과 같은 11/1이지만, C/N이 20/1까지인 식물 재료를 포함해도 토양 질소에 심각하거나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

간단한 설명:

1. **문제점**: 
   - 높은 C/N 비율의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넣으면,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는 동안 토양에서 질소를 가져가게 됩니다. 
   - 작물이 같은 시기에 질소를 필요로 한다면, 작물이 질소 부족으로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해결 방법**: 
   - **잔재물 추가 시기 조정**: 
     봄 파종 직전이 아닌 가을 수확 후에 잔재물을 토양에 넣어 질소 부족 시기를 피합니다. 
   - **추가 질소 공급**: 
     잔재물을 넣기 전에 질소 비료를 더해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 **퇴비화**: 
     잔재물을 미리 퇴비화하여 C/N 비율을 낮춘 후 토양에 추가합니다.

3. **C/N 비율 목표**: 
   - 11/1 (토양과 같은 비율)이 이상적이며, 20/1까지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결론**: 
식물 잔재물을 제대로 관리하면 질소 결핍 문제를 피하면서도 토양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쉽식린:
그러면 나무에 착생하는 난초같은 애들은 어떤 이유로 c/n의 문제를 극복하고 잘 살 수 있는 걸까?




GPT:
​난초와 같은 착생식물이 높은 C/N 비율의 환경에서도 잘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가진 특별한 생리적, 생태적 적응 때문입니다. 착생식물은 토양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나무나 다른 구조물에 붙어서 자라며, 자원 확보와 영양소 이용 방식이 독특합니다. 

착생식물의 C/N 문제 극복 원인:

1. **영양소 의존도 낮음** 
   착생식물은 나무 껍질이나 부엽토(데드 브랜치 등에서 형성된 분해된 유기물)에 의존하는데, 이 환경은 전반적으로 질소가 적습니다. 하지만 착생식물은 **영양소 요구량이 낮아** 높은 C/N 비율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2. **공생관계 (미생물과의 협력)** 
   - **미코리자 균류**: 많은 착생식물은 뿌리에 공생하는 균류(미코리자)와 협력하여 질소와 다른 영양소를 얻습니다. 균류는 나무 껍질이나 부엽토에서 질소를 분해하여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줍니다. 
   - **질소 고정 세균**: 일부 착생식물은 질소 고정 박테리아와 공생하여 대기 중 질소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효율적인 물과 영양소 흡수 구조** 
   착생식물의 뿌리는 일반적인 뿌리와 달리 흡수력이 매우 높은 **벨라멘(velamen)**이라는 조직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 조직은 공기 중 수분, 빗물, 유기물 잔재물에 포함된 영양소를 빠르게 흡수합니다. 이는 토양이 아닌 환경에서도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저속한 성장과 에너지 효율성** 
   착생식물은 일반적으로 성장이 매우 느리며, 필요한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생존합니다. 이는 자원 부족 환경에서 살아남는 데 유리합니다.

5. **광합성과 탄소 이용의 최적화** 
   일부 착생 난초는 **CAM 광합성(Crassulacean Acid Metabolism)**이라는 독특한 광합성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물과 탄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부족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6. **환경의 재순환 자원 활용** 
   착생식물은 나무 표면에 쌓이는 낙엽, 먼지, 유기물 등을 분해해 얻은 영양소를 활용합니다. 비록 높은 C/N 비율을 가진 환경이더라도, 이러한 자원은 미생물과의 협력으로 분해되어 점진적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요약: 
착생식물이 높은 C/N 비율의 환경에서도 잘 사는 이유는 자원 요구량이 낮고, 미생물과의 공생, 특수한 뿌리 구조, 효율적인 물질 이용, 그리고 환경 자원 재활용 능력 덕분입니다. 이러한 독특한 적응 덕분에 이들은 토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번성할 수 있습니다.


쉽식린: 그럼 실내에서 기르는 식물을 기준으로, 오키아타바크를 흙의 30%정도 섞었다고 가정했을 때, 박테리아가 (바크에서 얻는 질소가 부족해서)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까지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까?
10%만 섞었을 때는?


​GPT: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30% 섞었을 때,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며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시간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지만, 아래의 주요 변수들을 고려해 대략적인 흐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

박테리아가 질소를 소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오키아타 바크의 C/N 비율** 
   - 오키아타 바크는 일반적으로 C/N 비율이 200~500:1로 매우 높습니다. 
   - C/N 비율이 높을수록 분해 속도가 느려지고, 박테리아가 질소를 소모하는 과정도 천천히 진행됩니다. 
   - **초기 박테리아 활성화 시점**: 일반적으로 1~2주 내에 분해 활동이 시작됩니다.

2. **토양 내 질소 농도** 
   - 박테리아는 바크에서 얻는 질소가 부족할 경우, 토양 내 질소(주로 질산염(NO₃⁻)과 암모늄(NH₄⁺))를 이용합니다. 
   - 토양 질소가 풍부하다면 박테리아가 빠르게 질소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질소가 부족한 토양에서는 경쟁이 덜하며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3. **환경 조건** 
   - **온도**: 따뜻한 환경(20~30°C)에서 미생물 활동이 활발하므로, 질소 소모 속도가 빨라집니다. 
   - **습도**: 적당한 습도(50~70%)에서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쉬워지며, 건조한 환경에서는 분해가 느려집니다. 
   - **pH**: 중성(pH 6~7) 환경에서 미생물 활동이 최적화됩니다.

4. **바크 입자 크기** 
   - 바크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 박테리아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분해 속도가 빨라집니다. 
   - 큰 입자의 경우 분해 속도가 더 느립니다.

5. **혼합 비율** 
   - 흙에 오키아타 바크가 30% 혼합된 경우, 바크 비율이 낮아 전체적으로 질소 경쟁이 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바크가 높은 C/N 비율을 가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양 질소에 의존하게 됩니다.

---

대략적인 시간 추정:
1. **초기 활성화 (1~2주)** 
   -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시작하며 질소를 필요로 하는 단계. 초기에는 바크 자체에 포함된 미량의 질소를 사용.

2. **질소 소모 시작 (3~6주)** 
   - 바크 내 질소가 부족해지면 박테리아가 토양 내 질소로 전환. 
   - 이 시점에서 토양 내 이용 가능한 질소가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3. **질소 고갈 효과 (6주~3개월)** 
   - 토양 내 질소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작물의 생장이 둔화될 가능성 있음. 
   - 이 단계는 바크의 분해 속도와 토양 내 초기 질소 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질소 부족을 완화하는 방법:
1. **추가적인 질소 비료 공급** 
   - 바크를 섞기 전에 토양에 질소 비료를 추가해 미생물과 작물 모두에게 충분한 질소를 공급. 
   - 일반적으로 **1kg 바크당 6~8g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면 효과적.

2. **바크 사전 퇴비화** 
   - 바크를 미리 퇴비화해 C/N 비율을 낮춘 후 사용하면 질소 경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바크 혼합 비율 조정** 
   - 바크 비율을 줄이거나, 질소 요구량이 적은 식물과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요약: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30% 혼합한 경우, **3~6주** 정도 지나면 박테리아가 바크에서 질소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미리 질소 비료를 보충하거나 바크를 퇴비화한 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10%**만 섞는 경우, 바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적으므로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소모하는 속도와 영향이 크게 완화됩니다. 이는 바크의 C/N 비율이 높더라도 전체 토양 내 질소와의 상대적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

10% 혼합 시 질소 소모 과정과 예상 시간:

1. **초기 활성화 (1~2주)** 
   -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시작하며, 바크 내 미량의 질소를 우선 사용. 
   - 바크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이 단계에서는 토양 질소 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

2. **질소 소모 시작 (4~8주)** 
   - 바크 내 질소가 점차 고갈되면서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사용하기 시작. 
   - 그러나 10% 혼합 비율로 인해 질소 소모 속도와 경쟁이 느리고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음.

3. **질소 고갈 영향 (8주 이후)** 
   -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계속 사용하지만, 바크의 양이 적으므로 전체 토양 질소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 
   - 이 단계에서 작물에 질소 결핍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음. 만약 발생하더라도 경미한 수준일 가능성이 큼.

---

10% 혼합 시 추가 질소 보충이 필요한가? 
바크의 비율이 10%로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별도의 질소 보충이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 질소 공급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1. **질소 요구량이 높은 작물 재배 시** 
   - 예: 채소, 곡물, 또는 빠르게 자라는 관엽식물. 
   - 이 경우 소량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면 성장을 최적화할 수 있음.

2. **질소가 이미 부족한 토양** 
   - 만약 토양 자체가 질소가 부족하다면,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인해 질소 경쟁이 심화될 수 있으므로 보충이 필요.

---

대략적인 시간 비교: 
- **30% 바크 혼합**: 박테리아가 질소를 본격적으로 소모하기 시작하는 데 약 **3~6주**가 소요. 
- **10% 바크 혼합**: 박테리아의 질소 소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더라도 약 **6~8주 이상**이 걸리며, 영향은 더 제한적.

---

요약: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10%만 섞으면 박테리아가 질소를 뺏어가는 속도가 크게 줄어들며, 실질적인 질소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이 경우 질소 추가 보충 없이도 대부분의 식물이 문제없이 자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토양이 질소가 극도로 부족한 상태이거나 질소 요구량이 높은 식물을 재배한다면, 소량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끝-




이 말대로면 바크는 지생식물은 소량만 섞는게 좋겠네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879236 역시 햇빛은 못 이기는구나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49 1
879235 딱히 이슈는 없고 그냥 잘자라는중 이예요 [10] ㅇㄹㅁㅅㅌ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87 4
879234 이 이파리에 흰색 반점들 뭐에요?! [2] 식갤러(121.136) 04.24 102 0
879233 이거 살까말까ㅠ [4] ㅇㅇ(39.7) 04.24 151 0
879232 낮게 자라고+수경재배 가능한 식물 추천 부탁드려요 [6] 식갤러(14.45) 04.24 158 0
879231 공원 식물들 [3] 식갤러(118.235) 04.24 122 0
879230 보스웰리아 키우기 팁 좀 식갤러(124.111) 04.24 51 0
879229 베란다에 꽃폈네 음주운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84 0
879228 쑥쑥 자라는 인어꼬리 [2] Pu: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44 1
879227 실링팬 엄청 땡기네 [3] 필로덴드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23 0
879226 선인장 흙배합을 잘못 한 것 같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9 0
879224 항상 흙 배합하고 쓰다가 이번에 전부 분갈이 새로했어요 [2] ㅇㅇ(121.140) 04.24 199 0
879223 퇴근하고 버스 기다리는데 [3] 식갤러(106.102) 04.24 84 0
879222 식쇼하고 바로 분갈이 했는데 괜찮겠죠? [3] 태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4 0
879221 일하러 가기 전 광합성 [2] 식갤러(118.235) 04.24 101 0
879220 긴급) 이거 벌레 뭐야?ㅠ 혐짤주의 [2] 탈콥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66 0
879219 이거 꽃 이름 아는사람? [2] ㅇㅇ(106.101) 04.24 110 0
879218 쑥갓 싹 났어 신나아 [7] 식갤러(220.65) 04.24 132 2
879217 텐트에 새로들인 열대식물 [4] 응애(106.244) 04.24 184 3
879216 창문 열어놨더니 꽃가루 엄청 들어온디 ㄷㄷ [4] ㅇㅇ(125.183) 04.24 133 0
879214 있다 있어 [2] _0u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96 0
879213 이거 뿌리파리 유충인가요?(사진주의) [4] 수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13 0
879212 딸기 열렸어 [4] ㅇㅇ(1.241) 04.24 123 2
879210 와 철쭉 [1] 아글레오네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96 0
879209 오자마자 분갈이 하는 건데.. [7] ФД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90 1
879207 토마토 새싹 누구 뽑을까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90 0
879206 카페 부업아줌마들은 심폴 업자들보다 비싸게 파네 [3] 식갤러(211.36) 04.24 192 0
879205 꽃씨 너무 깊게 심으면 안됨 ?????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27 0
879204 식린이 가족소개해유 [9] 식갤러(211.205) 04.24 197 2
879203 첫 식쇼를 했는데요! 이게 병충해 흔적일까요?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6] 식갤러(222.121) 04.24 165 0
879202 이게 산삼이라는데 맞아요??? [1] 식갤러(119.71) 04.24 154 1
879201 햇빛이 진짜 뜨겁다 벌써ㅋㅋ [2] 식갤러(39.114) 04.24 153 0
879200 블루베리,무화과,레몬나무 베란다에서 수확이 가능한가요? [5] 식갤러(110.8) 04.24 170 0
879199 좀만 더 참으면 [4] 돈테크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13 0
879198 로즈마리 [38] 에슈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618 17
879197 나도 이제 밀리언벨 오렌지 있다 이거야 [5] 바다소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0 0
879196 꽃 피었어! [12] 방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38 1
879194 선생님들 이 몬스테라 어케 해야 건강해 지는건가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2 0
879193 뿌파 유충 본뒤로 속이 자꾸 니글니글거리네... [4] ㅇㅇ(106.101) 04.24 177 1
879192 자몽씨에서 새싹이 [2] 식갤러(211.235) 04.24 71 0
879191 세렌디피티 신엽 봐줘! [6] 리비키스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5 1
879190 다이소 부추 씨알아 [2] 아삭아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34 0
879189 물망초 키우는데 식물이 뭔가 경박해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8 0
879188 총진싹 뿌리고 2일째 [11] 짜증내지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14 0
879187 안녕하세요 끈끈이 주걱 훈수 가능할까요? [3] 식갤러(114.199) 04.24 136 0
879186 얘네 뭐야…? 해충이야? [4] 식갤러(175.192) 04.24 148 0
879185 이거 뿌파 맞음? [2] 필로덴드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64 0
879184 베란다 식물등 전원코드 어디다가 꽂음?? [4] 식갤러(221.157) 04.24 157 0
879183 하양 꽃나무들 이브다 [4] kalimb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17 0
879182 유럽에선 민들레 잎을 셀러드로 먹네 [11] 식갤러(223.38) 04.24 168 1
뉴스 ‘하트시그널’ 서민재, 마약 뉘우치고 깜짝 임신 발표 디시트렌드 05.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