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9회 목포무늬동백전시회앱에서 작성

목포먹갈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1.08 23:01:46
조회 2840 추천 11 댓글 18
														

ㄴ이전편

0be4f573bd8b608523e6f090479c706cf4294daa6b6ca726bd4709c3efb85406f0f0bd75b90b01daaa1af95e5cff103c7d93889d2f

올해 목포항구축제 기간에 개최되었는데, 무늬동백나무 매니아들의 모임인 목포 무늬동백회의 전시회이다. 전시 공간이 협소해 많은 작품을 출품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그래도 같이 보고자 사진을 가져와 봤다!

74ef8504b4f46a85239bf291359c7068de6495272d0f7c2bae9f3bf46c95af3d68d545d3e08963b65569965ba98f3c26b73c842f

첫번째 작품은 ’황금별‘ 이라는 품종이다. 전남 장흥에서 무늬가 발현된 가지 변이로 발견되어 배양되다, 정유경 씨에 의해 황금별로 명명되고 분양되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7a9c8070c0841ef723eb85ec469c70190aaf601d606c3c45a6c5b0834f6002427cb01b1386222a404fe842b8c3b6f391cc1b1ae8

이 품종은 레드엔젤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붉은 신아 색감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듯 하다.

7fee807fb2f71cf6239a8196449c701be4edfd481d1cc8c18dcd22a9de6529c73ad6556ca32bfe78efeb44666baab413ca5d864e

0f9e8704c1816f80239ef391419c701b0ded79ac617c7ffb959d0457a39cf7e865bbafd889d0fc216b743493df710a1533f70f7d

초기에 황금별은 삼광중투(녹 안에 무늬 안에 녹) 무늬로 등장하였는데, 삼광중투가 귀하던 때에 나온 품종이라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삼광 무늬의 고정성이 떨어져 테두리에 얇은 녹 없이 그냥 복륜(무늬 안에 녹) 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 전시회 출품작도 복륜무늬로 볼 수 있다.

0eedf171b3871e8223eef0e34f9c701f5f38c4035ac6de2b44a02e68c1e5281aeeb06146eadc2f694ba23d2b48e57615fdf44107

진도산 중투 ‘모정’ 이다. 화려하기론 무늬동백 중에도 제법 화려한 중투이다.

749ef676c7f11a8723e8f4e4329c706aa415be7e4d3d25d2b4a14c35afc2fbb2db5748529577d8653626433d4327d8bdf86232ae

0be48202b4851b8723e8f494359c706925601da0c789351d3ac54ec6b50e914f9ea1fcf3746d493de5cfe2b18fb218eb9c1e357e

그리고 이 품종은 ‘부정’ 이다. 일단 이 모정과 부정의 차이는 모정에 비해 부정이 가운데 중투무늬가 더 좁다는 것이다.  그런데 둘이 이름도 비슷하고 뭔가 연관이 있는 것이 느껴지는가? 이들은 ‘모정계’ 에 속하는 품종들로, 모정계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아 언젠가는 꼭 다뤄보겠다.

759f8477c3f36dff239ef4e2439c706b10493cdae5a66990c955bf2291848369e51d4ad98e14e2caebe455367400823998e4d849

둥그런 수형에 흰 복륜무늬가 멋진 ‘겨울’ 이다.

7b998277c6836afe23e6f2e2329c701b860590ddbb22d1aaa534f20922837d5ac3ca1f1ecbef2e91119757cea115dd0c092d9e0e

이미 한번 관련 글을 올렸던 품종인데, 한국 무늬동백 중에서 굉장히 인기도 많고 뛰어난 품종이다ㅎㅎ 

7fe8f202c4866e8423ed86ec4f9c706b96bb75439d828b100183cc7d552b57d7eaed03c1543cf9992358bf444e23f73eeada58a8

78eb8675b78b1cf323e68fe2439c7019c3984a8ac4c44b685698239eaae6f22b39077038998a2b5c2b1edfbac766e06a6d43e65d

딱봐도 단정하고 잘생긴 이 품종은 ’청룡‘ 이다. 

0be4f371c18a1dfe23e9f5e5439c70655581861d33a40384ec8dd86b610cf552f71ac24c344f44b003fb79431757646ddb4ef3c5

전남 진도산에 장끼식물원 명명품으로, 중투의 명품이 무안중투라면 복륜은 청룡이라 할 정도로 뛰어나다. 줄기의 간격이 짧아 풍성한 느낌을 주며 잎이 무엇보다 엄청 둥글다. 위나 아래의 다른 품종들하고 비교래 보라. 확실히 둥글고 단정한 품종이다. 

7599897fc0831bf123e686e3459c701957671059bfa45e016d9cd66021f24071fcdb237e6b4deb2a706ee3e16bf285911f0f28b8

복륜무늬에 어리는 핑크가 아름다운 팔색조 동백이다.  진도산으로, 장끼식물원에서 명명되었다. 

7c9ff600b6826efe239987e3459c706eea8de3b145ee5e708c4641316f971bea0de4979658842ff34461cee07a3a3ea2a250999768

09998877c68a69fe239ef394409c706d334909478f5da50097ea5fc0b0759e440897ab328b4546ffbe4009b15ce6418216cf3926

7ceff574b1871ef223eef291469c7064755cc87c037777c45fd9f49c65ee01915ca4a468e132f9cccd0cd77bb2fae7ce26b48e08

제대로 된 심복륜으로 나온다면 정말 개쩌는 품종으로, 압도적인 화려함을 보여주나 안타까운 점은 항상 저 모습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복륜무늬가 얇거나 아주 수수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도 언젠가 꼭 키우고 싶은 품종이긴 하다.

7fed8005bd851af62399f496479c70188d9a7059b8c6aef4986f1142ec52f6e6641596339e66ca4d55328b0567170431d1f7651f

연출이 독특했던 무늬동백 ‘보길도’ 이다. 옹기분에 돌 하고 굉장히 멋진 연출이다.

089f877fb28161f1239c83e64e9c701c841c08e3d73c207cc6dd4254d3305c72f6224dcf732603fce91fb620c6de360d5e84a4d5

이 보길도 동백의 산지는 보길도이다. 

7be58104c1f41df423e6f391459c706d160308f51cf3dcd6e93067044da61fa53d8e644f1aad479972ec54348cd0163233c4abf3

보길도에서 발전하면 달무리라는 품종이 되는데, 솔직히 뭐가 다른지 진짜 모르겠다. 무늬 지분이 좀 더 많은 것을 선별한건지? 여튼 무늬를 보면 무늬와 녹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정말 달무리처럼 은은하게 섞이는 부분이 있다. 이 품종의 독특한 모습이다.

7bec8805c6801aff239d8f91429c701901f213e662b1e61290625d031b422d4ab2f80352b260cd20b157d4aee17b243e3fe0f4ea

이렇게 복륜 스타일의 잎도 나오는데 그런 것은 보름달이라고 부른다 한다. 이것도 참 은은하니 매력적이다.

0f9b8103c7836bf6239cf7e6439c706d5ce3dbcc84fa3e67e0972fb6066ae6b4bb5965bf362a25375d2351c721fa6bb952a56fc3

복륜무늬 동백 딱따구리라는 품종인데, 전남 완도군 산지로, 제법 큰 실생의 원목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7aea8402b6f36185239b8190439c706fae29880ae351d3a3a0b8fde4289d115996f4b0599d8dcaedad56d63eda22fdfbdaef752930

무늬도 무늬지만 수양성으로 늘어지는 성질을 지닌 특이한 무늬동백이다.

759c8172c0f019f4239cf7e7379c706574b1753e15cd56c5a128c079c413a720f2aca4eaa3370a387f359c5ed3d5adea53123eb59e

759bf505b080608323e88691479c706ea69528c92ed6efb1ef626ffd5eb30bf3803b751a3797708d600a693227cc63625ae34155

예전에 소개했던 달팽이라는 품종과 같은 기엽 복륜이나 달팽이는 잎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굽고 딱따구리는 위로 불룩하게 굽는다 (위 달팽이, 아래 딱따구리) 

0c9ef37eb38268f0239c8ee7429c706ca5d0f2c7bd80103a10d5295fb38398b6c2fe360d5accfb4fad7da605718967720a1c3942

황중투무늬 ‘황비’ 작품이다. 대목의 형태가 아주 독특해 눈에 띈다. 

7fe88477b3816085239cf590309c706880cfc593130527b6783c133cf0306235283806723475db894e0d202c28b082faf49ab961

황비는 경남 거제산으로, 선발색 황중투 선황비와 후발색 황중투 후발황비로 나뉘며, 황비에서 중투 부분에 녹점이 흩뿌려진 모습으로 변이한 것은 ‘홍천’ 이라 한다. 

749c8403b3f768832399f293379c70657ca4dd9de3b6899e1693e64fc842595637039897a4960464961e9595e135361a5e8c8aef

7eedf104b4866d8223edf391449c706a7f887eb463f4a19159f7bd41cce562b7f7bae92f30339513fa6bc71b21ea4d5f862366a5

0beb8503bc8b1af2239b8eec419c7018d03d1e182e033e8895a988bd77e47ddd3839d20c6041c55dae3cc230ecacf5d53150eed8

이번 전시회에 두개나 출품된 신품종 ‘흰파도’ 이다. 백색의 중투무늬인데 이름처럼 잎의 파도치는 웨이브가 아름다우며 신엽의 색감도 멋지다. 

7a9b8071b78761f023e687ed349c701ff838ddbe00793417d08f4281e31598dd60665e88da1b640034b3407ad0df570355aafe05

7e98f177b580608323eff5e4439c701fd6a0ae7242a1ae1aecad066087d461db399a3d8ea01bc267c8fc37f1191d75b886ab28d8

2024년 최고가에 거래되는 품종이라고 하는데, 아직 귀해서 보급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7f9bf372c3846af023e785e4349c7019722fa0a23ef847ce77163e541973d8ca3937982cf852d983901aded013e65360a6d71cdc

74e58102c3f66b8423ea86e3449c701ec509993bbfe2ddb63645ebc328407b6f4cd74f752987dc959c0a95daa206ffb3ff084f02

녹 면적을 보면 짐작이 가겠지만, 느리게 크고 접목이 어려워 번식이 느리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이번 출품된 동백나무 중에서 이게 가장 눈을 사로잡았는데, 또 이런 아슬아슬한? 무늬가 취향이 아닌 사람도 있고ㅎㅎ 갤러들도 다 취향이 좀 다를 테니 어떤 품종이 가장 예뻐 보이는지 댓글에 남겨 주면 고맙겠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11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852122 님들 잡초제거에 소금물어떻습니까 [2] 식갤러(106.101) 01.31 165 0
852121 (not빌런)에피스시아 키우는 방법 감 잡았어.. [10] 저면광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63 2
852120 식물을 찾습니다 [7] ㅇㅇ(114.205) 01.31 166 0
852119 호프셀렘 수형 정리 질문! [6] 식갤러(121.166) 01.31 190 0
852118 트루비 어떻게 키우는겨 ㅠ [10] 천천히자라는식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15 0
852117 혹시 이 나무가 무슨종류 일까요? [2] ㅇㅇ(211.235) 01.31 134 0
852116 이 꽃들 이름이 뭔가요?? [4] 식갤러(210.123) 01.31 133 0
852115 콜로카시아 리뎀션 2번째 잎 [4] ㅇㄹㅁㅅㅌ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47 0
852114 후마타고사리 왜이럴까요?ㅠㅠ [4] 식갤러(175.208) 01.31 250 0
852113 동백나무가 죽어가는거같은데… 도와주세요 [11] 식갤러(218.232) 01.31 268 0
852112 이런 식물등 커버 없을까?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88 0
852111 우리 옐몬 아무래도 무바가 된것 같다 [5] 킨키테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14 0
852109 사진펌) 어제 카페갔더니 개큰 아라리오 발견 ㄷㄷㄷ [2] 동물동물열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43 0
852108 수국이 지금 월동 중 깼는데 어케해야 함? [4] 식갤러(222.120) 01.31 237 0
852107 연휴 끝나고 출근했더니 누가 크로톤 가지를 다 잘라놨네;; [5] 시1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66 0
852106 천리향 질문 좀 드릴게요! [4] 식갤러(211.251) 01.31 208 0
852100 무화과 삽수를 살지 고민이야 [6] 식갤러(1.236) 01.31 203 0
852097 얘 종류가 뭔가요? [4] 식갤러(24.64) 01.31 231 0
852091 청짜보 대려올라하는데 [4] 식갤러(39.119) 01.31 186 0
852085 등나무 이거 상태 좀 봐줘요.... [1] 식갤러(118.235) 01.31 227 0
852084 베고니아 사라왁 키워볼려는데 질문있습니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88 0
852082 죽어가는 행운목 [1] 식갤러(183.108) 01.31 221 0
852081 새끼 다육이 [6] 식갤러(183.108) 01.31 267 2
852079 행우니 잎난다 Gaemota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50 0
852078 식물? 이딴걸 도대체 왜 키우는거냐? [7] 갤식갤0(23.251) 01.31 378 1
852077 제 식물을 살려주세요ㅠㅠ [1] ㅇㅇ(211.208) 01.31 200 0
852076 혹시 이런 식물등도 괜찮나요? [8] ㅇㅇ(211.246) 01.31 401 0
852074 쿠팡에 부직포화분 잘랐다 붙혔다 할 수 있는 물건 있나? [1] ㅇㅇ(61.253) 01.31 176 0
852073 행운목 살리는 법 제발 부탁합니다 [10] 식갤러(39.7) 01.31 278 0
852072 블로그에서 파피오 사 본 사람? [2] ㅇㅇ(58.230) 01.30 211 1
852071 인트리카타 꽃대 올라놨는데 식갤러(122.47) 01.30 152 0
852069 수경재배 식물 키워보려고 하는데 [6] ㅇㅇ(106.101) 01.30 213 0
852068 일반 집에서 키우는 화분에도 황 뿌려주면 좋을까? [5] 식갤러(223.39) 01.30 199 0
852067 아거 잡초야? ㅠㅠㅠ 치커리나 루꼴란줄 알았는데 [1] 식갤러(211.110) 01.30 200 0
852066 푸밀라 살아날 수 있을까ㅠ... 뿌리 살아있는건지ㅠ [8] 식갤러(220.123) 01.30 224 0
852065 식충식물 보니까 오랜만에 생각나네 [6] ㅇㅇ(118.131) 01.30 188 0
852064 상추바질 35일차! (엄청자람주의) [2] 식갤러(211.110) 01.30 226 1
852063 레몬나무 잎 왜 이러는 건가요?ㅜㅜ [3] 식갤러(95.88) 01.30 227 0
852062 아버지께 선물드린 식물(크로커다일?) 정보 질문드립니다 [3] 식갤러(58.123) 01.30 188 0
852061 고살이 [4] 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91 0
852060 통바크 우째야 함...?? 특급생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09 0
852059 양파 이거 먹어도되나요?? [4] 식갤러(106.101) 01.30 208 0
852058 식물등 위치 고민입니다,,, [3] 땅트리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243 0
852057 고사리 상시 저면 어떻게 하나요?? [11] ㅇㅇ(58.78) 01.30 289 0
852056 베란다 텃밭 채소 방제는 뭘로 함? ㅇㅇ(58.230) 01.30 100 0
852055 제라늄 사가 꽃폈어 [1] 바다소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78 0
852054 키워보려고 본가에서 데려온 아이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208 0
852053 명절 내내 식물등을 켜두고 집을 비웠습니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366 0
852052 ㅜ 엔조이스킨답서스 봐주세요ㅠ [1] 식갤러(220.123) 01.30 201 0
852050 식물등 얘기나와서 좋다 [2] 식갤러(121.191) 01.30 258 2
뉴스 ‘시민덕희’, 보이스피싱 조직 추적한 평범한 시민의 통쾌한 실화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