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매각설 진화 나선 카카오엔터 CEO...jpg ㅇㅇ
- 싱글벙글 TV 동물농장 출연당시 가출해서 한의원 살린 강아지 ‘띨띨이’ 수인갤러리
- 4박5일 다카마쓰 + 근교 (시고쿠, 오카야마) 여행 이런엔딩
- 싱글벙글 지잡대촌… 라떼맛커피
- 북한군 10여명 군사분계선 침범... 여초 반응 주갤러
- 7월부터 비둘기 밥 주다 걸리면 과태료 문다.jpg ㅇㅇ
- 타투하면 반드시 후회한다는 타투이스트 ㅇㅇ
- 현직 스키야 알바의 충격 증언... 절대 日규동집 가지 마세요! 난징대파티
- '아동 학대 살해' 태권도 관장 징역 30년 선고 야떡이
- 싱글벙글 토네가와식 암기법.manhwa ㅇㅇ
- 깜짝... ‘싱크홀 지도’ 만든다더니, 지질조사도 안했다.... 칠삼칠삼
- 오늘자 리오넬 메시 2골 1어시 북중미 챔스 4강 진출...gif 메호대전종결2
- 미역 자르는 게 부당노동? 분노한 학부모, 극한 치닫는 갈등.jpg ㅇㅇ
- 싱글벙글? 일본인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영상 와히라나고미
- 트럼프 “중국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관세 90일간 유예” dyir
에르메스백 아닌데 "짝퉁 아니다"…트렌드 뒤흔드는 '듀프' 뭐길래
안녕하세요. 오늘은 K뷰티 이야기네요 지난해 K뷰티의 업황이 굉장히 좋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트럼프 발 관세 전쟁의 영향이 K뷰티에는 뭔가 있지 않을까요?K뷰티가 반도체나 자동차 철강처럼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지난해 대미 화장품 수출 1위를 차지한 만큼 영향은 없을지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지금까지는 K뷰티 업계도 한미 FTA에 따라 무관세로 제품을 수출해 왔죠.K뷰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에서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는데요.1분기 수출액에서 미국이 전체의 17% 정도를 차지하는 만큼, 이번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수출 여파가 우려되고 있습니다.다만, 다른 산업에 비해 관세부과 기준인 매출 원가가 낮은 데다, K뷰티가 단순히 저렴한 가격만으로 승부하는 게 아니라서 상황이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관세는 우리만 적용하는 게 아니죠.한국 뷰티와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의 경우 더 많은 상호관세를 매기고요.또 미국 정부가 다음 달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 대한 '소액 면세제도'를 폐지하면서 K뷰티가 오히려 반사 이익을 볼 거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또 미국 현지에 생산 인프라를 갖춘 한국 OEM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는데요.화장품 브랜드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에 생산을 맡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관세의 영향은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군요. 그런데 이렇게 K뷰티가 성장하기까지는 중소기업 위주의 인디 브랜드의 성장이 또 뒷받침됐기 때문 아닌가요?맞습니다.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 품목 1위는 화장품이었습니다.전년 대비 27.7% 증가한 68억 달러, 약 10조 원 규모인데요.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 실적 가운데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이런 중소기업의 매출 성장을 이끈 건 역시 미국 시장이었습니다.미국 수출액이 46.5% 증가해서 우리 돈으로 2조 원으로 집계됐는데, 중국과 일본을 넘어섰습니다.관세 영향에서도 긍정적인 해석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국내 중소 뷰티업체들이 중고가 브랜드로 미국 현지에서 포지셔닝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가장 중요한 부분이 현재로서는 한국이 강세를 보이는 기초 화장품과 메이크업 제품군의 경우, 한국 제품 외의 마땅한 대체재가 없다는 점이거든요.물론 화장품 산업이 강한 유럽의 대미 상호관세율이 20%로 우리보다 유리하기는 하지만, 유럽 화장품은 비싸잖아요.또 미국제품은 해당 품목에 경쟁자가 없어 직접적인 경쟁 관계가 아니라는 이유에서입니다.그렇기 때문에 5천 원에 팔았던 제품이 7천 원이 된다고 해도, 우리 중소기업 인디브랜드 화장품의 경쟁력이 여전히 있다는 거죠.상대적으로 값은 싼데 성분은 더 좋을 수 있는 그런 것들이 K뷰티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이 때문에 화장품 소비에 있어서는 듀프 소비라는 게 뜨고 있다고요?지금 이 두 제품 보이시죠.언뜻 보면 화장품 용기의 크기와 모양 색깔도 비슷한데요.하나는 고가 명품 브랜드 제품이고 다른 하나는 국산 인디 브랜드 제품입니다.그런데 가격이 네다섯 배 차이가 납니다.이렇게 명품 브랜드 제품의 기능과 제형의 색, 그리고 향까지 모방한 제품이 많은데요.이런 걸 듀프제품라고 합니다.듀프는 복제품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Duplication'과 소비의 합성어인데요.단순히 로고만 베끼고 풀질은 떨어지는 '짝퉁' 제품이 아닌 명품 브랜드 상품과 디자인, 품질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더 저렴한 제품을 말합니다.특히, 요즘처럼 고물가에 듀프 소비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다른 예를 들자면, 수천만 원 에르메스 버킨백을 똑 닮은 10만 원대 미국 월마트의 월킨백이 있습니다. 비슷하게 생겼죠.바로 이렇게 값싸면서도 질 좋은 제품을 찾는 걸 듀프소비라고 하는데요.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듀프소비가 새로운 소비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어서입니다.한 미국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미국 젠지세대 응답자의 70%는 듀프소비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고 나타났습니다.이쯤 되면 "어? 저거 저작권법상 문제가 될 소지는 없는 건가?" 하실 수 있는데요.법적 단속 대상은 아닙니다.듀프제품처럼 디자인 유사성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하게 해석될 수 있어서인데요.그래서 현재 대부분 듀프 제품들은 아이디어와 스타일을 참고하되, 법적 문제가 되지 않도록 디자인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고 합니다.물론 저작권법 외에 디자인보호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등이 적용될 수 있어서 동일 디자인은 물론 실질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디자인도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현대차 미국 공장 근황
- 관련게시물 : 현대가 미국에 지은 현대차 공장 근황연간 10만대 생산이고 울산현대공장보다 2배크기임이번에 로봇팔,자동화,모듈화로 울산공장에 비해 생산량당 노동자 1/3수준으로 줄여버렸음. 어제자 기사임 ㅋㅋ블루컬러도 이제 슬슬 시작됐음ㅋㅋㅋㅋㅋㅋㅋ나라가 망해가는구나…나라가 망해가…ㅋㅋㅋㅋㅋㅋㅋ대한민국은 보름달과 같고일본국은 초승달과 같다.- dc official App- 싱글벙글 현대차 미국공장 근황미국공장이 울산공장보다 2배 크기인데 노동자는 880명뿐- 직원 자르고 출고 중단… 美 관세에 車 업계 비상대응스텔란티스, 공장 가동 멈추고 직원 해고GM은 美 생산 확대·닛산도 美 공장 활용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회사들이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부 회사는 해외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인력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현대차그룹은 관세 인상분을 가격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계획이지만, 고율 관세가 장기간 이어질 경우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기업 스텔란티스는 최근 캐나다와 멕시코의 공장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州)에 있는 조립 공장이 2주 간 폐쇄됐고, 멕시코 톨루카의 조립 공장도 이달 말까지 가동을 멈춘다.미국 내 부품 공장 5곳에서 일하는 900명의 직원도 일시 해고됐다. 스텔란티스는 미국 공장에서 주요 부품을 생산해 캐나다, 멕시코에서 조립해 판매한다. 완성차 조립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자 미국 부품 공장의 일감이 사라져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제너럴모터스(GM)는 미국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공장의 픽업트럭 생산을 늘리기로 했다. GM은 미국·캐나다·멕시코에서 경량 픽업트럭인 쉐보레 실버라도와 GMC 시에라 등을 만들고 있다. 미국에 있는 완성차 생산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관세 부과에 따른 타격을 줄이겠다는 게 GM의 계획이다.일본 자동차 업체인 닛산도 미국 공장을 활용해 관세에 따른 수출 감소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닛산은 장기간 이어진 실적 부진으로 이달부터 미국 내 완성차 공장 2곳의 생산량을 줄일 계획이었지만, 고율 관세 조치가 발효되자 이를 철회하기로 했다. 또 현재 일본에서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는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Sport Utility Vehicle) 로그의 생산 물량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 곳은 미국에 공장이 없는 업체들이다. 이들 기업은 미국 수출을 일시 중단하거나 재고 차량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섰지만, 관세 부과 조치가 철회되거나 세율이 조정되기 전까지 미국에서 판매량이 급감할 가능성이 커 속을 태우고 있다.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영국 고급차 브랜드인 재규어랜드로버는 4월 한 달 간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의 출하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재규어랜드로버는 영국과 브라질, 슬로바키아에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다. 독일 아우디의 경우 미국에서의 차량 출고를 중단하고, 재고 차량을 우선 판매하기로 했다. 아우디는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독일 경쟁 브랜드와 달리 미국에 공장을 두고 있지 않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았다.NYT는 재규어랜드로버, 아우디처럼 미국에 공장이 없는 완성차 브랜드는 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미국 판매 가격이 대당 2만달러(약 3000만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현대차그룹은 미국에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을 두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는 조지아주에 친환경차 생산 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가동도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현지 생산 비율이 경쟁사인 도요타, GM 등보다 낮아 관세의 충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다.현대차그룹은 아직 미국 내 차량 판매 가격을 올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지난 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에서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그러나 관세 부과 조치가 길어지면 가격 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미국에서 판매량이 빠르게 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는 대부분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하는데, 관세를 가격에 반영하지 않으면 실적이 나빠지게 된다.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전기차는 지난달 미국에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12.6% 줄어들 정도로 판매가 저조한 반면 하이브리드차 판매는 61.1% 급증했다”며 “현대차그룹이 관세 충격을 줄이기 위해 HMGMA의 전기차 비중을 줄이고, 하이브리드차 투입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67993?cds=news_edit 직원 자르고 출고 중단… 美 관세에 車 업계 비상대응스텔란티스, 공장 가동 멈추고 직원 해고 GM은 美 생산 확대·닛산도 美 공장 활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회사들이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부 회사는 해외n.news.naver.com
작성자 : 공부는머리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