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금개혁 공론화위 "'더 내고 더 받는 안' 선호 56%"…학습·토론 거치며 선호도 역전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22 15:42:29
조회 121 추천 0 댓글 0
														


공론화위 현판식


[서울=서울미디어뉴스] 양혜나 기자 = 국회 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의 국민연금 개혁 공론화 과정에 참여한 시민 10명 중 6명은 '더 내고 더 받는' 연금 개혁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22일 나타났다.

공론화 최종 설문조사 결과 국민연금의 현행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2.5%'를,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함께 상향 조정하는 안을 가장 많이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론화위는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고 보험료율을 12%로 올리는 방안(재정안정안)과 소득대체율을 50%로 늘리고 보험료율을 13%로 높이는 방안(소득보장안) 등 두 가지 안을 놓고 설문조사를 진행, 최종 설문조사에 참여한 492명의 시민대표단 가운데 56.0%는 소득보장안(소득대체율 50%·보험료율 13%)을 선호했다. 

반면 42.6%는 재정안정안(소득대체율 40%·보험료율 12%)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둘의 격차는 13.4%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를 넘었다.

'의무가입 연령 상한'과 관련, 시민대표단의 80.4%는 현재 만 59세인 의무가입 상한 연령을 64세로 높이는 방안을 선호했고, 17.7%는 현행 유지를 선호했다.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방안'(복수 응답 가능)으로는 출산크레딧 확대(82.6%), 군복무 크레딧 확대(57.8%) 순으로 응답했다. '크레딧' 제도는 출산 및 군 복무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 기간으로 연장해주는 제도이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아우르는 구조 개혁과 관련해선 현행 기초연금 구조를 유지하자는 응답(52.3%)과 기초연금 수급 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자는 응답(45.7%)이 오차범위 내 격차를 보였다.

공무원연금 등 직역연금 개혁의 경우 '보험료율 인상' 동의율이 69.5%에 달했다. '직역연금 급여 일정 기간 동결' 동의율은 63.3%, 관련 논의 기구 구성 동의율은 68.3%였다.

세대 간 형평성 제고 방안으로는 국민연금 지급 의무 보장(동의 92.1%), 기금수익률 제고(동의 91.6%) 방안이 주로 선택됐다.

퇴직연금의 경우 준공적연금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46.4%였고, 중도인출 요건 강화 27.1%, 제도 현행 유지는 20.3%로 나타났다.

이는 네 차례 숙의토론회를 마치고 진행된 최종 설문조사 결과다.

시민대표단은 국민연금 학습 전(3월 22∼25일), 숙의토론회 전(4월 13일), 숙의토론회 뒤(4월 21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1차 조사에서는 소득보장안(소득대체율 50%·보험료율 13%)이 36.9%, 재정안정안(소득대체율 40%·보험료율 12%)이 44.8%였고, 2차 조사에서는 소득보장안이 50.8%, 재정안정안이 38.8%였다. 3차 조사에서는 소득보장안 56.0%, 재정안전안 42.6%로, 학습과 토론을 거치며 선호도가 역전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연금특위(위원장 주호영)는 조만간 공론화위의 최종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여야 간 연금개혁 합의안 도출에 나설 예정이다.

21대 국회 임기 만료(5월 29일) 전에 합의안을 도출하지 않으면 22대 국회에서 원점에서 다시 논의를 해야 한다.



▶ 내일부터 2주간 국민 1만명 대상 국민연금 개혁 입장 전화조사(종합)▶ 연금개혁 공론화위, 16·20일 공청회 연다…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석▶ 국회 연금특위 공론회위 1차회의…연금개혁 공론화 방법과 일정 등 논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3524 野 방송3법 재추진…與 김장겸, "민주당 방송 영구장악 야욕 노골화"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86 0
3523 삼성전자, 파리 올림픽 앞두고 샹젤리제 거리에 올림픽 체험관 열어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224 0
3522 인신윤위, 홈페이지 접속불가 등 53개 자율심의 참여서약매체 제명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77 0
3521 BNK부산은행, '동래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사업' 실시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73 0
3520 3월 법인세 전년 대비 5조5000억원 감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125 0
3519 "독도는 우리땅"...민주 경기도당, 독도 방문 [1]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125 0
3518 복지부, '더 내고 더 받는' 안에 "연금개혁 목적 부합 않고 미래세대 부담만 가중"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81 0
3517 여야 '더내고 더받는' 연금안에 이견…"지금 태어나면, 40살 소득의 43% 보험료" [1]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88 0
3516 윤재옥 "민생 법안 처리 아닌 정쟁 유발 법안처리 본회의는 동의 어려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58 0
3515 윤재옥, 민주 향해 "정치적 목표 달성 안됐다고 폄훼하고 평가절하 안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58 0
3514 한국공항공사, 특별경영체제 추진...전국 14개 공항 현장 중심의 안전·서비스 강화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65 0
3513 영화 '챌린저스' 개봉 첫 주 북미 박스오피스 1위...글로벌 흥행 청신호 ON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73 0
3512 오픈AI,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와 챗봇 개발 파트너십 체결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256 0
3511 국내 보험사, 지난해 해외 손실 심각....천재지변으로 보상금 지급 ↑ [2]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362 0
3510 국내 방위산업, 1분기 매출 성장 지속....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우뚝'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62 0
3509 연방대법원, 머스크의 SEC 합의 위반 여부 재판에서 기각 결정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71 0
3508 마포구, '주민 숙원 사업' 이루다...2026년 공덕동 신청사 완공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60 0
3507 한국표준협회,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와 맞손...레미콘 업계 품질경영제도 정착 박차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56 0
3506 연금개혁특위, 공론조사 결과 논의…여야 상반된 입장으로 갈등 불가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30 57 0
3505 尹대통령·이재명 "의대 정원 증원 불가피 인식 같이해"..."종종 만나자"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82 0
3504 국회 협치는 어디에…"민생법안만" vs "정치적 쟁점있는 법안도"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77 0
3503 대한교조, 초등 1·2학년 체육 교과 독립 찬성..."사회 변하면 교육과정도 변해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77 0
3502 [속보] 대통령실 "尹대통령-이재명, 의대 증원 불가피 인식 같이해"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77 0
3501 조해진, 이철규 겨냥 "이대로 가면 정권심판 책임자가 당 얼굴 되는 최악 상황"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73 0
3500 '좋은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시민 단체 총연합', 초등 1˙2학년 체육 교과 분리·신설 환영..."학생들 참여 기회 확대 위해 노력해야" [7]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5099 4
3499 與 대통령 탓만 하기보다 정책 계파 중심으로 체질 개선해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4 0
3498 자유시민탄압대책위, 중앙지법 앞 김상진 대표 등 구속 판결 규탄 집회 개최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6 0
3497 [속보] 이재명, 尹대통령에 "가족분 의혹 정리하고 넘어가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81 0
3496 대전시, 우주산업 중심 도시 도약 위한 '대전샛 프로젝트' 시작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2 0
3495 삼성전기, 24년 1분기 실적 공개...지난해 대비 30%가까이 올랐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120 0
3494 與 원내대표 김도읍 불출마…이철규 단독출마 가능성도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2 0
3493 일본서 사라지는 오프라인 서점...기초지자체 절반이 서점 1곳 이하 [11]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1240 2
3492 대전시, '청년성장프로젝트' 선정...국비 14억 5천만원 확보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8 0
3491 마포구 실뿌리복지 동행센터 출범…복지망, 실뿌리처럼 촘촘하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1 0
3489 황우여 "당 안정시켜야 할 때…조속히 당 대표 성공적으로 세워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0 0
3488 부산 소녀상에 일본산 맥주와 스시 올려놓고 조롱...경찰, 30대 남성 조사 중 [1]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103 0
3487 與 비대위원장에 황우여…"26일 요청해 黃 수락", 인선 발표 직전 대통령실과 공유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48 0
3486 윤재옥, 與 비대위원장에 황우여 지명…한동훈 사퇴후 18일만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53 0
3485 원광대병원 교수 단체 사직서 제출...단체로 가운 벗고 나가 [17]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960 9
3484 홍익표 "與 '5월 임시 국회 반대' 명분 없어...총선 민심과 정반대 행동"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48 0
3483 '지옥철' 4·7호선, 5월부터 출퇴근 시간에 열차 2회씩 늘린다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413 1
3482 조국. 이재명 만나 "尹대통령 거부권 행사한 법안들 22대 국회서 재발의 공유"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4 0
3480 [속보] 윤재옥, 與 비대위원장에 황우여 지명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50 0
3479 [점검 4.10 총선] 다른 곳에서 온 투표지서 동일한 토너(추정)자국, 부정선거의 증거인가?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92 0
3478 영화 '워 온 테러' 5월 개봉 확정... 무차별 도심 폭탄 테러와의 전쟁 선포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62 0
3477 中 바이어 "한국제품 日·中제품보다 품질·가격 경쟁력 키워야"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49 0
3476 테일러 스위프트의 신기록, 새 앨범 빌보드 200챠트 1위 차지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70 0
3475 中 테슬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출시 가능성 상승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56 0
3474 美, 대학 캠퍼스에서 이스라엘 공격 반대 시위 '지속적 확산'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52 0
3473 중랑구, 문화체험형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 SM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29 46 0
뉴스 韓서 첫 베일 벗은 ‘미키 17’, 봉준호 작품 중 가장 대중적 [IS신작]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