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치니(G. Puccini 1858-1924) 최후의 유작이자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오페라’ 중 하나이기도 한 오페라 <투란도트>. 예술의전당 전관 개관 30주년을 기념하여 4년 만에 CJ 토월극장 무대로 다시 돌아온다. 공연은 오는 8월 15일(화)부터 8월 20일(일)까지 열리며, 티켓 예매는 예술의전당 홈페이지(www.sac.or.kr)와 인터파크에서 가능하다.
이번 2023 토월오페라 <투란도트>는 2019년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초연 당시 눈을 뗄 수 없는 매력적인 연출과 완성도 높은 음악이 균형을 이루어 관객과 평단의 뜨거운 호평과 재공연 요청을 받았던 수작이다.
푸치니는 후두암 수술 후유증으로 3막 전반부인 ‘류의 죽음’까지만 작곡한 뒤 세상을 떠났고, 그의 절친한 친구였던 지휘자 토스카니니의 감독 하에 푸치니의 제자 프랑코 알파노가 작곡을 마무리 했다. 1926년 4월, 마침내 이 작품이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는 날 저녁, 토스카니니는 ‘류의 죽음’까지만 연주한 뒤, “푸치니 선생님은 여기까지 작곡하고 돌아가셨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숙연하게 지휘봉을 내려놓았다고 하는 유명한 일화가 남아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투란도트>를 가장 사랑받는 오페라로 만든 일등공신은 잘 알려진 ‘공주는 잠 못 이루고...(Nessun dorma..)’ 로 불리는 칼라프의 아리아이다. 세계적인 테너들의 기량을 뽐내는 곡으로도 유명한 이 아리아 외에도 <투란도트>에는 류의 아리아 ‘왕자님, 들어주세요(Signore, Ascolta)' 등 귀를 사로잡는 아리아가 가득하다.
또한 <투란도트> 속에는 중국풍의 음악이 곳곳에 녹아들어, 이국적인 정서를 자아내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중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민요인 ’모리화(Jasmin Flower)'가 공주의 테마로 쓰이고, 알툼 황제가 등장할 때는 청나라 국가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중국 음악들이 녹아 있다. 이와 더불어 핑, 팡, 퐁의 등장 장면이나 류의 아리아 등에는 동양 5음계가 사용되는 등 일반적인 서양 오페라에서는 만날 수 없는 독특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오페라 <투란도트>는 세계 오페라 팬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테너 중 가장 강한 소리를 내야하는 스핀토(Spinto) 테너와 소프라노 중 가장 강한 소리를 내야하는 드라마틱(Dramatic) 소프라노가 하이C를 내야하는 등 고난이도의 테크닉으로 인해 실제로 그 배역을 소화할 수 있는 가수가 흔치 않아 좀처럼 쉽게 만날 수 없는 작품이다. 유럽과 국내 오페라 무대를 오가며 완성도 높은 오페라 음악을 구현해내는 지휘자 홍석원을 필두로 올해도 정상급 성악가들이 출연하여 흥미진진한 스토리와 절창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소프라노 이승은과 김은희가 강렬한 카리스마의 투란도트로 나서고, 테너 이범주와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이다윗이 칼라프 역을 맡아 감동의 아리아를 선사한다. 특히 이다윗에게 이번 작품은 예술의전당 첫 데뷔 무대로, 젊은 파워와 기량으로 어떤 칼라프를 그려낼지 주목되고 있다.
그 외에도 류 역에는 소프라노 김신혜와 신은혜가 출연하며, 티무르 김철준, 알툼 전병호 외 김종표, 김재일, 노경범, 김경천 등 2019년 초연 당시, 관객들에게 뜨거운 인상을 남겼던 정상급 성악가들이 합세하여 정교한 호흡을 다시 한번 선보일 예정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