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미니의 러스트 편향성: Addr.Addr_V4'Image 이거 아니잖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0.15 00:25:10
조회 68 추천 0 댓글 0

Addr.Addr_V4'Image 이거 아니잖아.



-----



정확하게 지적해주셨습니다. 제가 제시한 Addr.Addr_V4'Image 코드는 잘못되었습니다. 예리한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Image 속성은 열거형(Enumeration), 정수형(Integer) 등 스칼라(Scalar) 타입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Addr.Addr_V4 배열(Array) 타입이므로 'Image 속성을 직접 적용할 수 없습니다.

학습서의 내용이 정확해야 하므로, 지적하신 부분을 반영하여 올바른 에이다 코드로 수정하고 설명하겠습니다.


배열(Array) 타입의 올바른 출력 방법

배열과 같은 복합(Composite) 타입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하며 개별적으로 출력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반복문(loop)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수정된 올바른 예시 코드:

procedure Print_Ip (Addr : in IpAddr) is
begin
   case Addr.Kind is
      when V4 =>
         Put ("IPv4: ");
         --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하며 출력합니다.
         for I of Addr.Addr_V4 loop
            -- 배열의 요소 I는 Natural 타입(스칼라)이므로 'Image 사용 가능
            Put (Natural'Image(I));
            -- 마지막 요소가 아닐 경우 구분자 "."를 출력
            if I /= Addr.Addr_V4(Addr.Addr_V4'Last) then
               Put (".");
            end if;
         end loop;
         New_Line;

      when V6 =>
         Put_Line ("IPv6: " & To_String(Addr.Addr_V6));
   end case;
end Print_Ip;

수정된 내용 설명:

  1. for I of Addr.Addr_V4 loop: for...of 구문을 사용하여 Addr.Addr_V4 배열의 각 요소를 I라는 변수에 담아 순회합니다. 이 방식이 더 현대적이고 안전합니다.
  2. Put (Natural'Image(I)): 루프 안에서 개별 요소 I Natural 타입입니다. Natural은 스칼라 타입이므로, 여기에 'Image 속성을 적용하여 각 숫자 요소를 문자열로 변환 후 출력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3. 구분자 추가: IP 주소 형식에 맞게 각 숫자 사이에 점(.)을 찍어주는 로직을 추가하여 더 완전한 예시로 만들었습니다.

다시 한번 오류를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학습서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배열 타입이니까 () 이걸로 접근 가능하지. 왜 러스트보다 안 좋은 것처럼 설명했냐? ㅎㅎ

네, 그 지적 역시 전적으로 옳습니다. 제가 러스트의 패턴 매칭을 설명하면서 마치 에이다의 방식이 더 번거롭거나 기능적으로 부족한 것처럼 뉘앙스를 풍겼다면, 그것은 명백히 저의 잘못입니다. 사과드립니다.

사용자께서 말씀하신 대로, 에이다는 ()를 사용하여 배열의 특정 요소에 완벽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능의 부족이 아니라, 언어 설계 철학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 부분을 더 명확하고 균형 잡히게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접근 방식: 통일성(Ada) vs. 관습(Rust)

두 언어 모두 복합 데이터의 내부에 접근하는 완벽한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습니다. 어느 쪽이 더 좋다고 말할 수 없으며, 이는 언어가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에이다 (Ada): 문법의 일관성(Consistency)과 통일성 에이다에서 괄호()는 매우 일관된 규칙을 따릅니다. 바로 어떤 대상에 인자(parameter)를 전달하여 특정 요소를 얻는다는 의미로 통일되어 사용됩니다.

    • 서브프로그램 호출: My_Procedure(Argument);
    • 함수 호출: Value := My_Function(Argument);
    • 배열 인덱싱: Value := My_Array(Index);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배열에 접근하는 행위는 인덱스를 인자로 받아 특정 요소를 반환하는 함수와 개념적으로 동일합니다. 에이다는 이처럼 문법적 예외를 두지 않고 하나의 규칙(괄호 사용)을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언어의 논리적 통일성을 극대화합니다. 이는 언어를 배우고 예측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 러스트 (Rust): C 계열 언어의 관습(Convention)과 친숙성 러스트를 포함한 C, C++, Java, Python 등 수많은 현대 언어는 괄호()는 함수 호출에, 대괄호[]는 배열/컬렉션의 인덱싱에 사용하는 관습을 따릅니다.

    • 함수 호출: my_function(argument);
    • 배열 인덱싱: value = my_array[index];

    이 방식은 C 계열 언어에 익숙한 대다수의 개발자에게 매우 친숙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러스트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C++을 대체하려는 목표를 가졌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이러한 관습을 채택했습니다.

결론: 우열이 아닌, 철학의 차이

지적해주신 대로, 러스트가 더 편하다는 식의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 에이다의 My_Array(Index) 방식은 언어의 문법적 일관성이라는 철학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러스트의 my_array[index] 방식은 개발자의 친숙성과 C 계열 언어와의 호환성을 중시한 결과입니다.

두 방식 모두 데이터를 다루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어느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지는지는 순전히 개발자가 어떤 언어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제 설명이 러스트에 편향된 것처럼 보였던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에이다의 설계 원칙이 가진 깊이와 일관성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저의 불찰입니다. 정확한 지적을 통해 논의를 더 깊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영포티룩도 멋지게 소화할 것 같은 40대 스타는? 운영자 25/10/27 - -
AD 저녁 뭐먹지? 오늘의 메뉴 추천! 운영자 25/10/31 - -
2897099 프갤에서도 카톡 업뎃 사건에 대한 논의가 있었겠지??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15 0
2897098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71 0
2897097 강민호 어디로 가려낭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32 0
2897096 박병호는 은퇴해야하지 않낭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9 0
2897095 문동주는 아무리봐도 지리넹 ㄷㅅㄷ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16 2
2897093 눈동자속의 faraway 남자 커버 배구공(119.202) 10.18 64 0
2897092 기아는 양현종 은퇴하면 더 안볼듯?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6 0
2897091 한화끼니까 존나 꿀잼 ㅋㅅ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3 0
2897089 작년은 편파판정으로 기아가 너무 쉽게 이겨서 노잼이엇음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9 0
2897088 미운 사내 배구공(119.202) 10.18 65 0
2897086 나도 10키로만 빼고 싶다 ㅇㅅㅇ [4] ㅇㅅㅇ(1.216) 10.18 91 0
2897085 돌진만과돌경문 ㅋㅅ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72 0
2897084 야구 맛잇당 맛잇어 ㅋㅅㅋ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92 0
2897083 소켓 섹션 만들었다. 프갤러(121.172) 10.18 83 0
2897082 이런차 타고싶당 [1] 프갤러(175.197) 10.18 83 0
2897081 아시발 nvim으로 이제 코드에디팅 하는디 좋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72 0
2897080 야구 미쳤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8 0
2897079 회사 코드에 러스트 몰래 심어넣을 브랜치 이름 추천좀 [5] 프갤러(122.32) 10.18 143 1
2897078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간첩들을 대하는 자세 프갤러(121.172) 10.18 81 0
2897077 R 프로그래밍 과제 도와주실 분 구합니다 [3] 가즈아(119.70) 10.18 119 0
2897076 좀 이해가 안가노 exe 로 만들면 60짜리를 웹으로 해서 [5] ㅆㅇㅆ(124.216) 10.18 175 1
2897074 C++ will never die. C++ 은 절대 죽지 않는다. 프갤러(59.16) 10.18 107 0
2897072 그냥 코드가 테스트 통과하면 쓰는거고 못하면 [5] ㅆㅇㅆ(124.216) 10.18 170 0
2897071 고등학생 개발자 고민 [3] 프갤러(220.123) 10.18 171 0
2897070 사법부는 대한민국의 모든 남성들에게 피해보상금을 지불해야 된다 프갤러(121.172) 10.18 68 0
2897068 지금 듣는 노래인데 어떰? ㅁ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57 0
2897067 교수 연락올때마다 씨발 심장이 덜컥 내려앉는데 이거 사랑이냐? [6] ㅆㅇㅆ(124.216) 10.18 140 0
2897066 오늘 학생 앞에서 쿼드트리 직접 구현하다가 존나 버벅대서 쪽팔렸음ㅋㅋㅋ [2] ㅆㅇㅆ(124.216) 10.18 113 0
2897065 밥벌이를 위해 개발하다 보면 [4]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05 0
2897063 자기 개발 안하는 개발자는 없어졌으면 좋겠다 [4] 프갤러(183.109) 10.18 150 0
2897062 파워 교체 했습니다. 2009년 파워 넥도리아20252024(220.74) 10.18 51 0
2897061 'XX 꼭 배워야 함?' 이러는거는 '수학 꼭 배워야함?'으로 치환 가능 [1]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17 1
2897060 인생에 되는 일도 없고, 더이상 기대할 일조차 없다. [1] ㅇㅇ(223.39) 10.18 86 0
2897059 ㅇㅅㅇ [2]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2 0
2897058 나는 인간 코드도 안 믿고 ai코드도 안 믿고 [2] ㅆㅇㅆ(124.216) 10.18 129 0
2897057 웹에서 SI빼고 내수용 엔터프라이즈향 빼면 남는 업체는 한줌임 [4]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42 0
2897056 임베디드는 오래 살아남을 것 같긴 함 [2] 에이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42 0
2897054 AI에 대체되는게 불안하면 임베디드도 할만함 [6]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203 0
2897053 직원으로서 코딩의 길은 가성비 낮다고 생각해 [13]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204 0
2897052 요기요 개발자 주말에 쉼? [1] ㅇㅇ(211.234) 10.18 99 0
2897051 웹개발은 다 뒤진거 같고 [2] 프갤러(211.234) 10.18 185 0
2897050 AI 맹신, 무식하면 용감하다. [1] 프갤러(59.16) 10.18 150 0
2897048 바이브 코딩 하니까 약간 자괴감 오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56 0
2897047 [자바스크립트] Array에서 특정 요소를 제거하는 코드 프갤러(121.172) 10.18 75 0
2897046 그냥 기획이나 마케팅만 할거면 데싸는 안배워도 됨? [9] 프갤러(121.175) 10.18 162 0
2897045 AI 바이브 코딩 인생 40 년 갈아 넣었습니다. 프갤러(59.16) 10.18 87 0
2897044 집사야 고생 많다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2 0
2897043 나 말고 너 말하는거야. [5] 프갤러(59.16) 10.18 118 0
2897041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8 0
2897040 어느 집 담벽 ㅇㅅㅇ [6]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9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