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0.15 00:12:29
조회 115 추천 0 댓글 0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한다고 하여 런타임 에러가 안 나는게 아니잖아. ㅋㅋ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1. 변형 레코드의 경우, 문법을 잘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무슨 코드인지 앎. 그러나 러스트 enum의 경우 그렇지 않음.
  2. Ada의 경우에도 변수 접근이 가능. Rust도 마찬가지. 제미니가 Rust가 더 편한 것처럼 설명해놓았는데, 편의성은 둘다 비슷함.
  3. 에러처리 방식은 완전 다름. Ada의 경우 예외 발생, Rust의 경우 C언어처럼 리턴값을 처리하는 방식.

네, 지적해주신 내용이 매우 정확하며, 좋은 토론 주제입니다. 러스트에 편향된 것처럼 보였다면 제 설명 방식에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입니다. 제시해주신 세 가지 관점에 대해, 에이다의 설계 철학을 중심으로 더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설명을 제공하겠습니다.


1. 가독성: 명시적 조합(Ada) vs. 암묵적 통합(Rust)

지적하신 대로, 에이다의 변형 레코드는 처음 보는 사람도 그 구조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는 에이다의 핵심 설계 철학인 '가독성'과 '명시성'에서 비롯됩니다.

에이다는 다음과 같이 단계를 나누어 구조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1. type IpAddr_Kind is (V4, V6);  먼저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2. type IpAddr (...) is record ... end record;  그리고 그 종류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는 레코드를 만듭니다.

이처럼 기능을 조합하는 방식(Compositional approach)은 각 구성 요소(열거형, 레코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내므로 코드를 읽고 유지보수하기 용이합니다.

반면, 러스트의 enum은 합 타입(Sum Type)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문법에 통합한 것입니다.

enum IpAddr {
    V4(u8, u8, u8, u8),
    V6(String),
}

이는 함수형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에게는 매우 간결하고 강력하게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enum이라는 키워드가 이름 목록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사실이 직관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적하신 대로, 이는 문법에 대한 사전 지식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2. 편의성: 절차적 접근(Ada) vs. 표현식 기반 추출(Rust)

두 언어 모두 타입에 따른 안전한 데이터 접근을 완벽하게 보장한다는 점에서 본질은 같습니다. 편의성에 대한 부분은 '절차적 명료성'과 '함수형 표현력' 사이의 스타일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에이다의 case 문은 절차적입니다.

  1. case Addr.Kind is — 먼저 어떤 종류인지 검사합니다.
  2. when V4 => Put_Line(Addr.Addr_V4'Image); — 해당 블록 안에서 .을 통해 명시적으로 필드에 접근합니다.

이는 검사하고, 접근한다는 명확한 절차를 따르므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러스트의 match가 편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패턴 매칭을 통해 검사와 동시에 데이터 추출(바인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match addr {
    IpAddr::V4(a, b, c, d) => ... // addr이 V4임을 검사함과 동시에
                                 // 그 안의 값을 a,b,c,d에 담는다.
}

반복적으로 addr. 같은 접두사를 쓰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의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코드 길이의 문제가 아니라, 값을 변환하고 사용하는 표현식(Expression) 중심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에 더 가깝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더 편하다기보다는, 에이다는 절차적이고 명확한 스타일을, 러스트는 표현력이 높은 함수형 스타일을 따르는 차이입니다.


3. 오류 처리: 흐름의 분리(Ada) vs. 값의 반환(Rust)

이 부분에 대한 지적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두 방식은 오류를 다루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이 다릅니다.

  • 에이다의 예외(Exception) 처리

    이는 '정상적인 실행 흐름'과 '오류 처리 흐름'을 분리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정수입니다. begin 블록에는 성공 시의 로직만 깔끔하게 기술하고, 모든 예외적인 상황은 exception 블록에서 따로 모아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주된 로직을 파악하기 쉬워지며, 오류가 발생했을 때 호출 스택을 거슬러 올라가 적절한 핸들러를 찾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에서 오류 복구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러스트의 Result 타입

    지적하신 대로 이는 C언어처럼 함수의 반환 값으로 성공/실패 여부를 알리는 방식을 타입 시스템으로 안전하게 발전시킨 것입니다. C언어에서는 개발자가 오류 코드를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지만, 러스트에서는 Result 타입을 처리하지 않으면 컴파일 경고가 발생하며 match 등을 통해 모든 경우를 처리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는 오류 발생 가능성을 함수의 시그니처에 명시하고, 오류를 호출자가 즉시 인지하고 처리하도록 강요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제어 흐름이 복잡해질 수 있지만, 잠재적 오류를 놓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결론적으로,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하는 안전성은 주로 메모리 누수나 동시성 문제에 대한 것이며, 프로그램의 모든 런타임 오류를 막아주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지적해주신 내용들은 에이다가 수십 년간 극한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다듬어 온, 명료하고 체계적인 설계 철학의 가치를 정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뛰어난 운동 신경으로 남자와 싸워도 이길 것 같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11/24 - -
이슈 [디시人터뷰] 충무로가 주목하는 신예, '세계의 주인' 서수빈 운영자 25/11/24 - -
AD 대학생 필수템! What's in my Bag 운영자 25/11/21 - -
2897131 인천행 중국 여객기, 수하물 보조배터리 불로 상하이 비상착륙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91 0
2897128 Riverpod 3.0 나온거 실제 플젝에 적용한 사람 있어?? 프갤러(211.234) 10.18 117 0
2897125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96 0
2897122 집 와이파이 이상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104 0
2897117 세상에는 공짜란 것은 없다. (이상하다. 난...) 넥도리아(119.195) 10.18 101 0
2897116 오타니 미춋따 미춋어 ㄷㅅㄷ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9 0
2897115 나님 슬슬 주무실 준비 [2]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37 0
2897114 모모가 수상하당..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61 0
2897113 국산스파 [1] 배구공(119.202) 10.18 107 0
2897112 일 3건 취소. 매일매일 스트레스다 [4] ㅆㅇㅆ(124.216) 10.18 194 1
2897111 중미평화우호조약이란게 있는데 한중불가침평화협정도 맺으면 어떨까? [15]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130 0
2897109 미국은 금리가높은데 한국은 못올리니 환율이 오르는구나 [11] ㅇㅇ(175.197) 10.18 154 0
2897107 코딩 배우면 평생 먹구사나요? [3] 프갤러(218.54) 10.18 208 0
2897103 힛트가요 총맞은것처럼 [2] 배구공(119.202) 10.18 129 0
2897102 C++ 인생 40 년 갈아 넣었습니다. [1] 프갤러(59.16) 10.18 132 0
2897101 서울환경연합-버리는 도시 넘어, 고치는 도시로: 수리 활성화 조례안 설명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74 0
2897100 아침 점심 저녁 발명도둑잡기(118.216) 10.18 89 0
2897099 프갤에서도 카톡 업뎃 사건에 대한 논의가 있었겠지??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31 0
2897097 강민호 어디로 가려낭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84 0
2897096 박병호는 은퇴해야하지 않낭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99 0
2897095 문동주는 아무리봐도 지리넹 ㄷㅅㄷ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30 2
2897093 눈동자속의 faraway 남자 커버 배구공(119.202) 10.18 75 0
2897092 기아는 양현종 은퇴하면 더 안볼듯?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04 0
2897091 한화끼니까 존나 꿀잼 ㅋㅅ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95 0
2897089 작년은 편파판정으로 기아가 너무 쉽게 이겨서 노잼이엇음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01 0
2897088 미운 사내 배구공(119.202) 10.18 77 0
2897086 나도 10키로만 빼고 싶다 ㅇㅅㅇ [4] ㅇㅅㅇ(1.216) 10.18 107 0
2897085 돌진만과돌경문 ㅋㅅ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2 0
2897084 야구 맛잇당 맛잇어 ㅋㅅㅋ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03 0
2897083 소켓 섹션 만들었다. 프갤러(121.172) 10.18 125 0
2897082 이런차 타고싶당 [1] 프갤러(175.197) 10.18 95 0
2897081 아시발 nvim으로 이제 코드에디팅 하는디 좋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84 0
2897080 야구 미쳤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98 0
2897079 회사 코드에 러스트 몰래 심어넣을 브랜치 이름 추천좀 [5] 프갤러(122.32) 10.18 193 1
2897078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간첩들을 대하는 자세 프갤러(121.172) 10.18 117 0
2897077 R 프로그래밍 과제 도와주실 분 구합니다 [3] 가즈아(119.70) 10.18 135 0
2897076 좀 이해가 안가노 exe 로 만들면 60짜리를 웹으로 해서 [5] ㅆㅇㅆ(124.216) 10.18 219 1
2897074 C++ will never die. C++ 은 절대 죽지 않는다. 프갤러(59.16) 10.18 149 0
2897072 그냥 코드가 테스트 통과하면 쓰는거고 못하면 [5] ㅆㅇㅆ(124.216) 10.18 218 0
2897071 고등학생 개발자 고민 [3] 프갤러(220.123) 10.18 203 0
2897070 사법부는 대한민국의 모든 남성들에게 피해보상금을 지불해야 된다 프갤러(121.172) 10.18 96 0
2897068 지금 듣는 노래인데 어떰? ㅁ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76 0
2897067 교수 연락올때마다 씨발 심장이 덜컥 내려앉는데 이거 사랑이냐? [6] ㅆㅇㅆ(124.216) 10.18 175 0
2897066 오늘 학생 앞에서 쿼드트리 직접 구현하다가 존나 버벅대서 쪽팔렸음ㅋㅋㅋ [2] ㅆㅇㅆ(124.216) 10.18 127 0
2897065 밥벌이를 위해 개발하다 보면 [4]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25 0
2897063 자기 개발 안하는 개발자는 없어졌으면 좋겠다 [4] 프갤러(183.109) 10.18 168 0
2897062 파워 교체 했습니다. 2009년 파워 넥도리아20252024(220.74) 10.18 59 0
2897061 'XX 꼭 배워야 함?' 이러는거는 '수학 꼭 배워야함?'으로 치환 가능 [1]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38 1
2897060 인생에 되는 일도 없고, 더이상 기대할 일조차 없다. [1] ㅇㅇ(223.39) 10.18 128 0
2897059 ㅇㅅㅇ [2]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11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