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0.15 00:12:29
조회 97 추천 0 댓글 0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한다고 하여 런타임 에러가 안 나는게 아니잖아. ㅋㅋ 제미니마저 Rust에 편향되게 설명하네. ㅎㅎ

  1. 변형 레코드의 경우, 문법을 잘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무슨 코드인지 앎. 그러나 러스트 enum의 경우 그렇지 않음.
  2. Ada의 경우에도 변수 접근이 가능. Rust도 마찬가지. 제미니가 Rust가 더 편한 것처럼 설명해놓았는데, 편의성은 둘다 비슷함.
  3. 에러처리 방식은 완전 다름. Ada의 경우 예외 발생, Rust의 경우 C언어처럼 리턴값을 처리하는 방식.

네, 지적해주신 내용이 매우 정확하며, 좋은 토론 주제입니다. 러스트에 편향된 것처럼 보였다면 제 설명 방식에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입니다. 제시해주신 세 가지 관점에 대해, 에이다의 설계 철학을 중심으로 더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설명을 제공하겠습니다.


1. 가독성: 명시적 조합(Ada) vs. 암묵적 통합(Rust)

지적하신 대로, 에이다의 변형 레코드는 처음 보는 사람도 그 구조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는 에이다의 핵심 설계 철학인 '가독성'과 '명시성'에서 비롯됩니다.

에이다는 다음과 같이 단계를 나누어 구조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1. type IpAddr_Kind is (V4, V6);  먼저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2. type IpAddr (...) is record ... end record;  그리고 그 종류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는 레코드를 만듭니다.

이처럼 기능을 조합하는 방식(Compositional approach)은 각 구성 요소(열거형, 레코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내므로 코드를 읽고 유지보수하기 용이합니다.

반면, 러스트의 enum은 합 타입(Sum Type)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문법에 통합한 것입니다.

enum IpAddr {
    V4(u8, u8, u8, u8),
    V6(String),
}

이는 함수형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에게는 매우 간결하고 강력하게 느껴지지만, 그렇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enum이라는 키워드가 이름 목록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사실이 직관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적하신 대로, 이는 문법에 대한 사전 지식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2. 편의성: 절차적 접근(Ada) vs. 표현식 기반 추출(Rust)

두 언어 모두 타입에 따른 안전한 데이터 접근을 완벽하게 보장한다는 점에서 본질은 같습니다. 편의성에 대한 부분은 '절차적 명료성'과 '함수형 표현력' 사이의 스타일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에이다의 case 문은 절차적입니다.

  1. case Addr.Kind is — 먼저 어떤 종류인지 검사합니다.
  2. when V4 => Put_Line(Addr.Addr_V4'Image); — 해당 블록 안에서 .을 통해 명시적으로 필드에 접근합니다.

이는 검사하고, 접근한다는 명확한 절차를 따르므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러스트의 match가 편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패턴 매칭을 통해 검사와 동시에 데이터 추출(바인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match addr {
    IpAddr::V4(a, b, c, d) => ... // addr이 V4임을 검사함과 동시에
                                 // 그 안의 값을 a,b,c,d에 담는다.
}

반복적으로 addr. 같은 접두사를 쓰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의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코드 길이의 문제가 아니라, 값을 변환하고 사용하는 표현식(Expression) 중심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에 더 가깝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더 편하다기보다는, 에이다는 절차적이고 명확한 스타일을, 러스트는 표현력이 높은 함수형 스타일을 따르는 차이입니다.


3. 오류 처리: 흐름의 분리(Ada) vs. 값의 반환(Rust)

이 부분에 대한 지적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두 방식은 오류를 다루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이 다릅니다.

  • 에이다의 예외(Exception) 처리

    이는 '정상적인 실행 흐름'과 '오류 처리 흐름'을 분리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정수입니다. begin 블록에는 성공 시의 로직만 깔끔하게 기술하고, 모든 예외적인 상황은 exception 블록에서 따로 모아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주된 로직을 파악하기 쉬워지며, 오류가 발생했을 때 호출 스택을 거슬러 올라가 적절한 핸들러를 찾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에서 오류 복구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러스트의 Result 타입

    지적하신 대로 이는 C언어처럼 함수의 반환 값으로 성공/실패 여부를 알리는 방식을 타입 시스템으로 안전하게 발전시킨 것입니다. C언어에서는 개발자가 오류 코드를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지만, 러스트에서는 Result 타입을 처리하지 않으면 컴파일 경고가 발생하며 match 등을 통해 모든 경우를 처리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는 오류 발생 가능성을 함수의 시그니처에 명시하고, 오류를 호출자가 즉시 인지하고 처리하도록 강요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제어 흐름이 복잡해질 수 있지만, 잠재적 오류를 놓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결론적으로, 러스트가 컴파일 시점에 강제하는 안전성은 주로 메모리 누수나 동시성 문제에 대한 것이며, 프로그램의 모든 런타임 오류를 막아주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지적해주신 내용들은 에이다가 수십 년간 극한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다듬어 온, 명료하고 체계적인 설계 철학의 가치를 정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영포티룩도 멋지게 소화할 것 같은 40대 스타는? 운영자 25/10/27 - -
AD 저녁 뭐먹지? 오늘의 메뉴 추천! 운영자 25/10/31 - -
2896923 반학기동안 배운 짧은 세계사 패권정리 이거 맞음?? ㅇㅇ(223.39) 10.17 75 0
2896922 도련니미 찢데요시 ㅋㅋㅋㅋㅋㅋㅋㅋ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235 3
2896921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62 0
2896920 하 새끼 나보다 퀀트 도메인 잘알아서 자꾸 지랄 하는거 받아주니까 [2] ㅆㅇㅆ(124.216) 10.17 133 0
2896917 오늘은 내 일 해야겠다 작업한것중 일부 돈이 안들어옴 [2] ㅆㅇㅆ(124.216) 10.17 88 0
2896915 니들 현실 [5] 프갤러(49.165) 10.17 133 0
2896913 [대한민국] 트럼프, 한국을 제 2의 괌으로 -진 커밍스 프갤러(121.172) 10.17 103 0
2896912 부러운 사람 [3] 배구공(119.202) 10.17 118 0
2896910 근데 시플플 최신표준은 어디서봐요 [7] 배구공(119.202) 10.17 119 0
2896909 소개팅 스트레스 [6]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18 1
2896908 예전부터 생각하지만 너 문해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거 아니냐? [20] ㅆㅇㅆ(124.216) 10.17 155 0
2896907 그냥 꼬우면 씨발 닉언하고 들이박으면 그만이지 음침해가지고 [2] ㅆㅇㅆ(124.216) 10.17 100 0
2896905 window linux mac 게이츠 토발즈 팀쿡 - 보수 진보 중도 [1]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0.17 93 0
2896904 전공자도 모르는 마법이 아니라 기본도 모르는 [11] ㅆㅇㅆ(124.216) 10.17 158 3
2896903 서울30년 넘게살아서 혜택이 도대체뭐지??쥐새끼마냥 실험만 당하고 [8]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0.17 107 0
2896902 혹시 전공자도 모르는 마법같은게 어디 따로 있다고 믿는건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06 4
2896901 오늘 출근 안함 ㅋ [3] 루도그담당(118.235) 10.17 116 0
2896900 헤르미온느씨 아침햇살 사진 수정해드렸습니다 [4]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24 0
2896899 개발자하지마라 [3] ㅇㅇ(59.14) 10.17 177 0
2896898 개발 SM 취업하려면 혹시 사람인에 뭐라고 쳐야 알수있어? 프갤러(122.40) 10.17 201 0
2896897 나는 내가 일하고 싶을때만 일하려고 취업을 거부해! ㅇㅇ(211.234) 10.17 76 2
2896896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64 0
2896895 반지의 제왕은 어쩌다 한 번은 봐도 두 번 세 번은 못보겠더라..ㅇㅅㅇ [2]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64 0
2896894 인텔 인공지능 인재교육 (~11/3) 프갤러(121.130) 10.17 205 0
2896893 아침햇살에 빛나는..ㅇㅅㅇ [6]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87 0
2896892 대통령이라면 역사와 외교안보에 있어서는 오른쪽이어야 한다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13 1
2896890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63 0
2896889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시즌5)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74 0
2896885 진정한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6]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40 0
2896884 특검을 특검하라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67 0
2896883 cpu랑 메인보드 만들 사람 구합니다. 재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88 0
2896882 홍석천 아저씨 드럼통 당하는거 아님? ㄷㅅㄷ [2]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81 0
2896881 이제 더 이상 못참겠다. 진짜 저질러야겠다. 프갤러(218.153) 10.17 71 1
2896880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78 0
2896877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35) 10.17 99 0
2896870 새벽에 연락와서 이제 일어남. [3] ㅆㅇㅆ(124.216) 10.17 135 0
2896867 나는 클린 아키텍쳐보다 단순 포트 어댑터가 편한듯 [2] ㅆㅇㅆ(124.216) 10.17 109 0
2896861 단순 논문 재현 하는데 왜 이렇게 요구사항이 많은지 [3] ㅆㅇㅆ(124.216) 10.17 129 0
2896860 교수새끼들만 끼면 그냥 일이 복잡해지노 ㅆㅇㅆ(124.216) 10.17 97 0
2896859 미국 핵심산업 안보공급망 확보를 위한 투자가 늘겠구나.. hrin(220.120) 10.17 77 0
2896858 ❤✨☀⭐⚡☘⛩나님 소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98 0
2896856 글로벌 인재 포럼 참가 신청했다 hrin(220.120) 10.17 98 0
2896855 요즘은 웨스턴 디지털이 좋아 보이는구나 hrin(220.120) 10.17 113 0
2896853 재매이햄 부동산 규제 빡세네 [4] hrin(118.235) 10.17 133 2
2896852 코딩테스트가 이제 의미가 있나싶음 [2] 카드캡터체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41 1
2896851 정말 화가 난다. 개미만도 못한 스스로가 너무 역겹다. ㅇㅇ(223.39) 10.17 63 0
2896850 모기 느낌..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7 111 0
2896847 개발 때려치우고 전산직 갈려는데 뭐준비해야하냐? ㅇㅇ(220.77) 10.17 104 0
2896844 카카오 코테는 ㅈ랄맞은 듯 [1] 프갤러(110.13) 10.16 345 0
2896840 반지의 제왕 1편 마져 보는 중 [2] 발명도둑잡기(118.235) 10.16 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