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영화는 도경수, 설경구 주연의 이다. 제목처럼 이 영화는 SF 영화이다. 사실 우리나라 SF영화는 크게 빛을 보지는 못하고 있다. 영화 은 큰 제작비를 들여 만들어졌지만, 관객에게 크게 환영받진 못했다. 오늘은 이 영화를 얘기하면서 우리나라 SF 영화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생각도 덧붙일 예정이다.
우선 영화 은 달로 가는 여정 중 젊은 막내 대원이 겪는 끔찍한 상황을 담은 이야기이다. UDT를 전역한 후 우주 대원이 된 황선우. 그는 선배 대원들과 함께 2029년, 우리호를 타고 달로 출발하였다. 5년 전 자신의 아버지가 설계했던 나래호가 공중에서 처참하게 분해된 후, 그는 반드시 자신이 아버지가 하고자 했던 일을 해내겠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달로 향한다.
그런데 안심하는 순간은 너무 짧았다. 예상치 못한 태양풍을 맞아 동료들은 모두 죽고, 조종은 할 줄도 모르는 황선우 대원만 살아남은 것이다. 그리고 지구에서는 이 황선우 대원을 구하기 위해 5년 전 나래호 설계 책임자였던 김재국을 찾아간다.
이 이후로 황선우는 지구에 있는 김재국과 계속 소통하며 우주선을 조종하고, 달에 도착까지 한다. 하지만 달에 도착하는 것이 끝이 아니었다. 이 다음부터가 진짜 끔찍하고 참담하며, 달이라는 우리가 감히 체감조차 하지 못하는 행성에 대한 공포감을 끝없이 불러온다.
영화에 대한 총평을 말하자면, 부정적인 반응에 비해 꽤 재미있었다. 긴장감과 공포감을 너무 잘 표현해서 달이라는 거대한 행성에서 오는 무서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게다가 CG는 초반에는 그저 그랬지만 황선우가 달에 도착한 후부터는 정말 실감나게 잘 만들어져 있었다. 거부감이 안 들고 진짜 상황에 몰입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였다. SF 영화의 내용이나 방향성에서는 우리나라가 고쳐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그래픽 기술만큼은 확실히 성장했다는 걸 보여준 영화라고 생각한다.
우주라는 주제에 대한 연출, 주인공이 살아남는 과정은 너무나도 마음에 들었지만, 신파라는 실패요인을 피해가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우선 이해관계가 너무 많다. 이미 우주에 대해 이야기를 더 해도 모자른데, 신파나 여러 인문들이 쓸데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중간중간 몰입감이 떨어졌다. 차라리 황선우 대원과 김재국간의 관계 하나만 크게 다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SF 영화는 사람들이 우주에 대한 내용을 보려고 모여드는 장르인데, 마지막 부분의 눈물연기는 마이너스 요소만 더한 장면이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SF 영화가 꾸준히 발전하고 있고, 앞으로를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게하는 작품이었다. 신파만 빼면 몰입감도 좋고 그래픽 기술이 아주 좋으니, SF를 좋아한다면 한번쯤 보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