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토토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토토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수많은 가자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2) 수산물학살자
- "남친 담당 브라질리언 왁서가 내 동창이면 어떡할 거임".jpg ㅇㅇ
- 마법소녀기담 ABC 106화 존크라운
- 싱글벙글 14년전 무리수였다는 게임설정..jpg ㅇㅇ
- 집에 편의점 장만하는 만화.manhwa printer
- 싱글벙글 대한민국을 지키는 가장 깊은 힘 ㅇㅇ
- 서양인들 사이에서 진격의 거인 인기 체감.jpg 김녹차
- (ㅇㅎ)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세계증시 폭락하는. manhwa 새만화금고
- 싱글벙글 인터뷰로 밝혀진 신작 프롬게임 화방녀.jpg sakuri
- 혐주의) 싱글벙글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잏현
- 싱글벙글 세상의 절반으로 불리던 도시 보까치
- 용사님 나가신다14 순디
- 싱글벙글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 구단주(야구 축구 농구) 싱글벙글참치캔
- 싱글벙글 김정은이 직접 지도한 북괴군 속전 침투 훈련 ㅇㅇ
- 황철순 아내가 한 짓 모음(개씹스압) 보갤러
AI 에너지, 물 사용량 음모론 완전 반박.jpg
대표적인 음모론 1. ChatGPT는 구글 검색보다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쓴다 2. AI에 대화하는 에너지의 양은 존나 막대하고 미친 수준의 전기를 잡아먹는다 3. AI는 물 먹는 하마다. 물을 증발시킨다(?)에 대해서 AI를 통해 알아보자.선요약) 좆도 아니다1. ChatGPT는 구글 검색보다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쓴다→ 맞는데 틀림 (뭔 개소리냐 생각이 들면 아래 내용을 읽어보자...)"10배 차이" 주장의 근원 추적:UN, IEA 등의 보고서에서 인용되는 "챗봇 2.9Wh vs 구글 검색 0.3Wh" 주장은 2023년 초 알파벳 회장의 "아마도(likely) 10배 더 들 것"이라는 추측성 발언과, 이를 뒷받침하는 SemiAnalysis의 분석에서 시작됩니다.구글 검색(0.3Wh): 이 수치는 2009년 구글 블로그 자료에 기반한 것으로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최신(2024년) 추정치는 약 0.04Wh로, 10배 가까이 효율이 개선되었습니다.챗봇(2.9Wh): SemiAnalysis의 분석은 평균 응답 토큰 수를 2,000개로 가정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대화형 챗봇 사용 시의 응답 길이(약 200 토큰)보다 10배 가량 깁니다. 에너지 소비는 출력 토큰 수에 비례하므로, 이 추정치 역시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더 현실적인 챗봇 에너지 추정치 (0.2Wh):2023년 10월 발표된 "From Words to Watts" 논문 등 최신 연구에서는 실제 하드웨어 측정을 통해 토큰당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했습니다.LLaMA 65B 모델 기준, 평균적인 챗봇 상호작용(약 200 토큰) 시 약 0.2Wh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앞서 SemiAnalysis 추정치를 현실적인 응답 길이에 맞게 조정한 값과도 일치합니다.결론: "10배 차이"는 맞지만, 숫자는 훨씬 작다!구글 검색(0.3Wh -> 0.04Wh)과 챗봇(2.9Wh -> 0.2Wh) 모두 과거 추정치보다 약 10배 정도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었습니다.따라서 비율 자체(약 5~10배 차이)는 여전히 비슷할 수 있지만, 실제 절대적인 에너지 소비량은 훨씬 작습니다. (0.2Wh vs 0.04Wh)절대적인 양: 설령 챗봇을 하루 100번 사용해도(20Wh), 이는 가솔린 자동차로 약 30미터 운전하는 에너지와 비슷합니다. 1년 내내 사용해도 자동차로 가까운 식당 한 번 왕복하는 수준.2. AI에 대화하는 에너지의 양은 존나 막대하고 미친 수준의 전기를 잡아먹는다→ 구라챗봇 연간 에너지 소비량 추정: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챗봇(GPT-4급)과의 상호작용 1회당 약 0.2Wh 소모.하루 100회 상호작용(예: 10번의 대화, 각 10번의 메시지 교환)을 "매일" 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약 7.2kWh 사용.일상 활동과의 비교:🚗 자동차(가솔린) 10km 주행: 약 7.6kWh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많음)🚿 따뜻한 물 샤워 5번 (각 5분): 약 8kWh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많음)🛁 따뜻한 물 목욕 2번: 10kWh 이상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훨씬 많음)결론 및 제언:일반적인 챗봇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는 '에너지 재앙'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챗봇 에너지 사용을 걱정하기보다, 짧은 거리 운전 대신 걷거나, 샤워 시간을 조금 줄이거나, 목욕 대신 샤워를 하는 등 다른 일상 활동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런 작은 노력으로도 챗봇 연간 사용량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3. AI는 물먹는 하마다. 물을 증발시킨다(?)→ 구라흔한 오해와 진실:"ChatGPT 50번 질문 = 물 0.5L 소모" 주장의 오류: 이 주장은 원본 연구를 오해한 것입니다.실제로는 질문 1개가 아니라 20~50개 질문당 0.5L라는 의미였습니다.더 중요한 것은, 이 수치에는 데이터센터 냉각수(On-site, 약 15%) 뿐만 아니라, AI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 물(Off-site, 약 85%)과 모델 훈련에 사용된 물을 분할 계산한 양까지 포함된다는 점입니다.따라서 데이터센터에서 직접 사용하는 냉각수만 따지면 약 300번의 질문당 0.5L 수준으로 훨씬 적습니다.모든 온라인 활동은 물을 사용합니다: AI뿐만 아니라 이메일 전송, 사진 업로드, 온라인 쇼핑, 음악 스트리밍, 화상 통화 등 모든 인터넷 활동은 전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의 전기 생산 과정(화력, 원자력 등)에서 냉각 등을 위해 막대한 양의 물이 사용됩니다. (이를 '에너지-물 넥서스'라고 합니다.)ChatGPT 물 사용량, 실제 규모는?일관된 기준으로 비교 시: 다른 온라인 활동과 동일한 기준(전기 생산 물 포함)으로 ChatGPT 질문 1회의 물 사용량은 약 30mL입니다.다른 활동과의 비교:온라인: 앱 다운로드(40mL), 전자상거래 구매(170mL), 음악 스트리밍 1시간(250mL), GPS 사용 1시간(260mL), 소셜 미디어 탐색 1시간(430mL), Zoom 통화 1시간(1720mL), 4K 비디오 10분 시청(2580mL) 등 많은 일상적인 온라인 활동보다 적거나 비슷한 수준입니다.오프라인: 햄버거 1개 생산(약 2500L 또는 660갤런)에 비하면 ChatGPT 수십만 번 질문의 물 사용량은 극히 미미합니다. 미국 내 누수되는 파이프에서 하루 동안 낭비되는 물의 양이 전 세계 ChatGPT 하루 사용량보다 훨씬 많습니다.모델 훈련 비용: GPT-4 훈련에 많은 물(약 10억 리터)이 들었지만, 이를 수천억 건의 질문으로 나누면 질문당 추가되는 물 사용량은 약 5mL (기존 대비 +16%) 정도로 크지 않습니다.맥락의 중요성:데이터센터 vs 농업: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이 특정 지역의 수자원에 부담을 줄 수는 있지만, 농업(특히 축산업)에 비하면 사용량도 훨씬 적고 수질 오염도 덜 유발합니다. (미국 소고기 생산의 약 20%가 물 부족 지역에서 이루어짐)태양광의 이점: 물 부족 지역의 데이터센터는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태양광 발전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오히려 전체적인 물 사용량 감소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과도한 걱정은 본질을 흐린다: 개인의 ChatGPT 물 사용량을 걱정하는 것은, 마치 디지털 시계의 물 사용량(전기 생산 과정 포함 시 상당량)을 걱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기후 변화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에너지 전환, 농업 방식 개선 등 훨씬 큰 규모의 시스템 변화에 집중해야 합니다.덤) 일러스트레이터와 AI 이용자 환경오염 비교- 평범한 사용자가 AI 챗봇에게 하루 100번의 질문/답변을 주고받는다 가정하면 20Wh- 일러스트레이터 : 전문가용 4K 모니터(혹은 듀얼 모니터)를 하루 8시간 이상 사용. 여기에 타블렛, 스캐너, 프린터, 작업실 조명 등의 에너지 소모도 더해지면, 모든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은 하루에 수백~수천 Wh. + 여기에 수채화 물감 사용, 붓 세척, 종이 생산(종이 1톤 생산에 수만 리터의 물 필요) 등 작업 과정 자체에서 직접 물을 사용 + 추가로 종이, 물감, 잉크 등 각종 미술 재료 소모 및 폐기물 발생하는 것까지 합치면 환경적인 부분에 있어서 훨씬 더 안 좋음
작성자 : ㅇㅇ고정닉
"4월 4일 어제 띵조랜드 첫날 갔던거 끄적여봄"
난 아침에 씻고 출발해서 밤샘한 내친구랑 다른 띵붕이들 냄새나서 향수 뿌려주면서 시작함 9시쯤에 카페 열려서 기다리는데 띵붕이들 마구마구 몰려서 알바 죽을려 했음 (그와중에 바빠도 라떼아트 제대로 해줘서 감동받음 ㅋㅋ) (띵붕이들 초상권 침해라 모자이크함) 이제 10시쯤인가 분명 줄서지 말라고 했는데 누가 스타트 했는진 몰라도 어느순간 ㅈㄴ 몰려서 줄이 아니라 중앙은 거이 초토화됨 이때 짜증이 났던게 마냥 막는게 아니라 대책을 만들어서 해야하는데 오픈 전까지 운영 스탭쪽도 방치만 하다가 저꼴난걸로 알고있음 6층 굿즈는 번호로 예약받고 보낸뒤 10시 30분부터 순차적으로 구매할수 있는데 11시쯤에 오픈할 칸타테마 사야하는 초반번호 받은 사람들은 똥줄 타는거지 새벽에 밤샌 사람이여도 줄 이상하게 형성되서 일찍 온사람들도 뒤로 보내는 스탭측에 엄청 화났었음... 정점 찍었던건 이제 저기 몰린 사람들을 짤라서 뒤로 보내는게 맞는데(사실상 새치기니까) 그냥 밀어서 줄로 만들고 합류 시키더라 ㅋㅋㅋ 뒤에 질서 지키면서 서있던 사람들은 더 뒤로가게 됨 이제 11시 좀넘어서 오픈하고 들어감 줄이 미치는줄 알았음 서있다가 줄이 미동이 없어서 무슨문젠가 했는데 앞에 서있는 중국인은 갤럭시 콜라보 테마 구매 못한다고 직원이 설명하니 사야한다 뻐팅기고 있다 했음(6층 포함 4층6층 둘다 밀리는 상황됨) 줄 진짜 안움직이는데 다행히 중간에 인형탈분들 오셔서 크게 지루하진 않았음 인사 잘해줘서 귀여웠음 (엄청 더워보이더라....) 칸타 굿즈 예약 번호 받고 이제좀 프리해져서 포토존에서 사진도 찍어봄 저거 뽑히는거더라 잡았을때 뽑혀서 망가뜨린줄알고 ㅈㄴ놀람 ㅋㅋ 미니게임은 ㄹㅇ 하지도 못하고 구경만 한듯 칸타나 굿즈 안사는 사람들은 미니게임 먼저하는거 추천함 (사람이 너무 많아....) 중간에 전시된 팬아트도 한번보고(금손들 ㅈㄴ 많더라) 메인 광장쪽 가는길에 카멜이 갑자기 나한테 일부러 들이대서 놀라서 폰떨굴 뻔했음 막상보니 인사해줘서 귀엽더라 ㅋㅋ 점심쯤되서 칸타렐라 콜라보한 어묵집에서 먹음 사진은 못찍었는데 미니김밥 2줄 수제어묵2줄 주먹밥 큰거1개 이렇게 12000원 이였는데 식사 대용치곤 좀많음 맛은 있어서 추천함 이제 밥먹고 콘서트홀 쪽에서 공식 코스하신분들 오셨더라 좀 늦어서 뒤쪽에서 찍었는데 다들 엄청 멋지셨음 ㅇㅇ 시간좀 지나니 친구가 사준 굿즈 받았는데 키링은 진짜 이쁜거같음 ㅋㅋ 시간 지나니까 포토존에 공식 코스어 분들 모이셔서 사진 찍는데 사람 개많아서 겨우겨우 찍은듯 ..... 개인적으로 페비 파수인 카를로타 하신분 진짜 이쁘신거 같았음 브햄 중간에 칼뽑고 쌍칼 해줘서 재미있었다 ㅋㅋㅋ 이제 포토존 끝나고 나가는길에 초절정 미녀 2명에게 둘러싸여 사진도 찍고옴 이제 창고 드로잉쇼도 보고왔는데 귀엽게 잘그리시더라 이제 드로잉쇼 끝난뒤에 바로 카르티시아 성우분 오셔서 토크도 하고 생각보다 재미나게 놀았음 이날 했던거인데 다 못찍어서 아쉽긴했다 ㅋㅋㅋ 갈때쯤 5시정도 된거 같은데 초반 스탭 실수만 없었으면 생각보다 재미있었음 다음 축제 같은거 열리면 좀 개선 했으면 하는 마음임 일욜날 가는 띵붕이들 있으면 참고바람 대충 적은 긴글 봐줘서 ㄱㅅㄱㅅ (나머진 기타 사진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