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대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대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미스터 비스트 근황.jpg ㅇㅇ
- 싱글벙글 ㅊㄴ 맞추기 게임...jpg 수고해라이기
- 포스텍 감독 '팀의 첩자가 있다... 반드시 잡겠다' ㅇㅇ
- 군침군침 오사카 엑스포 구내식당 메뉴 가격 논란 ㄷㄷ 캘리포니아호두
- 日, 쌀값 급등에 병원들도 위기... 환자식 제공도 못할판 난징대파티
- 정후야 근데 이건 무슨말이냐... S25
- 챗지피티로 만든 게임 학습만화 ㅇㅇ
- 윤석열 "계엄은 늘 준비해야 하는 것"...혐의 부인 전략 안갤러
- 스레드에서 유행하는 가난한 좌파인증 ㅇㅇ
- 블라) 일본여자무새들 진짜 거슬리네 관심종자
- 2024년 레터박스 호러영화 순위 TOP 10 ㅇㅇ
- 닌텐도 스위치2의 혁신적인 기능 ㅇㅇ
- "적금 깨서 주세요"라는 MZ 알바생…사장님 "선을 넘었다" ㅇㅇ
- KBS, 쌀먹하러 한국오는 일본인들... 무거워도 낑낑 짊어지고 가 난징대파티
- 한덕수 대선 출마 결심, 대정부질문 일방적 불출석 도운
신기신기 근대 일본의 외모 올려치는 방법
일본 메이지 시대의 사진 보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한다.첫 번째, 현상 단계에서 보정하기두 번째, 초상화를 사진으로 위장하기현상 단계에서 보정하는 방법은 원시적인 포토샵이라고 보면 된다. 바늘 등 뾰족한 물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긁거나 덧칠하면 눈을 크게 만들거나 콧대를 높게 만들거나 주름살을 없애는 등의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메이지 시대의 원시적인 사진 보정 방법초상화를 사진으로 위장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리얼한 그림을 그린 다음 흑백 사진으로 촬영하면 끝이다.첫 번째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메이지 덴노다.위 사진은 일본에서 메이지 덴노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모습이다.메이지 시대 때 프로파간다 용도로 정말 많이 쓰인 사진이라 세계적으로 '메이지 덴노'를 말할 때 거의 빠지지 않고 인용되는 사진이기도 하다. 한국 언론이나 서적에서도 메이지 덴노의 모습으로서 많이 인용된다.그런데 사실 위 사진은 사진이 아니다.아니, 엄밀히 말해 사진은 맞는데,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이다. 즉, 메이지 덴노의 실물 사진이 아니다.그럼에도 저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은 '덴노의 실물을 담은 어진영'으로서 당시 일본 전역의 관공서와 학교에 배포되었고, 당대 일본인들은 당연히 천황폐하의 실물이라 생각하며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심지어 불이 났을 때 저 어진영을 빼내려다 탈출하지 못하여 죽은 사람이 미담으로써 기사에 실린 적도 있었다.그렇다면 메이지 덴노의 실물은 어땠을까?이게 진짜 메이지 덴노의 실물 사진이다.이쯤 되면 사실상 재창조 수준으로 실물과는 다른 초상화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도대체 그린 사람이 누구일까? 그린 이는 이탈리아의 화가 에도아르도 키오소네라는 사람이다.에도아르도 키오소네그린 방법도 상당히 재미있는데, 자기 모습 위에 메이지 덴노의 얼굴을 덧대어 그린 것이다.실제로 메이지 덴노의 예복을 빌려 입은 키오소네가 자기 모습을 촬영한 후 그 위에 덧대어 그린 것이라 한다. 이 덧대어 그린 유화 컬러 초상화를 흑백 사진으로 촬영하여 어진영을 만든 것.그렇다면 뭐 하러 이런 방식으로 덴노의 어진영을 만든 것일까?설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1번 - 메이지 덴노가 사진 촬영을 극도로 싫어해서 어쩔 수 없이 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그걸 사진으로 촬영했다는 것.2번 -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첫 덴노로서 당당하고 위엄에 찬 모습으로 이상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일부러 미화했다는 것.솔직히 1번은 다소 억지스러워 보인다.메이지 덴노가 사진 촬영을 싫어하지 않았다는 게 아니라, 사진을 극도로 싫어해서 촬영하지 못했다면 실물 사진이 아예 남아있지 않아야 하는데, 엄연히 실물 사진들이 남아있다.또한, 누가 봐도 실물과는 확연히 다른 초상화를 '어진영'으로 배포했다는 것부터 일부러 미화했다는 논란을 피할 수는 없다.그린 사람은 에도아르도 키오소네지만, 그걸 일본 전역에 퍼뜨린 건 일본 정부였다.애초에 사진을 극도로 싫어해서 도저히 촬영이 불가능했다면 실물과 똑같은 초상화를 촬영하면 되지, 뭐 하러 실물과 닮지도 않은 초상화를 촬영했겠는가?실제로 메이지 덴노의 실물과 유사하게 그린 당대 초상화는 존재한다.메이지 덴노의 실물과 가깝게 그린 당대 초상화.위 초상화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당대에도 얼마든지 실물과 유사하게 그리려면 그릴 수 있었다. 그런데 저 초상화는 어진영으로 배포되지 않았고, 키오소네가 그린 초상화가 어진영으로 배포되었다. 정말 외모 올려치기의 의도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키오소네가 그린 초상화는 1910년 일본에서 발매된 한일합방 기념우표에도 메이지 덴노의 모습을 보여주는 용도로도 쓰였다. 왼쪽은 순종의 사진이다.메이지 덴노 외에도 초상화가 '실물 사진'인 것처럼 널리 알려진 일본의 근대 인물들은 꽤 많은데, 대표적으로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가 있다.위 이미지는 사이고 다카모리의 모습이라 널리 알려진 사진이지만, 사실 사진이 아니라 초상화다. 그리고 우연찮게도 메이지 덴노와 똑같이 에도아르도 키오소네가 그렸다. 키오소네의 사이고 초상화는 후에 여러 작가들에 의해 재생산되며 일본 대중에게 사이고의 모습으로서 각인되었다. 다만, 사이고 다카모리의 경우는 메이지 덴노와 달리 비교할 실물 사진이 단 1장도 남아있지 않아서 얼마나 외모가 보정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위 이미지들은 오쿠보 도시미치의 모습으로 널리 알려진 것들인데... 이것들도 다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들이다. 사실 자세히 보면 다 그림 티가 난다. 첫 번째 이미지의 귀 부분, 두 번째 이미지의 중안면부와 옷 등. 두 번째 이미지는 초상화를 촬영한 사진에 한 번 더 콧대를 높이는 등의 보정을 더했다는 얘기도 있다.이게 오쿠보 도시미치의 실물 사진이다. 초상화를 촬영한 사진들과는 다르게 질감과 경계 등에서 어색한 부분이 전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1줄 요약근대(메이지) 일본인의 사진은 서양식 미화 듬뿍 들어간 초상화가 아닌지 의심해라.
작성자 : ㅇㅇ고정닉
어제부터 선동용으로 쓰이는 동덕여대 기사
동덕여대가 54억 기물 파손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어제자 기사. 작성자 "동덕여대 재학생".기사가 궁금해서 봤는데. 진짜 진지하게 대학생이 맞나? 할 정도로 충격 받음. 기사를 보다가 "대학생 맞음?"이라고 느끼게 하는 초록색 밑 줄 문장."락커칠 54억의 진실"이라고 제목을 넣었지만 그나마 54억 관련 문장이 이거 뿐이였다. 초록색 부분만 봐도 추정액이 20억~50억 이야기라고 말하는거 보니, 기사 작성한 여대학생은 '54억 원 상당의 기물파손'이라는 의미를 54억으로 알고 있는 것 같다. 제대로 교육 받은 고등학생 이상이면 "상당"이 어떻게 쓰이는지 안다."피해 추정액을 24억에서 54억 원으로 산정했다고 명시돼 있다"라고 넣은거 보니,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보여주는데.24억~54억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54억에 상당하다"라고 쓰인 것이다.일상 생활에 넓게 쓰이는 의미가 가장 어울리니 일상 관련으로 보자.사회 관련 뉴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상당"인데. "100만원 상당의 물건을 주었다." "100만원 상당의 뇌물을 주었다."라고 사용한다.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100만원이라고 못 박은게 아니라 최대 100만원이라고 추정되는 의미로 사용되며 나중에 100만원도 아닌 10만원인데 왜 그렇게 과장했냐고 회피를 피하기 위한 용도이다. 괜히 뉴스 기사에서 자주 사용하는게 아니다.일상에서 쓰이는 "상당"이라는 단어도 이런 상황에 많이 쓰인다. 최대 이 정도 느낌이다라고 쓰는 용도이다.그니까 그 당시 피해 추정액이 공지 나왔을 때, 54억 상당이니. "최대 54억"이라고 한 기사가 나온거다.물론 기사 특성상 제목을 어그로 끈 기사들도 항상 "최대 54억", "54억 상당"이라고 붙였다.첫 본론부터 잘못된 어휘력을 보여줬는데. 이제야 본론을 다시 볼 수가 있다. 그 다음을 보자.동상을 '때려 부순' 것도???????????????'유리창을 깨부순' ?????어디에서도 유리창 깼다고 한 기사도 없는데 유리창 안 깼으니 괜찮다는 의미인듯?????????????"상당"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쓰는지 모르는 거 같았는데 "파손"이라는 단어를 왜 넣은지 모르겠다.어디 기사에서도 "책걸상 파손"이라고 한 곳도 없다. 정작 인터넷에 "동덕여대 책걸상 파손"이라고 쳐도이 선동 기사로 쓰인 것 밖에 안나온다.유리창 깨부순 이야기가 나온거 보니 이제서야 뭘 의미하는지 알 것 같다.아마도 돈 물어줘야하는게 부수거나 망가지게 해야 배상해야한다고 생각하나보다.이미 두 문단만 봤는데 하나라도 정상인게 없어서 어질어질하다.뜬끔없이 비용 관련에 서부지방법원 불법 점거 사건을 예시라고 하는거 보고 놀랬다.기사를 써도 최소한 3자인거마냥 하지. 오히려 그 사건 범죄자가 스스로 범죄 쉴드치는 기사.정작 아니다 아니다 하지만 왜 아닌지 뒷받침하는 주장이나 자료는 하나도 없다.최소한 비용 이야기 할꺼면 수리업체 포섭해서 하겠다.
작성자 : 하프물범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