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대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대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히로시마 7박 근교 후기 및 정보글 유니콘건담
- 여자가 싫어하는 여름철 남자 패션 ㅇㅇ
- 싱글벙글 워터밤 권은비....트위터 반응.....JPG ㅇㅇ
- 추가되고 있는 내란특검 윤석열 진술 조작 뉴스 ㅇㅇ
- 보증금 3억 월세 150 실버타운 타코피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천억원, 55.9%감소 Aether
- 인간과 코끼리의 10년 전쟁 ㅇㅇ
- 살인자 부모가 기자에게 전화해서 한 말 ㅇㅇ
- 우크라의 히틀러..스테판 반데라와 볼히니아 학살 배터리형
- "성매매 경험담"이라며 인스타에 뜬 AI 만화 조회수 수백만 뉴스봇
- 오들오들 도박중독자들 사이에서도 동정 받는다는 부류.jpg ㅇㅇ
- 일본 자전거 여행3 스리랑카산고구
- 트럼프, 李에 '일방 통보'…"8월부터 한국산 25% 관세" 코갤러
- 어머... 성신여대 협박 메일 미대정병남
- 드릴산 싱붕이가 알아본 드릴사기전 꼭알아야 하는것 고무다라이통
첫 백패킹 후기 (남양주 예빈산)
작년 겨울부터 유갤 눈팅하면서 백패킹을 꿈꾸며짱리로 갤에서 옷 패션쇼도 하고 불암산에서 체력단련도 하고유루캠도 보고 저번달엔 오캠도 성공적으로 했음이제 남은건 백패킹..하지만 복병인 찜통 날씨와 러브버그 ..근데 러브버그가 눈에띄게 줄은 것에 힘입어 일요일에 출발하기로 했음토요일은 아오이짱 요리 눈여겨보다가 쿠팡에서 스키야키 밀키트 시켜서 두부도 넣어서 버프 둘렀음 ! !다음날 아침 하남에서 출발 !예빈산 백패킹 할꺼면 견우봉에 있는 데크로 가야하는데소화묘원 네비게이션 찍고 가면됨보면 오른쪽 길로 가라고 되어있음 이게 맞나? 싶을정도로 계속 올라가야함.. 계속 의심하게 됨 경사도 오지고 내 차가 올라 갈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 여튼 내 트롱이는 해냈어..가다보면 저런 표지판 나오면 주차 하면됨다른 차 하나가 더 있길래 어 설마 백패킹 온건가? 싶었는데성묘 온거였나바 바로 가시더라테토남 드걔쟤 ! ! ! ! ! ! ! !어 근데 입구부터 이게 맞냐? 무섭쟈나 길은 그냥 길 같은곳을 따라 가면 됨 계속체르노빌 이세요? 살짝 에겐 솟음무한으로 올라가다보면 저런 줄이 보이는데 희망이 살짝 솟았음 저거 정상 가까워져야 있는거 아녀?이게 맞나 싶을정도로 땀은 좔좔나고 물 소모량도 장난아님물 세병 가져왔는데 1병 이미 비웠을거임저 이정표 전에 조오오오온나 큰 살모사 봄;; ㅅㅂ 진짜 숨죽이고 지나가는거 기다렸다가 지나갔는데이정표 나오더라 ㄹㅇ 저기까지 이정표가 하나도 없음 이게 맞나싶은데 그냥 길 같은 곳 만 계속 따라가면 됨..저 이정표 보면 견우봉 안써있음 팔당댐은 올라온 곳 ( 차 주차한 곳 ) 이고직녀봉쪽으로 가야함 가는 도중에 견우봉을 거쳐가는거야승봉원인가 저거는 왜 누가 화살표를 저기다 해놨는지 모르겠음.. 앞으로 떨어져 죽으라는건가.. 저 이상한 이정표도 그렇고직녀봉쪽으로 방향틀면 풀숲이 존나게 우거져있는데 살모사 본지 얼마 안 됐기도 하고..길도 이상하고진심 에스트로겐 마구 치솟으면서 집으로 갈까 싶었음근데 돌아가는 길은 1.4 km고 직녀봉은 0.8 km 인데 진퇴양난 아니겠어? ㅠ가는길에 중간중간 사진찍을 만한 곳이 나옴그러다가 견우봉이 나오는데 너무 힘들어서 사진찍는거 깜빡함..데크가 안 보여서 당황한거도 있는데 길따라 살짝 옆으로 가면 바로 옆에 데크 있음아니 이 날씨에 누가 계시네대체 왜 이고생을 하시는..? ㅠ 내가 올라오니까 당황한듯 기척이 들리더니 조용하심..인사라도 했으면 했는데.. ( 덜 무서워져 지잖아.. )데크 반대쪽 계단 내려가면 이런곳 나옴데크 보수 할 때 쓸 자재 려나 아니면 지을 때 쓴 자재 아직 안 내린 걸 수도?근데 쌍너매 것들이 여기다가 쓰레기 좀 버린넘들 있더라일단 숨 좀 돌리고.. 진심 너무 더웠음 30도 + 습도 죽음물병 500ml 4~5병은 가져 와야 함 탈수 마구 일어남챱챱 데크에 첫 피칭 완료 !갤 보고 나사팩, 오징어팩 둘 다 필요 하다는거 보고 구비 해 뒀는데다행이었어 확실히 데크가 좋긴하더라 ㅎㅎ 팩 박을 고생 안 해도 되고 판판한 바닥도 좋고대충 다 떤지고 맘마 타임자충매트 위에 앉는거보다 발포매트 위에 앉는게 나을거 같아서 자충 병풍세우고 ..가성비 디팩 성능 좋더라? 생수랑 맥주가 아직도 시원혀 ㅎㅎ한 여름 발열팩 비추.. 더워 죽어요.. 밖에서 먹기엔 벌레 뜯기고..차라리 건 오징어나 가져올 걸 그랬어역시 맥주는 기린이치방 안주는 감자칩, 맛살슬슬 어두워 지네이거보러 오는구나 사람들이..살아계시죠?펌프겸용 조명타이니펌프 신형 성능 쥑임밝기 최대로하고 텐풍 컷~!진심 야경 죽인다.............옆 텐트 왜 조용하냐고 무섭다고..대충 11~5시 까지 자다깨다 하면서 잔듯 그래도 처음치곤 잘 잔거 같음옆 텐트분은 내가 조용 할 때 부시럭 나와서 잠깐 돌아다니시는거 같았음근데 금방 다시 들어가시더라아침에 알람 울려서 깼는데안개가 껴서 도시가 희미하고 뿌옇게 보이더라 아침으론 빵으로 에너지 채워주고 물도 한 병도 얼마 안 남아서 애껴가면서 목만 축임깨끗히 정리완료 !옆 텐트는 다 정리하고 내려가려니까부시럭 소리나더라..어제 못 찍은 견우봉 아침에 찰칵 - !하산은 생각보다 빨리 했음 한 번 왔던길이라되짚어 가는 속도도 빠르고 내려가는 속도가 훨씬 빠르기도 하고힘들었는데 트롱이가 눈앞에 보이는데 너무 반갑더라 ㅠㅠ올라 왔던 길로는 가면 안 됨 일방통행이라 반대로 내려가면 된다마찬가지로 내려가는길도 경사가 장난 아니라필수로 기어 1단으로 하고 브레끼 잘 잡으면서 가시길..첫 백패킹으로 느낀점은 여름 백패킹은 진짜 물있는 곳으로 가야겠엉..산은 간다면 꼭 사람들 많이 오르내리고 고도 낮은곳으로 가야겠음인적 드문곳으로 가니까 뱀도 많고 길도 험해서 체력 안 좋으면 가다 탈진 할 수도..
작성자 : 산리오고정닉
인간이 물고기였던 흔적.jpg
약 38억년전 최초의 생물체인 세포가바다에서 생겨났다이점은 아직 연구중에있으나 크게1.몇천만년동안 바다에 벼락이 끝도없이내리칠때 생겨났다.2.우주에서 떨어진 운석에 포함돼있었다.로 갈리는데 아직까지는 해답이없는 부분모든 생명체는 단일한 공통 조상(Last Universal Common Ancestor, LUCA)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이후 수십억 년에 걸친 진화 과정을 통해 자연 선택, 유전자 변이, 유전자 이동, 수렴 진화 등의 다양한 진화적 메커니즘이 작용함으로써 현재 관찰되는 생물학적 다양성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계통 발생적 관계는 분자생물학적 증거와 비교유전학, 형태학, 생화학적 유사성을 통해 입증되고 있으며, 현대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공통 조상 가설이 생명의 기원과 진화적 연관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화석 기록에 따르면 약 4억 5천만 년 전인 오르도비스기 후반, 최초의 육상 식물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식물의 육상 정착은 지구 생태계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이후 다양한 육상 생물군의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태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특히, 식물의 육상 진출로 인해 육지 환경에 안정적인 에너지원과 서식지가 형성되면서, 고대 어류를 포함한 수생 척추동물들이 육지로 진출할 수 있는 진화적 압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일부 어류는 먹이 자원을 확보하거나 경쟁을 회피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일시적으로 육상에 진입하게 되었고, 이는 후속적인 사지동물(육지 척추동물)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진화적 전환점으로 간주된다.여기서 중요한 진화생물학적 의문이 제기된다. 고대 어류가 단순한 수생 척추동물에서 어떻게 현대의 인류와 같은 고등 육상 생물로까지 진화하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지구상의 대부분의 육상 척추동물은 기본적인 골격 구조, 특히 사지의 배열(예: 상완–요골–수근–지골의 1-2-다 구조)에서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해부학적 유사성은 단순한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진화적 계통(shared ancestry)의 명확한 증거이다.이러한 구조적 유사성은 '상동 기관(homologous structures)'이라 불리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 모든 사지동물(tetrapods)에서 관찰된다. 이는 약 3억 7천만 년 전 고대 육기어류로부터 유래한 공통 조상이 이러한 사지 골격 구조를 최초로 형성하였고, 그 후손들이 다양한 생태적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도 그 기본 틀은 유지된 결과로 해석된다.고대 어류의 지느러미는 진화 과정을 통해 점차 뼈 구조가 발달하면서 사지동물의 팔과 다리로 전환되었다. 이 변화는 지느러미 안쪽에 있는 골격이 길어지고 관절 구조를 갖추면서 가능해졌으며, 이는 얕은 물가나 육상 환경에 적응하려는 생존 압력에 의한 것이다그리고 2004년 캐나다의 엘즈미어섬에서진화론에 귀중한 화석이 발견된다틱타알릭은 어류의 아가미와 비늘을 가진 동시에, 팔처럼 기능할 수 있는 지느러미와 목, 얕은 물 위를 지탱할 수 있는 관절 구조를 갖추고 있어 물고기와 사지동물 사이의 전이형 생물로 평가된다.이러한 전이 화석은 지느러미에서 사지로의 진화를 실질적으로 입증하며, 진화사의 중요한 공백을 메우는 과학적 증거로 간주된다.물고기와 인간의 초기 배아를 비교해 보면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특징들이 나타나며, 이는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진화적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특히, 양쪽 모두에서 관찰되는 아가미궁(pharyngeal arches) 구조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물고기의 경우 아가미궁은 성체에서 실제 아가미로 발달하지만,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는 배아 발생 초기에는 아가미궁 형태가 나타나며 이후 턱, 귀, 목 주변의 다양한 구조물(예: 턱뼈, 중이골, 편도 등)로 분화된다.이러한 배아 발생 과정의 유사성은 발생학적 상동성(embryological homology)으로 간주되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척추동물이 물고기와 같은 수생 생물로부터 진화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이다. 다시 말해, 인간의 몸속에도 물고기 조상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이는 진화가 단절이 아닌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임을 보여준다.이러한 아가미궁은 95%의 비율로배아단계에서 사라지지만남은 5%는 흔적을 고스란히 가지고 태어난다.1950년대, 발생생물학자 존 샌더스(John Saunders)는 초기 배아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실험적 발견을 하였다. 그는 조류의 배아에서 날개 형성에 관여하는 특정 부위, 즉 지아(ZPA, Zone of Polarizing Activity)라 불리는 조직을 다른 부위에 이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그 결과, 이식된 부위에서 정상적인 날개와 대칭되는 추가적인 날개 구조가 형성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지아가 사지의 축 방향 형성(axis formation), 특히 앞뒤 방향(anterior-posterior axis)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였다.비록 지아는 극히 소량의 세포 덩어리에 불과했지만, 이 조직이 내는 신호 전달 물질(morphogen)이 주변 세포의 운명을 결정짓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 지아가 분비하는 물질이 Shh(Sonic Hedgehog)라는 신호 단백질임이 규명되며, 손가락이나 발가락과 같은 사지 말단 구조의 패턴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이 발견은 소수의 세포 집단이 어떻게 전신의 형태를 설계하고 조절하는지를 보여주는 고전적인 사례로, 현대 발생학 및 재생의학의 기초를 세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Shh 유전자는 쥐, 닭은 물론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도 보존되어 있으며, 이 유전자가 생성하는 신호는 사지의 전후 방향(anterior-posterior axis)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진화적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Shh는 단순한 지느러미 구조에서 복잡한 사지 형태, 나아가 인간의 손과 발로 이어지는 형태발생(morphogenesis)의 분자적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수생 척추동물에서 육상 척추동물로의 전이를 가능케 한 핵심 유전적 요소로 간주된다.번외로 딸꾹질 역시 물고기였던 증거라고 볼수있다.물속에서 숨을 쉴 때, 물이 아가미로 잘 들어가도록 성문을 닫고 횡격막과 유사한 근육을 수축시키는 반사작용을 보이는데이 과정은 딸꾹질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다특히 인간 뇌간에 남아 있는 원시적 신경 회로가 이를 유발한다고 보고, 일부 과학자들은 딸꾹질을 지느러미가 있던 조상의 유물 같은 반사작용으로 간주한다요약하면, 딸꾹질은 인간이 물에서 시작된 생명체였다는 진화의 흔적일 수 있다.과학자 닐 슈빈, Your Inner Fish은 딸꾹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딸꾹질은 초기 어류 또는 양서류의 호흡 반사가 인간의 뇌간(brainstem)에 남아 있는 진화적 유산이다.”- dc official App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