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방대의 현실 이라는 글이 있길래 가져와 봅니다

나의소원 2006.12.17 15:58:58
조회 397 추천 0 댓글 4

그대는 아는가 지방대의 진짜 고민을...! 지방대가 요즘 고민이 많다. 나날히 인기가 하락하고 있으며 수도권으로의 집중은 더 심화되고... 그래서 요즘 지방사립대 교직원들과 교수들은 고민이 많다. 근데... 사실 막상 지방대에서 교수를 하고 계시는 아버님 친구분과 이야기를 해봐도 지방대 다니던 선배나 누나들 말을 들어봐도... 진짜 고민은 따로 있다. 물론 나 역시 경험한 일이다. 인기가 떨어지고 자금이 막히고 그런 것도 문제지만 그것보다 더욱더 교수님들의 가슴을 미어지게 만드는건 바로 학생들의 태도이다. 지방의 대다수 대학들의 면학 분위기는 그야말로 최악이다. 솔직히 우리가 다니는 성대를 비롯해서 이름깨나 날린다는 연대 고대 한양대 한국외대 역시 면학 분위기가 좋다고만은 말하기 어렵다. 그점은 여러분도 동의할 것이다. 그런데 지방의 사립대들의 상황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수업진행이 어려운 경우도 태반이고 진짜 돗대기 시장이 따로 없다. 대출이나 컨닝은 부정행위 축에도 못낀다.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열의는 사실상 없다고 보는게 옳으며 대다수 학생들이 그저 졸업장이나 따려는 맘으로 다닌다. 그런 문제가 성대나 고대 연대에도 없는건 아니지만은 문제는 그 정도가 너무나 지나치다는 것이다. 이러니 진짜 공부하고자 지방학교를 간 학생들이 배겨날 재간이 없다. 오죽하면 교수가 똘똘한 학생들을 따로 불러서 편입학 정보를 알려주실까.... 심지어 내가 전에 있던 학교에서는 이런 일도 있었다. (차마 학교 이름은 밝히고 싶지 않다) 당시 젊은 교수님들이 의기투합해서 우리도 한번 해보자는 맘으로 학생들 공부를 좀 빡세게 시켰다. 학점도 짜게주고.... 그랬더니 당장 다음 번 총학생회가 학우들의 열렬한 지지 속에 들고 일어났다. 등록금인상이나 시설개선 같은 다른 여러 문제들도 얽혀 있었지만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바로 학점 문제였다. 요지는 간단하다. 수업의 커리큘럼이 너무 빡세서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거랑 학점이 너무 짜서 취업과 편입에 지장이 많다는 거였다. 그리고 외쳤다. "대학은 공부만 하는 곳이 아니다!"라고.... 어이가 없었다. 난 그걸 보고 바로 학교를 나와 버렸다. 언제 어느 시간에 가도 자리가 남는 도서관과 열람실도 더 이상 보기 싫었다. 솔직히 그때 그 시절 나도 일부 교수님들이 심한 것 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었지만 그건 나만의 착각이었다. 나 여기 성대서 그 몇갑절은 한다. 그리고 내친구들은 그것보다 더한다. 물론 안하는 애들도 있지만....적어도 여기는 시끄러워서 혹은 애들이 많이 빠져서 휴강하는 일은 없지 않은가... 나 아는 누나가 종교재단을 가졌던 충남의 s대에 다녔다. 그리고 때려치우고 나와서 전문대 가버렸다. 왜 그랬는지 끝까지 말안해주다가 내가 하도 조르니까 나중에야 술자리에서 잠깐 말해줬었다. "거기서 공부하다 보면 어느 순간인가 공부하는 내자신이 어색하게 느껴지고 그런 느낌이 너무 싫었다"라고... 또 다른 누나는 자기가 공부를 못한다는 열등감 때문에 성악을 하다가 결국 목을 다쳐서 하는 수 없이 위 누나랑 같은 대학을 갔다. 그리고 2년 간 과수석에 평점은 4.3이었다. 그리고 숭실대에 편입해서 평점이 3.0이다. 난 그 누나랑 친해서 아는데... 솔직히 진짜 공부 안했다. 기껏해야 목차랑 책 한번 읽고 시험보는게 전부였다. 내 친구 아버지는 자기가 교수라는게 너무 싫다고 했다. 벌써 자기 수업이 3년째 폐강이란다. 이유 진짜 간단하다. 학점이 짜다는 이유다. 그리고 한학기에 레포트를 4개나 내준다는거다. 물론 어느 학교나 이런 건 있다. 심지어 하버드도 학점이 짠 교수는 폐강되기 일쑤라고 한다. 하지만 친구 아버지 수업은 전공 수업이었다. 즉, 다른 수업이 차면 친구 아버지 수업이라도 들어와야 하는데 애들이 그럴바에는 차라리 다음 학기로 그 과목을 미루거나 아니면 아예 안듣는다고 했다. 그나마 졸업생과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겨우 인원수 20명 채워서 수업한다고 한다. 50명짜리 전공 수업을 말이다. 몇해 전 우리 학교에 새로 오셨던 어느 교수님이 잠깐 그러셨다. 자기가 성대 온건 오직 하나! 제대로된 수업을 하고 싶어서라고... 그날 따라 애들이 날씨가 좋다고 휴강하자고 외치자 교수님이 그러셨다. "나 전에 학교에서 왜 여기 왔는줄아니? 거기선 교수지만 여기서는 부교수인데 말야. 거기서 난 시험문제 어렵게 내고 학점짜다고 욕 많이 먹었다. 하지만 난 고집했다. 왜냐면 내가 최고는 아니지만 적어도 내 제자들은 들은 최고로 가르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어느날 과대표가 내게 와서 이문제에 대해서 항의했다. 내가 화가나서 공부하기 싫으면 나가라고 하자 그애가 말했다. 교수님은 서울대 교수도 아니면서 왜 우리는 서울대 제자들 다루듯이 하냐고.... 그날로 학생들에 대한 정이 떨어지고 학교를 떠나고 싶었다고... 그리고 성대에 왔다고..그러니 니들만은 자기를 도와달라고..." 더 덧붙이자면 그 학교에서 내던 시험문제 그대로 성대에서 냈더니 시험문제가 평이했다고 게시판에 올라왔었다고 하신다. 성대와 몇몇 지방대학에서 가르치는 어느 강사님은 "서울에 있는 너네가 얼마나 좋은 대학을 다니는지 깨달아야 된다. " 라고 말하면서 그분이 경험한 지방 대학들의 사정을 털어놓았다. 학부 수업의 경우 지각생이 절반에 가까우며, 그나마 수업이 시작되면 낮잠을 자거나, 신문, 잡지등을 펼쳐놓고 보는 경우가 많고, 시험 중 컨닝이나 기타 부정행위로 적발되면, 오히려 남 취직이나 편입하기위해 점수따려는걸 방해하냐고 큰소리로 항의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을 공부시키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퀴즈와 과제를 내겠다고 제안하니까, 학생들은 일치단결하여 수업을 거부했는데, 그 이유가 취직이나 편입준비 때문에 자신들은 도저히 학과공부 할 시간이 없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가르치던 한 대학의 대학원수업에서는 30 명에 가까운 인원이 수강을 했는데, 상당수의 수강생이 도저히 석박사 과정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수준이 떨어진다고 하셨다. 예를 들어, 과제를 내주면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남의 과제를 그대로 (한 글자도 틀리지 않게, 이름만 바꾸어) 베껴서 제출하는 것은 양반에 속하는 일이고, 심지어는 이렇게 어려운 과제는 못하겠다고, 내준 과제를 수업시간에 집어던지고 간 대학원생도 있었다고 한다. 수업 후에 커피 한잔 하자면서 불러내어서, 시험이나 과제는 되도록 내주지 말고 서로 알아서 쉽게 쉽게 살자고 회유하는 엉뚱한 대학원생도 있었고, “박사과정 수업이면무조건 A+ 아니면 못 주어도 A이상의 학점은 반드시 줘야 되지 않느냐고?”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하는 학생도 있었으며, 심지어는 마지막 수업이 끝난 다음에 대학원 학생대표란 자가 와서, 수강생 들에게 좋은 학점을 주지 않으면, 당신에게 큰일이 있을 거라는 협박을 당한 적도 있다고 한다. 물론 모든 지방 사립이 내가 아는 것과 같지는 않을 것이다. 발전의지가 강한 순천향대나 울산대 가톨릭대들은 그래도 안 그런다고 안다. 내 후배들 말을 들어보면 전체적인 수준은 성대만 못 한다 해도 상위권의 애들은 성대 못지않게 공부한다고 들었다. 그리고 내가 아는 정도의 지방대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정말 전체 사립대 중에서 일부일 뿐이다. 동창들이 나를 빼고는 모두가 경기도나 지방의 사립대에 다녀서 들어보면 솔직히 내가 아는 바와 거기서 거기란다 - 글 저장용으로 쓸 갤러리가 없어서 여기다가 ㅋ -근데 정말 이모양 까지 간거야? 만약 그렇다면 왜 그런걸까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AD 로스쿨교육 1위 해커스 2026 LEET 무료진단평가! 운영자 25/02/08 - -
AD 럭키 스크래치 쿠폰 이벤트! 매일 선착순 50명 당첨 운영자 25/01/01 - -
공지 ★★★ [공지] 국민대학교 캠퍼스 소개 ★★★ [58] 캠돌이(114.203) 11.10.03 54522 79
공지 국민대 갤러리 이용 안내 [106] 운영자 06.12.05 34006 16
346584 쥴리는 마약이다 [1] ㅇㅇ(118.235) 02.16 55 2
346583 접대의 신 국민대 > 시립대 ㅇㅇ(118.235) 02.16 45 1
346582 서울과기대, 한국공대 수도권공대특성화우수 ㅇㅇ(117.111) 02.15 60 0
346581 가군 숭실대 나군 한국공대(구 한국산기대) 다군 국민대 [1] ㅇㅇ(117.111) 02.15 70 2
346580 이공계가 밀리면 대학은 끝난다 이제는 건동홍 >>한국외대 국갤러(117.111) 02.15 60 1
346579 동국대 >>> 한양대 공대기준 ㅇㅇ(118.235) 02.15 40 2
346578 25 문이과 종합 대학서열 최종판 ㅇㅇ(211.36) 02.15 84 0
346577 여기 자동차애들 물리덕후임? [1] 국갤러(61.74) 02.15 65 0
346576 자율전공 유튜브광고 개 좆같네 [1] ㅇㅇ(103.156) 02.15 78 1
346575 문과중심 문돌이양성소 [1] ㅇㅇ(118.235) 02.15 71 3
346574 국민대총장씨발새끼야 비실기생들 좀 없애 ㅋㅋㅋㅋㅋㅋㅋ ㅇㅇ(103.156) 02.14 86 0
346573 2025년 이공계 대학 공식서열(최종ver.) [1] 국갤러(117.111) 02.14 146 0
346572 orbi) 2025 종합대학 서열 [1] 국갤러(223.38) 02.14 161 2
346571 행번방 뭐냐? ㅇㅇ(118.235) 02.14 64 2
346570 2025년 입결, 아웃푼 기반 이공계 공식서열(최종) [1] (218.39) 02.13 162 0
346567 인하대·성신여대 등 기사회생…기본역량진단 탈락 뒤 13개 대학 구제 [2] 국갤러(211.202) 02.12 89 0
346566 등록금인상 + 국장탈락 이중고 ㅇㅇ(118.235) 02.12 88 1
346565 국민대 전자과 졸업 & 취업 [10] 국갤러(211.234) 02.12 215 1
346564 여기 졸업률 높냐? [1] 국갤러(211.51) 02.11 155 1
346563 에타 강의평 찾아줄 사람.. 국갤러(1.236) 02.10 74 0
346562 지방이 무너지고 있ㄷ ㅏㅡ 국갤러(223.38) 02.10 269 3
346561 대학순위_코핌 [1] ㅇㅇ(118.235) 02.10 314 1
346560 양자얽힘 국갤러(1.236) 02.10 226 0
346559 내신 2.25 생기부 자동차도배 [1] 국갤러(114.203) 02.09 127 0
346558 잘 생각해봐 [2] ㅇㅇ(118.235) 02.09 233 3
346555 국장끊긴 거지대학 120개 ㅇㅇ(118.43) 02.08 244 5
346554 샌애긔인데 과잠이 너무나 궁금해연 국갤러(211.234) 02.08 94 0
346553 수도권 TOP3 상승세 대학 국갤러(117.111) 02.08 372 0
346552 ‘떼쓰면 받아주는 평가’에 교육부도 대학도, 상처만 남았다 국갤러(211.202) 02.07 94 0
346550 체대 [1] 국갤러(106.101) 02.06 155 0
346548 국민대 교통이 얼마나 벌레냐면 [6] 고고(218.51) 02.05 399 6
346547 위치병신, 등록금 인상, 부실대학 [3] ㅇㅇ(211.246) 02.05 247 3
346546 인하대, 올 등록금 인상 확정 경영대 17만 원·공대 22만 원↑ 고 국갤러(211.202) 02.05 95 1
346545 돈많아서 등록금 올린거임 [1] ㅇㅇ(118.235) 02.05 199 1
346544 여기 반수 어케함? 국갤러(61.74) 02.04 132 0
346543 띵문 인하공대 어빠 ㅎㅎ Shinyeeun(223.38) 02.03 126 3
346542 명문대는 비싼거야 ㅇㅇ(118.235) 02.03 129 2
346541 ■ 주요대학교 순위표(공식) ■ [3] 국갤러(223.38) 02.02 365 4
346540 사회대 졸업하고 공먼 하거잇는데 국갤러(175.121) 02.02 99 0
346539 워드프로세서 실기 시험 봤는데 국갤러(211.234) 02.02 84 0
346538 여기 반수생들 많음? 국갤러(61.74) 02.02 123 1
346537 무료 소개팅 어플 추천 [1] 국갤러(211.35) 02.01 137 0
346536 공대는 동국대 >>> 한양대 [1] ㅇㅇ(118.235) 02.01 219 4
346535 국민대재단 돈많음? [4] ㅇㅇ(118.235) 01.31 344 3
346533 2025 띵문 공대 현황 . Feat 국갤러(223.38) 01.30 214 5
346532 25년 대학순위 [1] 국갤러(116.46) 01.30 589 1
346531 가톨릭 [3] 국갤러(211.235) 01.29 190 0
346530 종합대학 지정 [1] ㅇㅇ(118.235) 01.29 261 1
뉴스 '나의 완벽한 비서' 윤가이 "함께하는 순간의 소중함 느꼈던 작품" 종영 소감 디시트렌드 02.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