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한자 공부법 가이드

일갤러(121.131) 2024.06.09 21:04:12
조회 227 추천 6 댓글 0


먼저 이 글은 한자 공부법에 관한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라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사실 나는 시험 합격을 목적으로 일본어를 공부한 적이 한번도 없는 사람인지라


이 글에 쓰인 공부법도 "시험 합격만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최단거리 방법"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확률이 높음


누구든 본인에게 잘 맞는 공부법이 있는 법이고


만약 본인이 개별 한자 공부 없이 단어째로 공부하는 것이 잘 맞는 사람이라 느껴진다면 당연히 그게 정답임


다만 아무리 생각해도 그건 아닌 것 같은데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도저히 감이 안잡힌다~라는 사람들이 있다면


한번쯤 이 글에 적힌 내용대로 해보는 것도 괜찮을 거라 생각함


(보통 첫걸음책이라고 하는 수준의 책들, 그니까 아예 완전 노베가 입문서로 처음 읽는 책 정도는 전부 알고 있다고 가정)


아 그리고 한가지 더


아래 써있는 내용은 본인이 만든 일본어 한자 공부 사이트를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https://nihongokanji.com)


꼭 본인의 사이트를 쓰지 않더라도 한자가 기억을 위한 연상법과 함께 제시된 책을 아무거나 가지고 있다면


그것들 아무거나 써서 같은 방식으로 공부할 수 있음!


(대충 암기박사?랑 일상무따? 가 그런 책들이라는것 같은데, 난 둘다 읽어본 적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름 ㅎ;)


-------------------------------------------------------------------------------------------------------


0. 기억의 원리


한자 공부할 때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방법 중 하나가

"의미, 한글음훈, 일본어음훈 다 외우는건 너무 힘드니까 일단 한글 음훈만 외우고 일본어 음훈은 단어로 해라"라는 방법임

그 말에도 일리는 있으나 내 생각은 조금 다름


기억이라는건 본래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거라서

'서로 연결된 기억 조각들이 많을수록' 각각의 조각들이 더 잘 기억나고 잘 잊혀지지 않게 마련임

생물학으로 예를 들어보겠음

다음 정보를 외운다고 생각해 봅시다


- 동맥: 두껍다, 탄력적이다, 판막이 없다

- 정맥: 얇다, 덜 탄력적이다, 판막이 있다


이걸 그냥 달달 외운다고 하면 금방 뒤죽박죽이 되고 헷갈리고 뭐가 동맥이고 뭐가 정맥이었는지 잘 기억이 안 나게 될 확률이 높음

"두꺼운게 정맥이었나? 판막이 있다?없다? 뭐지? 아몰라 씨발 생물학 병신 암기과목 쓰레기!" 이렇게 될 확률이 높다는 것

근데 이렇게 기억한다고 생각해보셈


피는 동맥에서 나가서 정맥으로 들어옴

피가 처음 동맥으로 나갈 때는 심장박동에 의한 압력이 엄청 강하게 걸릴 테니

당연히 그 압력을 버티기 위해 동맥은 두껍고 탄력적이어야 함

근데 피가 한바퀴 돌고 정맥으로 돌아올 때는 이미 힘을 다 잃고 압력이 훨씬 약해졌을 테니

정맥은 동맥보다 훨씬 얇아도 되고 덜 탄력적이어도 됨

반면 압력이 줄어들었으니 피가 힘을 잃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막이 정맥에는 필요해지게 됨


글자 수는 몇 배로 늘어났지만

저렇게 한번 읽고 나면 잊어버리고 싶어도 잊어버리기 힘들 정도로 모든 정보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고 서로 얽혀서 떠오르게 됨

한자도 비슷한 맥락임

'연상법, 한글 음훈, 일본어 음훈, 쓰는 방법' 이 모든 것을 하나로 엮어서 같이 공부하고 나면

정보들이 하나로 엮여서 서로가 서로를 떠오르게 해 주고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게 됨

그럼 어떻게 한자를 그렇게 공부하느냐? 그걸 지금부터 설명해보겠습니다



1. 한자 공부 루틴

後를 예로 설명해보겠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한자의 모양과 의미를 연상법과 부수를 통해 서로 연결하고 맥락을 만들어서 외우는 것임

(그래서 연상법이 필요한 것)

a14538aa0e2e69e87eb1d19528d527035457377e8317

(해당 사이트를 쓰고 있다면) 이 한자를 공부하는 시점에서 彳,幺,夂는 전부 처음보는 부수/모양자들일 것임

그건 아무 문제 없는 거고, 오히려 좋은 일임

왜냐면 彳,幺,夂를 맥락 없이 하나하나 따로 외우려고 하면 정보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로 제멋대로 따로 떨어져서 놀게 되고

결국 쉽게 잊어버리게 되지만

이렇게 後라는 글자를 공부한다는 맥락 속에서 공부하게 되면

後,彳,幺,夂+한자의 의미+음훈독이 전부 하나의 맥락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머릿속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임

(위의 동맥-정맥 예시처럼 ㅇㅇ)

그럼 나중에 같은 부수/모양자가 다른 한자에 튀어나와도

"아~이거 그때 거기서 나왔었지"하는 식으로 자연스럽게 기억나게 되는 것


아무튼, 이때 연상법과 한자 모양, 부수, 의미를 한방에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해서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은

직접 펜을 들고 연상법을 되뇌이면서 안 보고 종이 위에 써보는 것임

"길(彳)..위에서.. 어린이(幺)가.. 부모 를 따라걷다(夂)..니까 뒤쪽, 뒤 후"

이렇게 머릿속으로든 입으로든 되뇌이면서 종이에 써보는 것. 기억안나면 다시 글자 보고 다시 외워서 써보고

쓰는게 귀찮게 느껴지겠지만 이게 진짜 눈으로만 보는 것보다 정말 10배는 더 빨리 외워짐

적어도 나는 그랬음 ㅎ;

물론 정 귀찮다면 눈으로만 봐도 됨! 그게 잘 맞는 사람도 있을거고


그렇게 의미-연상법-글자모양을 하나로 엮어서 기억했다면

다음은 음독을 외울 차례

後의 음독은 コウ、ゴ임


음독을 외울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이거임

음독을 따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음독 하나당 해당 음독을 쓰는 대표단어 한개"를 기억하라는 것

이때 이 대표단어는 가능하다면 한국어로도 본인에게 익숙한 단어인 것이 좋음

예를 들어보겠음


コウ: 悔(こうかい - 후회)

ゴ: 最(さい - 최후)


이런식으로 단어째로 기억하는 것

이러면 한자 자체에 있는 "뒤"라는 의미와 각각의 단어 속에 내재된 "뒤, 나중"이라는 의미가 서로 연결되고,

(후회: 뒤에 가서 아쉬워하는 것, 최후: 맨 끝->맨 나중->가장 뒤쪽 이런식으로)

위에서 말했던 "정보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와 맥락"이 더더욱 풍부해지고 강해지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음

거기다 추가로, 한자를 공부하는 김에 어휘까지 같이 공부하게 되는 거니 더더욱 좋고


이때 위에서는 後悔의 悔를 모를거고

아래에서는 最後의 最를 모를텐데

그건 상관 없음. 모르는 한자들은 모르는 대로 무시하고 나중에 그것들 나오면 그때 기억하는 거임

굳이 말하자면

後(コウ)かい - 후회

さい後(ご) - 최후

이렇게 외운다고 생각하면 됨


그리고 일본어 음독이랑 한국어 음독은 외우다보면 알겠지만 대충 비슷하게 흘러가는 경향이 강해서

이렇게 "후회", "최후" 같이 한국어로도 익숙한 단어로 함께 기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후-> コウ、ゴ 이런식으로 떠오르게 됨



그럼 이제 음독을 외웠으니 훈독을 외워야겠지?

훈독은 두 종류로 나뉘는데

1) 형용사나 동사같은 부류(여기서는 後ろ、後れる)

2) 그 외(여기서는 あと、のち)


이것들은 사실 별 수 없고, 그냥 "한자를 공부하는 김에 어휘를 같이 공부한다"라는 식으로 예문을 보면서 외우는 걸 추천함

사실 훈독이라는게 그냥 그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일본어 단어를 말하는 것에 가까워서

한자의 의미와 훈독이 당연히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밖에 없고

이러면 한자를 공부하면서 어휘를 같이 공부하는 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됨

다만 그냥 막무가내로 외우기보다는

반드시 간단한 예문을 함께 보면서 기억하는 게 좋음

이런식으로


a14538aa0e2e6be87eb1d19528d5270317452dd79dea00


보면 알겠지만 あと、のち、うし(ろ)、おく(れる) 4개 다 "뒤쪽, 뒤"라는 한자의 본래 의미랑 직접적으로 연결된 단어들이잖음

그니까 각각의 어휘를 맥락 없이 따로 외우는 것보다, "後, 뒤 후"라는 한자의 맥락에서 함께 기억하는 것이 훨씬 더 기억에 효과적이라는 뜻

한 마디로 본래 한자 공부는 어휘 공부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거임

물론 한자 공부하면서 같이 공부하는 어휘만으로 어휘가 다 커버되는 것은 절대 아니지만,

한자를 이런 식으로 공부하다 보면 어휘 공부를 따로 하지 않아도 본인의 생각보다 훨씬! 많은 양의 어휘 공부가 자동으로 커버됨

아마 스스로도 깜짝 놀랄 거임



그렇게 한자를 다 기억했으면 다음으로 넘어가면 됨


그러고나서 다음 한자로 넘어가서 똑같이 반복하면 됩니다


끝!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528803 너넨 일본인 되면 뭐하고 싶냐? [3] 일갤러(175.118) 06.15 105 0
528802 일본어로 볼빵빵이 뭐야? [3] 일갤러(125.137) 06.14 144 0
528801 일본어 굳이 한자를 유지해야하나? [9] 일갤러(211.117) 06.14 232 0
528800 皮に包む하고 皮で包む차이가 뭐임? ㅇㅇ(2.56) 06.14 95 0
528799 나 내일부터 일본 간다 [3] 일갤러(31.145) 06.14 129 0
528798 일본어 면접 [2] 일갤러(218.150) 06.14 93 0
528796 世界(せかい)랑 비슷한 단어 뭐였더라 [4] 일갤러(118.235) 06.14 145 0
528795 일어가 50000단어 공부하면서 느끼는 게 생각보다 어렵네 [2] 일갤러(175.118) 06.14 138 0
528794 일어로 어떻게 생각하면서 사냐? [2] 일갤러(175.118) 06.14 107 0
528793 자기만 아는 특이한 독음 하나씩 적고가라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67 0
528792 외국어를 잘하려면 그 외국어로 생각을 해야됨 [3] ㅇㅇ(39.7) 06.14 167 5
528790 に で는 어떻게 해석 해야 되냐.. 일갤러(211.234) 06.14 70 0
528789 일본인한테 한국인같아 이러면 기분나쁘려나?? [3] 일갤러(119.206) 06.14 158 0
528788 니오이가먼데 [4] 소다(221.142) 06.14 123 0
528787 さっぱり와すっきり는 어떻게 다른가요 [8] ㅇㅇ(118.235) 06.14 145 0
528786 오늘 소설 한 권 읽음 [2] (110.12) 06.14 91 0
528785 일본사는 30~40대 서양인 남자 인플루언서 이름아는사람? [1] ㅇㅇ(116.122) 06.14 83 0
528784 안키 고수 계시나요 [8] ㅇㅇ(106.101) 06.14 124 0
528783 일본계3년차.... 시이발 [6] ㅇㅇ(223.39) 06.14 149 0
528781 나짤년데 머해줄래 [3] 소다(221.142) 06.14 178 0
528780 일어 학습자가 정신병자 가 많은 이유 [1] (110.12) 06.14 142 3
528779 일본어는 참 신기한게 さわる [4] ㅇㅇ(118.235) 06.14 208 2
528777 言いました 질문요 [3/1] 일갤러(210.204) 06.14 113 0
528776 정신병자가 일본어를 배우는것인가 [1] ㅇㅇ(39.7) 06.14 106 1
528775 剛烈이 뭐야? ㅇㅇ(116.38) 06.14 112 0
528774 내가 개초보라서 그렇겠지만 회화로만 공부했더니 [3] 일갤러(58.227) 06.14 129 0
528772 篠 얘는 보통 이름으로 읽는 경우인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3 0
528771 ウオッカ는 어디서 온 발음이나? [3] ㅇㅇ(175.213) 06.14 100 0
528769 일어 11년째 공부중인데 ㅈㄴ 지겨움 [4] (110.12) 06.14 184 0
528767 자칭 일본어 고수들 컴컴 [2] 일갤러(121.181) 06.14 111 0
528766 이 망할 것 을 뭐라고 해야돼 현지에서 자연스럽게 쓰는거 [7] 일갤러(121.1) 06.14 104 0
528764 思ってて <- 무슨 늬앙스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42 0
528763 일본어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질문좀 하겠습니다. [5] ㅇㅇ(58.78) 06.14 132 0
528762 嗚呼는 많이 쓰임? [1] 일갤러(39.120) 06.14 111 0
528761 일본 음식이 맛있다고 하는건 일뽕때문임 아님진짜 맛있어서 그런거임 [5] 일갤러(110.47) 06.14 105 0
528760 動感가 뭐야? [1] ㅇㅇ(116.38) 06.14 166 0
528759 기억하냐는 말 쓸때 왜 覚えています함? [3] 일갤러(223.62) 06.14 122 0
528758 일본어 입문 이름을 일본어로 바꿀때 가타카나로 바꾸나요? [1] 일갤러(125.139) 06.14 68 0
528757 한국에서 ''가오''라는 용어 [6] 오또꼬(221.161) 06.14 140 0
528756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문학을 지향하게 된다 [2] 일갤러(89.187) 06.14 114 0
528754 입문잔데 한중 이름도 가타가나로 씀? [5] 일갤러(59.12) 06.14 96 0
528753 코에토모 yay에서 일본인으로 오해받는 발음수준되려면 어케해야함 [2] ㅇㅇ(116.84) 06.14 72 0
528752 ます랑 します랑 차이가 뭐임? [5] 일갤러(121.143) 06.14 116 0
528751 클래식 음악(피아노) 좋아하는 데 일어 입문자가 공부하기 [2] ㅇㅇ(211.106) 06.14 80 0
528750 단어책 괜히삿노 [1] 일갤러(116.124) 06.14 132 0
528748 일본어 악센트로 하면 조금 부끄러워서 잘 안 됨 일갤러(175.118) 06.14 74 0
528747 야밤엔 シティ・ポップ mocoon00(111.238) 06.14 56 0
528745 악센트 신경 쓰느라 말이 잘 안 나옴 [2] 일갤러(175.118) 06.14 87 0
528744 한끝 출판사가 여러개던데 [1] ㅇㅇㅇㅇ(210.123) 06.14 57 0
528743 5만단어 보카15000 한파트 보는데 3분걸림 ㅋㅋㅋㅋㅋ [5] 일갤러(175.118) 06.13 14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