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중소 알뜰폰사 힘 얻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1.21 18:21:21
조회 421 추천 0 댓글 0
[IT동아 김예지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난 1월 15일 ‘이동통신 재판매 서비스(이하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및 ‘이동통신 신규사업자 정책 방향’ 관련 연구반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과기정통부는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 및 서비스 경쟁력 강화 ▲시장 전반에 알뜰폰 이용자 신뢰 확보 역량 강화 ▲활발하고 공정한 경쟁 시장 환경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알뜰폰 집중 육성’을 통신 정책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가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반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 출처=셔터스톡



알뜰폰 정책의 배경에는 지난해 ‘제4이통’의 무산과 단통법 폐지 등이 있다.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해 내놓은 통신 시장 경쟁 촉진 정책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알뜰폰으로 눈을 돌린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중소 알뜰폰사 등 관련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알뜰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 가지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도매대가 인하…Full MVNO 키운다


우선 도매제공의무사업자 SKT의 데이터 도매대가를 인하하는 방안이다. 도매제공 대가 산정 시, 종량제 데이터 도매대가를 현재 1.29원/MB에서 0.82원/MB 수준으로 낮춘다. 또한 알뜰폰사가 연단위로 대량 선구매할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늘린다. 예컨대, 1년에 5만 테라바이트(TB) 이상 선구매 시 도매대가의 25%(SKT), 2만 4000 테라바이트 이상 선구매 시 20%(LG유플러스) 추가 할인이 적용된다. 기존의 월단위 할인율도 확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의 데이터 도매대가를 인하하는 방안을 내놨다 / 출처=리브모바일



알뜰폰 도매대가는 알뜰폰 사업자(이하 알뜰폰사)가 이동통신사업자(이하 이통사)로부터 네트워크 사용 권한을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이다. 과기정통부는 도매대가가 저렴해지면 알뜰폰사가 비교적 저렴한 요금제를 자체 설계 및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과기정통부는 “도매대가가 인하될 경우, 이동통신 이용자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 20~30GB 구간대까지 알뜰폰 자체 요금제 출시가 가능해져 1만 원대 20GB 5G 요금제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알뜰폰사의 데이터 속도제한 상품(QoS)도 확대한다. 기존 400Kbps에서 1Mbps로 제공량을 늘리고, 해외 사용(로밍) 상품도 1종에서 4종으로 늘린다. 이외에 5G 재판매 요금제 9종에 대해 이통사 몫을 1~1.5%p 인하하고, 중소 알뜰폰사 대상 회선 기본 사용료를 매년 감액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통사의 지위 남용을 경계하기 위한 제도를 함께 추진한다. 올해 3월 말부터 정부가 도매대가를 검증하는 ‘사전 규제’ 방식에서 사업자 간 자율 협상 후 신고하는 ‘사후 규제’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 사후규제 환경에서 과기정통부는 이통사의 지위 남용 방지를 위해 부당한 도매제공 협정이 신고되면 반려 또는 시정 명령할 수 있도록 세부 판단기준을 담아 시행령을 개정한다.

과기정통부는 궁극적으로 자체 전산설비 보유 알뜰폰 사업자(Full MVNO) 출현을 장려한다. Full MVNO는 기지국 등 통신망은 이통사로부터 빌리지만, 다른 교환기・고객관리 시스템 등을 자체 설비로 두는 업체를 의미한다. Full MVNO는 자체 요금 설계 역량 등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설비 투자 비용과 같은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Full MVNO을 추진하는 알뜰폰사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내용은 ▲이통사 연결망 연동 의무화 등 제도 개선 ▲설비 투자 위한 정책금융 지원 ▲Full MVNO에 한해 이통3사 모두 도매제공의무사업자 지정 등이다.


과기정통부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카드뉴스 / 출처=과기정통부


중소 알뜰폰 힘 싣는 시장 환경 조성


과기정통부는 알뜰폰 이용자에게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알뜰폰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지만, 그만큼 알뜰폰사도 운영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다. 더불어 이통 자회사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중소 알뜰폰사를 적극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알뜰폰사에게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및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신고 의무를 부여한다. 사후심사는 매년 실시해 정보보호 역량을 지속 점검한다. 뿐만 아니라 알뜰폰 신규사업자 등록 시 자본금 기준을 3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이용자 보호 계획서 제출을 의무화해 정보보호 및 고객서비스 역량이 부실한 사업자의 진입을 원천 차단한다. 이에 더해 과기정통부는 현재 알뜰폰사마다 다르게 운영되는 해지 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알뜰폰 이용자 보호 지침’을 개정한다.


KT엠모바일 등 5개 이통 자회사 이용자는 444만 명에 달한다 / 출처=KT엠모바일



과기정통부는 현재 5개 이통 자회사(SK텔링크·미디어로그·LG헬로비전·KT엠모바일·KT스카이라이프)에 편중된 알뜰폰 시장을 개선, 중소 알뜰폰사 활성화를 지원한다. 지난해 9월 기준 총 알뜰폰 이용자 948만 명 중 이통 자회사 이용자는 444만 명으로 무려 47%에 달한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통 자회사의 알뜰폰 시장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차등화 규제를 검토하고, 이통 자회사와 독립계 대·중견 알뜰폰사 간 경쟁을 촉진한다.

먼저 이통사로 하여금 이용자의 통합 가입을 지원하는 온라인 유통망을 확대한다. KT 마이알뜰폰, LG유플러스 알닷 등 이통사 통합 가입 서비스에 인지도가 낮은 중소 알뜰폰사의 서비스를 포함해 이용자의 편리한 접근을 돕는 방안이다. 또한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와 조합해 사용할 수 있는 중고폰의 안전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한 중고폰 안심거래 사업자 인증제도를 추진한다.

한편, 올해 상반기 이통사·알뜰폰사 간 도매제공 협정에는 알뜰폰사가 자체 요금제를 설계할 경우, 운영상 제약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매제공하는 이통사가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방안이 반영될 예정이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단통법 폐지 국회 본회의 통과…소비자 통신비 부담 줄어들까▶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 발표…단계별 고려사항 구체화▶ 단말기에서 스팸 문자 AI 필터링 가능해진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5238 [주간투자동향] 씨드앤, 65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8 13 0
5237 해외 출국 전, SKT 유심 교체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1 1352 0
5236 CD에 담긴 음악, 폰으로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6 32 0
5235 [칼럼] 생성형 AI의 다음을 준비한다면, 지금 ‘양자 컴퓨팅’에 주목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92 0
5234 [생성AI길라잡이] 생성AI 기반 의료기기 임상시험 첫 승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9209 1
5233 [농업이IT(잇)다] 블레스드프로젝트 “농업부산물 업사이클링 뷰티 제품으로 순환 가치 제안하는 기업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85 0
5232 SKT, “14일까지 유심 물량 부족 불가피”…유심보호서비스 자동가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83 0
5231 [IT애정남] 단톡방 이름을 바꿨는데, 왜 나만 바뀌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77 0
5230 [기고] AI와 미래 산업기술 - 2. AI 전문가, 미래를 디자인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78 0
5229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 “인구 데이터, 기업의 성패 좌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98 0
5228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 “인구테크,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91 0
5227 청년창업 인프라의 ‘기준’을 만드는 강동구 청년해냄센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08 0
5226 SKT 해킹사고, 유심 교체 당장 어렵다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92 0
5225 재규어랜드로버 “통합 플랫폼 운영 및 보증 기간 확대로 소비자 신뢰 회복할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73 0
5224 [주간스타트업동향] 코딧, '2025 대통령 선거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출시 外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619 0
5223 [르포] 내 취향을 아는 AI 스토어 ‘나노’, 고객 맞춤 메뉴 제공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70 0
5222 [ETF/퇴직연금 Q&A] 퇴직연금, 은행에서도 ETF에 투자할 수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90 0
5221 [퀀텀 스타트업] 1. 큐비트 나침반으로 양자 시대를 개척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85 0
5220 SBA, 규제해소라운지 개소 ‘규제·애로 해소 위한 열린 소통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90 0
5219 [시승기]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및 편의 개선으로 탈바꿈...‘더 뉴 에스컬레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10 0
5218 [리뷰] '헬스장 갈 시간 없다'는 핑계는 그만! 인공지능 홈트레이닝 설루션 '트랙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73 0
5217 서울과기대 메이커스페이스 센터, 연속성 있는 '제조 창업 지원' 나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05 0
5216 온라인 플랫폼, AI로 서비스 혁신이 ‘대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627 2
5215 가상자산 거래소, SKT 이용 고객에게 ‘계정 보안 강화’ 당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05 0
5214 [자동차와 法] 전기차 화재 줄일 기술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90 0
5213 ‘인공지능 시대 변화상에 주목’ 마이크로소프트 2025 업무동향지표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16 0
5212 다이슨, 에어랩 코안다 2x 출시...“전작보다 2배 강한 모터…이제 스트레이트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380 1
5211 [뉴스줌인] ‘개살구’였던 HBM, ‘게임 체인저’ 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86 0
5210 [KESIA 프리팁스] AI 항만 탄소 배출 모니터링·예측 플랫폼 개발 ‘데이터플레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06 0
5209 [기술영업人] LLM 검증과 데이터 구축 분야로 떠오른 '셀렉트스타'의 도전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04 0
5208 ‘해킹사고’ SKT, 유심 무료 교체 결정…“이심으로 바꿔도 될까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081 1
5207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확인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58 0
5206 [스타트업-ing] 리뉴어블스 플러스 “산불로 탄 나무, 활용을 넘어 지역 상생까지 꿈꾼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379 1
5205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그린트레이더 “오프라인 중심 조경수 시장의 디지털 전환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9 0
5204 [투자를IT다] 2025년 4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7 0
5203 [신차공개] 현대차 ‘2025 코나’·’2026 아반떼’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8 0
5202 [KESIA 프리팁스] 시각장애인 위한 글로벌 통합 포털 꿈꾸는 ‘루트파인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3 0
5201 커지는 AI CCTV 시장, 딥엑스 엣지 AI NPU로 주도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64 0
5200 [생성 AI 길라잡이] 지브리 다음은 피규어, 챗GPT로 ‘피규어 패키지’ 만들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040 1
5199 GPT-4o 기본 탑재한 HP 비즈니스 제품군, 'AI PC 확산'에 마중물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751 0
5198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모델 4 및 새 파트너 지원책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8 0
5197 [민원제로] 2. "필요한 사람한테 도움을 줘야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8 1
5196 [기고] 2025년 글로벌 테크기업의 오피스 인테리어 트렌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3 0
5195 다음 세대의 검색 꿈꾸는 퍼플렉시티, 모리타 준 APAC 대표에게 듣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4 0
5194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이퓨월드 “XR 무인 촬영 솔루션으로 XR 대중화 선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67 0
5193 “확장성·비용 효율성 좋은 스테이블코인, 명확한 규제 필요한 시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5 0
5192 [스타트업-ing] 크립토랩 “해킹 무의미한 동형암호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16 0
5191 네이버클라우드, 무료로 쓸 수 있는 상업용 생성 AI 모델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840 5
5190 [KESIA 프리팁스] 슈가디 베이커리 “저당ㆍ저탄 식음료로 모두에게 먹는 즐거움을 주고 싶어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91 0
5189 “디지털 시대, 미래 금융 보안 길잡이 될 것” 금융보안원 창립 10주년 세미나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86 0
뉴스 ‘하트시그널3’ 서민재, 남친 신상 폭로 ‘논란’…“대기업 임원 아들, 연락 안받고 스토킹 신고까지” 디시트렌드 05.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