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비자가 수리하는 시대 열렸다··· 애플, 셀프 서비스 프로그램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18 12:08:14
조회 1169 추천 0 댓글 14
[IT동아 남시현 기자] 유엔(UN)이 발간한 ‘2020년 전 세계 전자폐기물 집계(The Global E-waste Monitor 2020)’에 따르면, 2019년에만 전 세계적으로 5천 360만 톤의 전자 폐기물이 생성됐으며 2030년까지 7천 400만 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의 폐기물 수치는 불과 5년 만에 21% 증가했고, 16년 만에 약 두 배 늘어난 수치다. 전자 폐기물은 주로 전기 및 전자 장비에서 발생하며, 더 높은 소비율과 짧은 수명 주기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더 빠르게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바꾸고, 여전히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을 폐기함으로써 전자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다.


출처=애플코리아



하지만 전자 폐기물이 빠르게 늘고 있는 이유에는 스마트폰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 피처폰은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아 오래 사용하더라도 불편함이 없었고, 분해와 수리, 배터리 교체가 간단해 오랫동안 쓸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스마트폰은 얇고 가볍게 진화하고 있어, 그만큼 분해나 수리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나 1~2년만 지나면 스마트폰 성능이 느리다고 느껴질 만큼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서 교체 주기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소비자들은 사용자가 직접 수리할 권리에 대해 주창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제도적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애플의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 바이든의 행정명령 덕분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9일, 애플과 같은 전자기기 제조 업체들의 수리 제한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행정명령에 따른 정책 성명서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앞으로 미국의 전자제품 제조업체는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야 하며,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애프터 서비스를 개방해야 한다. 애플이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을 발표한 이유다.


출처=애플코리아



애플의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은 애플 아이폰 12 및 13 라인업을 시작으로, 사용자가 직접 애플의 정품 부품과 도구를 구매해 아이폰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등을 직접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는 내년 초 미국에서부터 제공되며, 2022년까지 다른 국가로 지원 범위를 넓혀간다. 앞으로 고객들은 5천 곳 이상의 애플 공인 서비스 업체 및 2천 800곳 이상의 개별 수리 서비스 업체 등을 통해 애플의 정품 부품과 도구, 매뉴얼을 구매해 직접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애플 아이폰은 물론 M1 칩을 탑재한 맥 컴퓨터로 범위를 넓힌다.

애플의 최고 운영 책임자 제프 윌리엄스(Jeff Williams)는 “애플의 정품 부품에 대한 더 많은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수리가 필요한 고객에게 훨씬 더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한다”며, “지난 3년 동안 애플은 애플 정품 부품, 도구,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지를 두 배 이상 확장했고, 이제는 기기를 직접 수리하고 싶어 하는 고객에게 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직접 진행하는 수리, 어떻게 하나?


고객이 직접 수리를 진행하는 절차는 애플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수리 매뉴얼을 검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다운로드 한 매뉴얼을 통해 고장난 부품과 수리 방법을 확인한 다음, 본인이 진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애플 셀프 서비스 수리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애플 정품 부품과 도구를 주문한다. 새로운 온라인 스토어는 200개 이상의 부품과 도구를 제공하게 되며, 교체에 사용된 폐부품을 반납하면 향후 새 부품을 구매할 때 사용 가능한 크레딧으로 받게 된다.


아이폰 12의 디스플레이 교체 과정. 출처=아이픽스잇



하지만 실제로 서비스가 도입되더라도 이는 전자기기 수리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사람만 진행할 수 있다. 애플 아이폰 12, 13의 디스플레이를 직접 교체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아이폰 하단을 고정하고 있는 접착제를 열풍기나 전용 도구로 녹인 다음, 접착제가 식기 전에 흡입 컵으로 디스플레이에 흠을 만든다. 이 흠을 통해 전용 도구를 넣고 전체 틈을 벌려 디스플레이를 분해한다. 이때 틈에 1mm 이상 들어가면 디스플레이의 전면 패널이 손상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분해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리본 케이블이 아이폰에 연결돼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든 상태에서 배터리, 디스플레이 커넥터, 디지타이저 케이블, 전면 센서 커넥터를 해제해야 한다.


모든 부품이 완전히 분해된 아이폰 12 프로. 출처=아이픽스잇



분리된 디스플레이는 그대로 교체하는 게 아니라 접착제로 부착된 스피커와 전면 센서, 조도 센서, 마이크, 투광기 모듈을 접착제를 녹여 분리한 다음 다시 새 디스플레이에 부착하고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면 화면 교체가 끝난다. 조립이 끝나더라도 분해 시 방수 봉인이 해제되므로, 방수가 안 될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수리할 수 있게 된 것은 맞지만, 이것이 소비자가 쉽게 수리할 수 있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직접 수리는 어려워도, 소비자가 수리할 권리는 찾았다


애플의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의 도입은 그동안 소비자가 직접 수리할 권리에 대해 외면해온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린다.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수리하는 과정에 대한 난이도나 가격에 대한 부분보다는, 제조사들에게 독점적으로 부여돼있던 애프터 서비스를 사용자가 직접 진행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아마도 현재 존재하는 많은 사설 서비스 센터들이 정품 부품을 활용해 수리할 수 있게 되면서 수리 비용이 줄어들고, 그만큼 오래 사용하는 사람들도 늘어날 것이다. 소비자들 역시 수리하기 쉬운 제품이 친환경적이라는 인식을 갖게 될 것이고, 오래 쓸 수 있고 직접 수리할 수 있는 제품을 찾는 수요도 늘 것이다. 한편, 애플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의 국내 도입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정된 바가 없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베일 벗은 발뮤다 폰, 日 현지 반응은 ‘예쁜데 너무 비싸’▶ [리뷰] 익숙한, 그러나 더 넓어진 애플 워치 시리즈 7▶ 구글·애플 독점은 현재 진행 중, "토종 앱 마켓이 나서야 할 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747 [NEMO2022] "자동차의 미래는 스마트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그리는 자율주행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95 0
746 [모빌리티 인사이트] 세계인의 축제, 올림픽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만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90 0
745 전자동? 반자동? 캡슐? 내게 맞는 커피머신 고르기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3032 0
744 삼성전자 갤럭시 S22 공개, 갤럭시 S21과의 차이 한눈에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2310 2
743 [리뷰] 어디서나 원격 관리, 넷기어 WAX620 와이파이6 무선 AP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9 960 1
742 [르포] 사우디에서 느낀 한국…IT 강국 아닌 콘텐츠 강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9 192 0
741 [IT하는법] 컴퓨터 성능을 점수로 구분하자, '크로스마크' 활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9 139 0
740 [리뷰] 중형 포맷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후지필름 GFX50S II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9 1138 3
739 바람 잘 날 없는 메타, 실적 부진에 애플·EU의 반발까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9 1000 0
738 카카오페이의 목표, "책임경영" "금융서비스 확대" "초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8 96 0
737 [소부장 스타트업] 크리모 “5G 수신감도 높이는 특수 안테나, 우리가 세계 최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8 125 0
736 "2030도 찾는다는 제품", 가성비 좋은 소형 안마의자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8 817 0
735 스마트폰 출하량 81% 감소 화웨이, 유럽·폴더블 전략 통할까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8 1761 4
734 [LEAP2022] 전시회보단 경제 포럼…주역은 사우디 정부와 통신업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116 0
733 [뉴스줌인] PS5 용량 업그레이드를 위한 SSD, 호환 조건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156 0
732 트위터 '안전한 이용방법' 공개.."SNS 더는 위험하지 않아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413 0
731 [주간투자동향] 라포랩스, 36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103 0
730 [LEAP2022] 사우디 "한국 기업과의 협업 환영…금전적, 정책적 지원 아끼지 않겠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810 6
729 캐논·니콘·소니 “2022년 광학 시장 전망 밝다, 매출·영업익 상향”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7 1333 8
728 구독 모델, 클라우드 게임에 팔 걷은 MS, 게임업계 ‘넷플릭스’ 되나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3936 7
727 [리뷰] 생각보다 요긴한 캠핑용 이동형 프로젝터 - 벤큐 GV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157 0
726 [모빌리티 인사이트] 우리는 자동차가 하늘을 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2760 2
725 [IT애정남] e북 서비스 종료, 책은 계속 소유할 수 있나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238 0
724 [IT강의실] 멀티탭 "무심코 사용하다 화재".. 안전한 사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1101 1
723 中 스마트폰 제조사 약진, 삼성 불안한 출하량 점유율 1위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4 1022 3
722 [리뷰] PCIe 4.0 고성능 SSD의 저변 확대, WD 블랙 SN750 SE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3 116 0
721 [주간투자동향] 스냅태그, 2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3 69 0
720 [BIT 인사이트저널] 프로축구 관련 기기를 조기축구회에서도? '사커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3 175 0
719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2: 자산운용사의 투자 프레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3 604 0
718 8GB 램을 12GB처럼? 갤럭시 시리즈에 적용된 ‘램 플러스’ 기술 이모저모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3 2323 3
717 "국민이 제안하면, 국가가 사업으로" 국민참여예산으로 나라 예산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2 114 0
716 메타 “올해 안에 세계 최고 성능 슈퍼 컴퓨터 AI RSC 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2 139 0
715 고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한은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1 129 0
714 [리뷰] 하나에 20TB, 하드 아닌 '스토리지' -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프로 20TB HDD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1 350 1
713 [BIT 인사이트저널] 미래의 개인 맞춤 의료보조자, 카디오그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1 89 0
712 "한국 3명 중 2명은 금융 지식 몰라".. 재테크 간편하게 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1 146 0
711 2021년 광학 시장은 캐논·소니 양강 체제, 미러리스로의 전환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1 112 0
710 [리뷰] 가뭄 단비 같은 가성비 게이밍 그래픽카드, 컬러풀 지포스 RTX 3050 토마호크 DUO [14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30 11712 8
709 중소기업의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보다는 NA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233 1
708 [앱으리띵] 단돈 천 원이면 나도 고가 미술품 오너? 아트테크 플랫폼 테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227 1
707 서울먹거리창업센터, ‘스케일업 위한 IR 피칭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41 1
706 [리뷰] "어디서든 소음 없이 일하세요", 로지텍 존와이어리스 헤드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249 1
705 [먹거리+IT] 프레쉬벨 “한약 뱉는 아이도 마시는 건강 음료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31 1
704 [리뷰] 기본기·편의 갖춘 무선 이어폰의 정석 ‘JBL 투어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88 1
703 레인포컴퍼니 “고급 브랜드 구축, 섬세한 디자인업무 가능한 노트북 필요”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168 3
702 [리뷰] ‘왕의 귀환’ 외친 인텔, 노트북용 12세대 코어 i9-12900HK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445 3
701 세기의 빅딜 터뜨린 마이크로소프트, 전례없는 게임 공룡 탄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33 1
700 [IT운영관리] 1. 디지털전환 성공 키워드는?.. "철저한 분석", "IT 인프라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54 1
699 소상공인 생존 필수 ‘스마트 상점’, 도입에 앞서 알아야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31 1
6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06 0
뉴스 온앤오프 “황현 프로듀서=자신감 원천... 서로 정들어” 디시트렌드 02.1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