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동차와 法] 자동차와 무단횡단자의 과실 비율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1 16:48:51
조회 1053 추천 0 댓글 1
복잡한 첨단 기능을 결합한 자동차에 결함과 오작동이 발생하면,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습니다. 급발진 사고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자동차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고 유형도 천차만별입니다. 전기차 전환을 맞아 새로 도입되는 자동차 관련 법안도 다양합니다. 이에 IT동아는 법무법인 엘앤엘 정경일 대표변호사(교통사고 전문 변호사)와 함께 자동차 관련 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는 [자동차와 法] 기고를 연재합니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교통사고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과실의 유무 및 그 정도에 대한 판단은 전체 손해액 산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교통사고에서 과실비율을 산정할 때, 피해자와 가해자 간 손해의 공평한 분담을 위해서 피해자에게 손해의 적정한 분배라는 이익 조정적 기능이 작용됩니다.

즉 교통사고에서 과실비율은 시시비비(是是非非)를 숫자화 한 것인데, 결국 100에서 0이라는 숫자에 이르기까지 가해자와 피해자를 나누고 또 각자가 숫자를 얼마를 가져갈 것이냐를 판단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 숫자가 많다면, 다른 누군가의 숫자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기고에서는 과실비율 판단에 있어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는 무단횡단 사고를 살펴봅니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일반적으로 무단횡단이라고 하면 신호를 무시하거나, 횡단보도가 없는 곳에서 길을 건너는 것을 뜻합니다. 보행자의 횡단 방법은 도로교통법 10조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횡단보도, 지하도, 육교나 그 밖의 도로 횡단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도로에서는 횡단보도, 지하도, 육교 등으로 횡단해야 하고 ▲시골길과 같이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로에서는 가장 짧은 거리로 도로를 횡단할 수 있고 ▲차 바로 앞이나 뒤로 횡단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도로교통법상의 횡단 방법을 위반한 경우를 무단횡단이라고 합니다.

교통사고 시 무단횡단한 사람의 잘못이 더 커야 할 거 같은데 실제로는 운전자 과실이 더 많습니다. 운전자로서는 충분히 억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행자는 차와 대등한 관계가 아닌 교통약자이므로, 도로교통법 전반에서 운전자는 보행자를 보호할 의무를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의 주의의무가 더 크기 때문에 차 대 보행자 사고에서는 통상 운전자 과실이 더 많습니다. 다시 말해 무단횡단의 잘못과 무단횡단 보행자를 다치거나 사망케 한 잘못 중 무단횡단 보행자를 다치거나 사망케 한 잘못이 더 크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차와 보행자 사고 시 운전자가 가해자가 되는데, 과실 비율은 잘잘못과 잘못의 정도를 따지는 개념인 반면에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가 피해를 보았느냐 또는 상대방에게 잘못이 있느냐만 판단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피해자가 되는 경우는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운전자 과실이 적어도 보행자가 다쳤다면, 운전자는 무과실이 아닌 이상 가해자가 됩니다.

자동차와 보행자 사고에서는 보통 보행자가 다치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자는 과실 적은 가해자, 과실 많은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때문에 차 대 보행자 사고는 자동차가 가해자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하지만 운전자가 무과실이 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요. 운전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했고 사고를 예상할 수 없었으며, 피할 수 없었다면 무과실입니다.

법원 판결로 예를 들자면, 이면도로에서 자동차가 시속 14km로 주행하고 있었고, 주차된 차량 뒤편 3m앞에서 어린이가 갑자기 나타나 결국 자동차가 멈추지 못하고 어린이를 충격, 어린이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해당 사건에서 법원은 운전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무죄를 판단한 결정적인 요인은 차량 속도가 시속 14km였고, 어린이를 인지할 수 있었던 지점이 충격 전 3m, 정지거리가 4.9m라 멈추는 것이 불가능했던 점이 고려됐습니다.

즉 자동차가 위험을 인지하고 멈출 수 있는 정지거리가 있었느냐 여부로 운전자 과실을 결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 운전자가 서행하는 경우,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 밟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공주시간이라고 합니다. 공주시간은 통상 0.7초 내지 1초 정도 걸리기 때문에 1초 만에 발생한 사고라면, 무과실로 볼 수 있습니다.

무단횡단 사고의 구체적인 과실 비율은 사고 경위에 따라 다르고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무단횡단한 도로가 어떤 도로인지 ▲얼마나 넓은 도로인지 ▲중앙분리대와 같은 횡단방지시설이 존재하는지 ▲횡단보도나 육교 등의 횡단시설이 얼마나 가까이 있었는지 ▲낮인지 밤인지 ▲주변이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인지 ▲운전자나 무단횡단자가 술을 마셨는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주간의 경우, 편도 1차로를 기준으로 무단횡단자의 기본 과실을 20~25% 정도로 보고 차로가 하나 늘어날 때마다 5% 정도를 가산하게 됩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주간에 편도 2차로, 즉 왕복 4차로 도로를 무단횡단하다가 사고를 당한 경우, 무단횡단자의 과실이 25~30%, 차량 운전자의 과실이 70~75% 정도가 됩니다.

이와 같이 교통사고에서는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과실도 경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과실 비율을 정함에 있어서 손해의 공명 타당한 분담이라는 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사고 발생에 관련된 제반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특히 자동차 대 보행자 사고의 경우 중 무단횡단 사고는 판단자가 생각하는 과실 비율, 운전자가 생각하는 과실 비율, 보행자가 생각하는 과실 비율이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습니다.

3

글 / 정경일 법무법인 엘앤엘 대표변호사


정경일 변호사는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제49회 사법시험에 합격, 사법연수원을 수료(제40기)했습니다.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교통사고·손해배상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법무법인 엘앤엘 대표변호사로 재직 중입니다.

정리 / IT동아 김동진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자동차와 法] 딜레마존 구간에서 운전자 주의의무에 대하여▶ [자동차와 法] 배기량 기준 자동차세 부과의 문제점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4070 [농업이 IT(잇)다] 국내 최초 식물성 선인장 가죽 만든 ‘그린컨티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9 1026 2
4069 [리뷰] 모던함과 개성을 다 갖춘 스마트 워치, 낫싱 CMF 워치 프로 2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9 1988 0
4068 [스타트업-ing] 원하는 포장재 100장부터 제작, 칼렛스토어 ‘소량 인쇄 서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9 225 0
4067 가상자산 첫 규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9 2787 2
4066 ‘새로운 반도체 설계와 효율 개선’ AMD 라이젠 9000 프로세서의 핵심 요소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8 252 0
4065 홍수경보 지역 지날 때 알람…'車 내비게이션 고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8 267 0
4064 두나무 ‘업비트 투명성 보고서’ 공개···“투명한 운영 힘쓸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8 217 0
4063 가상자산이용자법 대비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8 1510 1
4062 [IT’s 가성비] AMD 라이젠5 5600, 가성비에 호환성까지 ‘착한’ CPU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7 1976 0
4061 BEV? FCEV?...헷갈리는 친환경차 용어 정리해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7 208 0
4060 ‘NPU+GPU 성능 개선’ AMD 라이젠 AI 300 프로세서의 핵심 요소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7 1117 0
4059 [스타트업-ing] 한의학과 기술의 접목으로 진료 효율 높이는 ‘헬리큐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6 252 0
4058 코파일럿+PC가 연 'AI PC 시대', 제조사 별 시장 전략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6 223 0
4057 레드힐스 “비건 특수 메이크업 브랜드 noon:Ker로 시장 변화 이끈다”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6 1020 0
4056 ‘AI PC 경쟁 이제부터’ AMD, 라이젠 AI 300ㆍ라이젠 9000 시리즈 CPU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6 681 0
4055 [월간자동차] 24년 6월, 신차·중고차 거래량 모두 하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236 0
4054 [정구태의 디지털자산 리터러시] 디지털자산 규제 샌드박스가 필요한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216 0
4053 [이럴땐 이렇게!] 스마트폰 느릴 때 ‘최적화’ 하는 방법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15502 10
4052 [서평] 스티브 잡스도 예상 못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6950 1
4051 '외국인 취업자 역대 최대'…눈 돌리는 채용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209 0
4050 그래프코어, 소프트뱅크에 인수·· 왜 왕년의 기대주는 추락했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242 0
4049 [칼럼] 책임감 있는 AI 기반을 구축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190 0
4048 국내 AI 스타트업 인포플라, 싱가포르 시장에서 ‘눈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149 0
4047 [주간투자동향] 노타, 3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138 0
4046 '아직도 올해가 2023년?' 기본기 개선 시급한 네이버 CUE: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65 0
4045 펀샵, 원엑스플레이어로 국내 게이밍 UMPC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55 0
4044 고려대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브릿지, 일경험 수주...KU2030 디딤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62 0
4043 [생성 AI 길라잡이] 생성형 AI로 효과 좋은 숏폼 제작, 샵라이브 AI클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1225 1
4042 [농업이IT(잇)다] 에너지 솔루션 기업이 설계한 스마트팜, '허브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77 0
4041 제도권에 들어선 웹3 산업 조명, 어돕션 202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03 0
4040 앱으로 충돌 위험 알리는 기술 출시 임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13 0
4039 [스타트업-ing] 이유씨엔씨 “철도 친환경 단차열도료, 세계 ESG 선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2 200 0
4038 [인터뷰] 자율주행기술연구소 “SW로 미래 모빌리티 기술 고도화 연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270 0
4037 서울복합물류 “상징성 큰 도심형 물류단지, 디지털 관리 솔루션으로 업무혁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216 0
4036 젠하이저의 첫 화상회의 솔루션 TC 바 ’4K 카메라·AI 기능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207 0
4035 삼성전자, ‘폴드/플립6’에 ‘워치 울트라/7’, ‘버즈3’, ‘링’까지, ‘갤럭시 보따리’ 풀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775 0
4034 [스타트업-ing] 디지포레·베이넥스, 국내 산업용 메타버스 시장 함께 키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4704 0
4033 [스타트업 첫걸음] 나에게 필요한 지원사업 찾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1009 0
4032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9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1 905 0
4031 한국후지필름BI, “종이 한계 넘은 DX 지원할 것, 한국 내 후지필름 법인 통합도 고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0 241 0
4030 [시승기] PHEV 모델 ‘BMW 뉴 530e’ 1000km 주행해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0 556 0
4029 [IT애정남] PC에서 넷플릭스 4K 재생, 어떻게 해도 안 되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0 1462 1
4028 [자동차와 法] 미래자동차부품산업법 도입배경과 향후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9 274 1
4027 '디자인 재해석에서 기치를 찾다'···서울과기대 '리디자인 톤' 가보니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9 398 0
4026 [신차공개]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공개·MINI ’뉴 MINI 쿠퍼 S’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9 633 0
4025 가상자산 이상거래 감시 체계 구축 “불공정거래, 엄중 조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9 197 0
402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네오스헬스케어 “의료·산업 분야 활용도 높은 저온 감응형 점착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9 4642 1
4023 홍수·침수 위험 정보 확인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8 219 0
4022 [르포] 車 사고 및 관련 범죄 규명·보안 기술 연구하는 ‘단국대 리빙랩’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8 288 2
4021 LG전자, 가정용 ‘프리미엄 환기’ 구독 상품 출시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8 2764 1
뉴스 이펙스, 동화 같은 청춘 비주얼 만개! ‘소화(韶華) 3장 : 낭만 청춘’ 두 번째 포토로 비주얼 절정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