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최근 방문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민세희 경기콘텐츠진흥원 원장, "콘텐츠 업계에 공공의 역할 중요··· 퇴임 후에도 기여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11 10:04:50
조회 160 추천 0 댓글 0
“지난 2년 사이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인 공감대가 크게 바뀌었다. 퇴임 이후에는 민간 전문가로서의 경력과 공공 기관장으로의 경험을 모두 살려, 우리나라 인공지능 산업과 교육 환경에 기여해 볼 생각이다”

지난 2021년 7월 부임한 민세희 경기콘텐츠진흥원장의 임기가 이번 달 마무리된다. 민 원장은 MIT 센서블시티랩 연구원, TED 펠로우, 서울디자인재단 서울라이트 총감독, 구글 아트&컬처 작가 등의 경력을 가진 거친 데이터 시각화 및 인공지능 전문가며, 실무 전문가의 시선으로 경기콘텐츠진흥원을 이끌어왔다. 지난 2년간 공공기관장으로서 민 원장이 걸어온 족적, 그리고 앞으로 인공지능 전문가로서 다시 그녀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들어보고자 경기콘텐츠진흥원을 방문했다.


민세희 경기콘텐츠진흥원장. 출처=IT동아


콘텐츠에서 공공기관의 역할 분명··· 공적 영향력 늘려야


민 원장이 이끈 경기콘텐츠진흥원은 지난 2001년 설립된 경기도 산하 기관으로, 경기도 내 문화 및 예술 콘텐츠 산업과 기술 집약적 중소기업의 창업을 지원하고, 산학연관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 지역문화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 원장 이전에는 주로 행정 전문가들이 기관장을 지냈으나, 민 원장이 처음으로 민간 전문가 자격으로 기관장을 맡아 화제가 된 바 있다.


민세희 원장은 지난 21년 7월 부임했고, 23년 7월로 임기가 마무리된다. 출처=IT동아



경기콘텐츠진흥원장을 부임하기 전과 임기를 마무리하는 지금의 생각은 어떻게 다를지 물었다. 민 원장은 “민간 영역에서 사업을 진행 하면서 민간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공적 영역의 벽을 느껴왔다. 시각 콘텐츠 미디어 아트만 보더라도 공공기관은 공원이나 문화유산 등 일반 기업이 접근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기술 기반의 일을 해오다 보니 기술과 자원을 공공화하는 일도 해보고 싶었다. 콘텐츠 제작자에게 인공지능용 자원을 대여하는 등의 시스템을 말이다”라고도 말했다.

물론 임기가 마무리되는 지금 시점에서는 조금 더 보편적으로 접근했다고 말한다. 민 원장은 “공적인 영역에서 사업을 추진하긴 해도, 일반 기업과 다르게 1천400만 도민과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가능한 세금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분배되는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했다”라고 말했다.

코로나로 해외 네트워크 쌓지 못한 점 아쉬워


민 원장은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더 이름을 날린 전문가다. 그런 만큼 해외 기관과의 협력도 구상했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그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민 원장은 “개인적으로 콘텐츠진흥원이 국내는 물론 해외 기관과도 연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쉽지 않았다. 시기만 괜찮았다면 충분히 가능했었던 부분이라 아쉬움이 남는다”라고 말했다.

3

22년 12월에 개소한 동부경기문화창조허브. 출처=경기콘텐츠진흥원



그래도 작년 12월에 출범한 동부경기문화창조허브를 바탕으로 소기의 성과는 남겼다. 동부경기문화창조허브는 기존에 세 개 권역으로 나눴던 경기콘텐츠진흥원을 네 개 권역으로 나누기 위해 출범한 센터다. 현재 동부 센터는 여주 지역 기반의 로컬크리에이터, 호스피탈리티(Hospitality) 산업 성장을 위해 지역 관광지나 특산물 등과 관련된 지역 밀착형 콘텐츠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호스피탈리티 산업은 호텔이나 관광 등 환대 서비스를 뜻하는데, 해당 사업에서의 역량 확보를 위해 일본의 여러 지역 도시와 소통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비주류 콘텐츠의 경계 허물고 불균형 해소하겠다는 목표는?



민 원장은 동부 센터가 일하고 싶은 사무실이라는 이미지를 주고자 노력했다고 말한다. 출처=IT동아



민세희 원장은 취임 당시 ‘비주류 콘텐츠의 경계를 허물고, 지역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겠다’라고 말했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이 목표는 충분히 달성되었을까? 민 원장은 “경기도는 31개 시군 간의 격차가 상당하다. 문화의 보편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이런 격차를 줄여나가야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라고 말했다.


오르: 빛 재인폭포 미디어 파사드 시연 및 평소 모습. 제공=경기콘텐츠진흥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명소인 연천군 재인폭포 주상절리를 배경으로 한 ‘오르: 빛 재인폭포’ 역시 민 원장이 추진한 사업 중 하나다. 민 원장은 “재인 폭포를 알리고, 지역 사회에 이바지하는 목적으로 시각 콘텐츠 사업을 추진했다. 이런 사업은 공공에서만 추진할 수 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또 인지를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앞으로도 이런 사업을 통해 다양한 경기도 내 지역 문화 콘텐츠를 부흥하려는 시도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 작지만 단계적으로 실현해



민 원장은 단계적으로 디지털 전환도 이뤄져야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출처=IT동아



민 원장은 IT전문가 출신이어서 디지털 전환에도 목소리를 냈다. 다만 기관 특성상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고 한다. 민 원장은 “공공기관은 보안이나 절차 등으로 인해 빠르게 디지털 전환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가능한 부분부터 조금씩 디지털화를 시도했다. 올해 사업설명회는 처음으로 가상인간을 활용해 설명회를 진행했고, 인공지능 기술로 게임 제작을 지원하거나 기술 도입을 제공하려는 시도도 했다”라고 말했다.

또한 민세희 원장이 직접 기획한 2022 콘텐츠 디지털 전환 축제도 디지털 전환의 움직임으로 꼽았다. 민 원장은 “작년에 경기도 수원화성 일대에서 경기도가 준비한 콘텐츠 종합선물세트라는 콘셉트로 2022 콘텐츠 디지털 전환 축제를 진행하기도 했다. ‘쿠키’라는 이름으로도 부르는데, 쿠키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여태껏 시도해 본 적이 없는 미디어 기술 기반의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내세운 축제로, 낯설지만 독특한 시도라는 평가를 이끌어냈다”라고 설명했다.

중소 미디어 콘텐츠 산업, 기술 지원 절실해



콘텐츠 산업에 기술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출처=IT동아



독립영화, 웹드라마로 양극화된 미디어 콘텐츠 제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K콘텐츠 영화·영상물 제작지원 사업, 경기도 음악 기업에 공연 비용 및 영상 제작 비용 등을 지원하는 음악 비즈니스 활동 지원, 발매 못한 음원의 제작 및 유통을 지원하는 더 넥스트 빅 송 등도 민 원장의 뜻이 담겨있다. 민 원장은 “K콘텐츠의 발전을 위해 영상, 음악, 애니메이션 분야의 사업을 지원했다. 영상의 경우 전통적인 영상뿐만 아니라 신기술 기반 영상, 기술 기반의 영상들을 꾸준히 지원해 경기도 내 중소기업들의 기술력 함양에도 도움을 주려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기술에 관한 전문가의 시각도 덧붙였다. 민 원장은 “경력 자체가 기술 제작 쪽이다 보니, 콘텐츠 제작에 기술 도입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다. 노동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필요하고, 그래야 사람들이 덜 일하고도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문화 산업에는 중소, 고급, 대자본 콘텐츠가 각자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결과물은 우수한 품질을 맞춰야 한다. 중소 콘텐츠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콘진 등의 기관이 기술을 투입해 경쟁력을 높여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퇴임 후 민간·공공 경력 살릴 것··· 인공지능도 다시 집중



민세희 원장은 퇴임 이후 원래의 경력과 공공 기관장 경력을 살려 새로운 시도를 해볼 생각이다. 출처=IT동아



오는 7월 12일이면 민 원장은 다시 자연인 신분으로 돌아간다. 퇴임 이후 민 원장이 구상하고 있는 목표는 본래 경력인 인공지능 관련 사업이다. 민 원장은 “우선 재직기간 사이에 생성형 AI가 큰 주목을 받은 만큼, 과거에 진행했던 생성형 AI 프로젝트 프랙시스(praxis.ai)를 다시 시작해 볼 예정이다”라면서, “인공지능 분야 이외에도 사회 공헌 측면에서도 고려하고 있다. 지금까지 쌓아온 경력은 민간이었고, 경콘진을 통해 공공 분야의 경력도 갖게 됐다. 이 두 곳의 경력을 모두 살려서 기술 기반 아카데미 같은 교육이나 미디어 산업 환경 개선 등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새로운 도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민세희 원장은 공공기관장으로 지낸 경험, 그리고 2년 간 함께해 온 임직원들에게도 한 마디 남겼다. 민 원장은 “공공기관에 나 같은 민간 경력자가 부임한 것은 특이 케이스다. 행정적인 부분에서 어려운 점은 분명 있었는데, 이런 부분까지 모두 포용해야 실력 있는 경력자들이 공공기관을 이끌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면서, “ 경기콘텐츠진흥원 전 직원들이 어여삐 여겨주신 덕분에 잘 마무리를 짓게 됐다. 경직되지 않은 유연한 근무 문화를 만들려고 노력했고, 이렇게 형성된 질서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드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1] 서울특별시·충청남도·경기도▶ [경콘진 MAP] AI 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전문 SW 개발...‘조이풀터틀즈’▶ [경콘진 MAP] 씨에어허브 “수출입 물류 자동화의 모든 것, 여기G에서”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1
본문 보기
  • 아갤러1(218.39)

    병신같은데

    06.06 11:17:15
1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3543 [KESIA 시드팁스] 프렉탈테크놀로지 “검증된 고객과 데이터 갖춘 M&A 거래소 만듭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8 160 0
3542 LG전자, 토출구 2개로 냉각성능∙전력효율 강화한 벽걸이 에어컨 신제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528 1
3541 [뉴스줌인] 전에 못 보던 24GB, 48GB 용량? ‘논바이너리’ 메모리의 이모저모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819 0
3540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 상황에 맞춰 ‘거래 환경·혜택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159 0
3539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196 0
3538 세일즈포스, 새로운 AI CRM ·대화형 AI로 CRM 고도화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156 0
3537 [시승기] 214년 역사 佛 제조사의 7인승 패밀리카…'푸조 5008 SUV'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175 0
3536 생성형 AI와 협업 툴의 만남은? 플로우 3.0 AI 나우로 살펴본 현 주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1084 1
3535 인공지능 열풍 닷컴버블 같다고? 비슷하지만 다르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7 603 0
3534 갤럭시 S23에도 적용되는 갤럭시 AI 기능, S22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300 0
3533 NAS 보안을 강화하는 8가지 보안 수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184 0
3532 현대차 ”포니 시대로 타임슬립”…제페토에 신규 콘텐츠 론칭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1284 4
3531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7. 메타버스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기업 도입 사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226 0
3530 [리뷰] 인터넷으로 사진·동영상 전송하는 '카멜 클라우드 디지털 액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6 1245 2
3529 [IT애정남] DDR4, LPDDR5 램을 탑재한 노트북, 뭐가 더 좋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167 0
3528 [자동차와 法]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 설치 관련 법률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357 0
3527 ‘빅 이벤트 온다’ 엔비디아 GTC 2024 관전 포인트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169 0
3526 [IT애정남] 버티컬 마우스는 왜 쓰는 걸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346 0
3525 [IT신상공개] 애플, M3 탑재한 새 맥북에어 13 및 15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167 0
3524 [2024 고려대 초창패] 뉴로엑스티 “알츠하이머 치매 정밀의료를 실현합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5 1027 0
3523 “혹시 퇴직연금 깜박하셨나요?” 찾는 방법부터 앞으로 바뀌는 부분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502 0
3522 [KESIA 시드팁스] 그랜터 “회사 지출 관리, AI에 맡기고 업무에 집중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182 0
3521 [스타트업-ing] 니어스랩 “한국의 자율비행 드론, 전 세계를 누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125 0
3520 플리토 이정수 대표 "온디바이스 AI, LLM으로 데이터 중요성 커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132 0
3519 [스타트업 법률실무 마스터링] 투자유치 법률실무 (2) Termsheet 이해를 통한 분쟁방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747 0
3518 헷갈리는 버스전용 차로 만나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04 146 0
3517 [월간자동차] 24년 1월, 수입 신차 판매량 급감...BMW 5시리즈 1위 수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842 0
3516 인텔, “새로운 vPro 플랫폼 통해 기업시장에 AI PC 확대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216 0
3515 [리뷰] ‘좋아할 만한 건 다 담았네?’ 에이수스 비보북 프로 15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202 0
3514 레노버 “한국 기업들의 생성형 AI투자, 아태지역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182 0
3513 [IT강의실] 생성형 AI와 클라우드의 상관관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217 0
3512 [생성 AI 길라잡이] 챗GPT에서 최신 정보까지 검색한다 ‘웹챗GPT’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9 2206 1
3511 LG전자, AI로 화질과 음향 강화한 2024 올레드/QNED TV 라인업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503 0
3510 [리뷰] 실용주의 AI폰,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917 4
3509 하이퍼커넥트가 글로벌 인공지능 기술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129 0
3508 [스타트업-ing] MRI 영상 복원 솔루션으로 진단 효율 높이는 ‘에어스메디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120 0
3507 빗썸, 멤버십 혜택 강화 ‘모든 회원에 특별 메이커 리워드 지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290 0
3506 퀄컴, X80 5G, 패스트커넥트 7900 공개··· 'AI로 혁신에 시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700 0
3505 [스타트업-ing] 발켄모빌리티 “전기자전거·충전 스테이션·소프트웨어 모두 갖췄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242 1
3504 [리뷰] 이름은 독특해도 성능은 확실하다, AMD 라데온 RX 7900 GRE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7 2139 3
3503 [EV 시대] 급부상하는 중국 전기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7 129 0
3502 [스타트업-ing] 리셋컴퍼니 정성대 대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7 129 0
3501 [IT신상공개] JBL·보스, 귀를 열고 듣는 ‘오픈이어 이어폰’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7 147 0
3500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뉴라이브 “이명·퇴행성 뇌질환 디지털 치료 시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7 964 0
3499 [신차공개] 올 뉴 포드 머스탱·BMW X1 M35i 출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6 1535 3
3498 [스타트업-ing] 뷰브레인헬스케어 김재학 대표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 인공지능으로 해결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6 181 0
3497 웨어러블의 진화…반지형 제품, 복약 관리하는 워치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6 175 0
3496 세일즈포스, 전 세계 자동화·AI 전략 구축 담은 '2024 연결성 벤치마크'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6 105 0
3495 [주간투자동향] 테크타카, 126억 원 규모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6 782 0
3494 [자동차 디자人] 세계 3대 명차 ‘롤스로이스’ 디자인 이끄는 ‘앤더스 워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3 146 0
뉴스 밀레나, 오늘(11일) 첫 정규앨범 'Where to Begin' 발매! 전곡 작사·프로듀싱 참여 디시트렌드 07.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