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뉴스줌인] 4K 시대인데 게이밍 모니터는 왜 아직도 풀HD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25 19:11:26
조회 1179 추천 2 댓글 8
[IT동아 김영우 기자] IT동아 편집부에는 하루에만 수십 건을 넘는 보도자료가 온다. 대부분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 출시 관련 소식이다. IT동아는 이 중에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 몇 개를 추려 기사화한다. 다만, 기업에서 보내준 보도자료 원문에는 전문 용어, 혹은 해당 기업에서만 쓰는 독자적인 용어가 다수 포함되기 마련이다. 이런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 IT동아는 보도자료를 해설하는 기획 기사인 '뉴스줌인'을 준비했다

출처: MSI코리아(2023년 1월 25일)
제목: MSI, 압도적인 몰입감! 27형 170Hz 게이밍 모니터, ‘MSI G27C5 E2’ 출시!



MSI G27C5 E2 (출처=MSI)



요약: 엠에스아이코리아가 170Hz 주사율 지원의 27형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MSI G27C5 E2’을 새롭게 출시했다. 본 제품은 27형 풀HD 해상도 및 1500R 커브드 패널, 프레임리스 디자인을 적용해 몰입감을 높였다. 초당 170장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170Hz 주사율, sRGB 117%, DCI-P3 93% 색 표현율을 제공하며, 자동으로 암부 영역을 조정해주는 나이트비전,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FreeSync Premium)과 엔디비아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등의 가변 주사율 기능도 제공한다.

해설: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게이밍 전용’을 표방하는 모니터도 다수 출시되고 있다. 게이밍 모니터들이 강조하는 공통적인 특징이라면 높은 주사율 및 빠른 응답속도다. 주사율은 1초당 전환되는 화면 이미지의 수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모니터는 최대 60Hz까지 지원한다. 이 정도면 대부분의 작업을 무리 없이 할 수 있다.

하지만 화면 전환이 빠른 액션 게임이나 FPS 등을 플레이할 경우, 60Hz 상태에선 잔상이나 입력 지연을 호소하는 게이머도 있다. 그래서 게이밍 모니터는 120Hz 이상의 높은 주사율 표시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으며, 몇몇 제품은 170Hz나 240Hz 주사율을 지원하기도 한다. 다만, 시스템에 탑재된 GPU(그래픽카드의 핵심 칩) 성능에 따라 최대 주사율이 제한되기도 하므로 고주사율 모니터를 구매하기 전에 미리 자신의 시스템 사양을 잘 파악하는 것이 좋다.

응답속도의 경우, 대개 1/1000초를 의미하는 ms(milisecond) 단위로 표기하며, ms 수치가 낮을수록 잔상이나 지연 없이 빠르게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MSI G27C5 E2의 경우, 1ms의 응답속도를 발휘한다고 MSI는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MSI에서 밝힌 1ms의 응답속도는 MPRT(Motion Picture Response Time) 기준으로, 이는 움직이는 영상에서 잔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그 외에 모니터 응답속도의 기준으로는 GTG(Grey to Grey)도 있다. 이는 밝은 회색과 어두운 회색 사이의 전환 시간을 기준으로 한 것인데, 모니터 제조사에 따라 응답시간을 MPRT 기준으로 표기하기도, GTG 기준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대략 1ms(MPRT)=3~4ms(GTG) 수준인데, MSI G27C5 E2가 VA 패널 기반의 모니터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1ms(MPRT)의 응답속도는 상당히 우수한 편이다.

참고로 일부 게이밍 모니터는 TN 패널을 탑재해 1ms(GTG)의 응답속도를 달성하기도 한다. 다만, TN 패널은 응답속도 면에선 유리하지만, 시야각이나 컬러 표현 능력, 명암비를 비롯한 그 외의 대부분의 화질 관련 성능 면에서 VA 패널에 비해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알아 두자.

해상도란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점)의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모니터 중에는 풀HD급(1920x1080)의 해상도의 제품이 가장 많았지만, 최근에는 4K급(3840x2160) 해상도의 모니터도 다수 출시되고 있다. 다만, 게이밍 모니터 중에는 아직도 풀HD급, 혹은 1440p급(2560x1440) 해상도로 출시되는 제품이 많다. 풀HD급 모니터는 4K급 모니터에 비해 화면의 정교함이 떨어지는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의 시스템에서도 프레임 저하 없는 원활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MSI G27C5 E2 역시 그런 제품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양 중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색 표현율이다. 색영역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가 얼마나 다양한 색을 표시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색 표현율 기준은 PC 시스템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sRGB, 영화 업계의 표준인 DCI-P3, 그리고 출판 업계에서 주로 적용하는 Adobe RGB 등이다. MSI G27C5 E2의 경우, sRGB 117%, DCI-P3 93% 색 표현율을 지원하는데, 이는 게임이나 웹 콘텐츠의 감상에 적합한 수준이다.

최근 게이밍 모니터의 필수 덕목으로 자리잡은 가변 주사율 기술도 지원한다. 그래픽카드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치가 모니터의 주사율 수치를 초과할 경우, 화면 일부가 갈라지듯 왜곡되는 '티어링 현상'이 일어나곤 하는데, 가변 주사율 기술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사율을 능동적으로 조절한다.

AMD의 프리싱크(FreeSync)와 엔디비아의 지싱크(G-Sync) 기술이 대표적인데, 프리싱크 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라이선스 비용 없이 자유롭게 생산 가능하다. 반면, 지싱크 기술의 경우 프리싱크에 비해 고성능이지만, 엔비디아에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역시 모니터에 탑재해야 한다.

그래서 시중에 출시되는 모니터 중에 프리싱크 지원 제품은 많지만 지싱크 지원 제품은 수가 적은 편이다. 대신 프리싱크만 지원하는 모니터라도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모드는 활성화가 가능하다. 지싱크 호환 모드는 지싱크와는 다른 것이며, 프리싱크와 거의 유사하다. 참고로 ‘프리싱크 프리미엄’ 문구가 표기된 제품은 프리싱크 외에도 120Hz 이상의 주사율 및 저 프레임율 보상(LFC) 기능까지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 출시된 MSI G27C5 E2는 온라인 판매가 기준, 23만 9,000원에 팔리고 있다. 해상도가 높지 않고 높낮이 조절 기능이나 내장 스피커와 같은 일부 부가 기능을 넣지 않은 대신, 높은 주사율 및 커브드 디자인을 비롯한 게이머들이 선호하는 기능에 집중해 가격 경쟁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에는 적합하지만, 고해상도 동영상 콘텐츠를 즐기고자 하거나 콘텐츠 제작용으로 이용하기에는 다소 만족도가 떨어질 수도 있으니 참고하자.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2023년 게이밍 모니터 시장 키워드는 '고주사율·OLED·미니LED'▶ [CES 2023] MSI 부스 현장 반응은 어땠나? 주목을 끄는 건 역시 게이밍 노트북...▶ [CES 2023] MSI 게이밍 노트북으로 혁신상 4관왕, 한층 업그레이드된 신제품 성능 증명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2645 [농업이 IT(잇)다] 에이트테크 “AI·로봇 기술로 폐기물 선별 효율 개선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9 173 0
2644 [IT강의실] 노이즈 캔슬링이 모든 소리를 차단하지 못하는 이유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8 3138 12
2643 [리뷰] ‘스마트보드’로 진화한 전자칠판, 현대아이티 스마트보드 알파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8 202 0
2642 日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삼성 내려가고 구글 올라오고 [5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8 5244 18
2641 구글 ‘About this image’로 인공지능 사진 악용 줄인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7 1888 5
2640 [KOBA 2023] 미디어 산업을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 '방대한 데이터에 초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7 173 0
2639 게이밍 능력에 얇은 두께까지, ‘HP 오멘 16 슬림’ 노트북 발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2559 2
2638 웹3.0 시대의 필수 조직, 'DAO'가 움직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231 0
2637 황혼기 디카 시장, 전통 미디어 연이어 폐간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287 0
2636 실검 부활하나? 네이버·카카오 “실검과 다르다” [2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3368 8
2635 [스타트업人] 산업용 메타버스를 향한 도전, 디지포레 개발팀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147 0
2634 [뉴스줌인] 청축, 적축, 갈축 키보드는 들어봤는데 황축 키보드는 무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6 213 0
2633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5 7322 7
2632 [주간투자동향] 휴먼스케이프, 200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5 159 0
2631 발뮤다 스마트폰 사업 철수 “본업에 집중”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5 2332 4
2630 에이수스 ‘ROG 앨라이’ 가격 공개, 진짜 ‘스팀덱 저격수’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230 0
2629 “초진 허용해야 생존 가능하다”… 불안에 떠는 비대면진료 업계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355 0
2628 쇼핑몰 상품 이미지의 글자를 읽어준다, 인포플라의 U See NOW [스타트업리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237 0
2627 바드 실패 만회하자 주가 4% 상승··· '구글 I/O 키노트' 톺아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248 0
2626 투자 혹한기에도 액셀러레이터 투자 지속 증가···ICT·바이오에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170 0
2625 [농업이 IT(잇)다] 씨위드 “바다의 보물 해조류로 배양육 시대 연다”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1544 7
2624 GPU 넘어 NPU가 주목받는 이유 ··· '관건은 와트당 성능, 그리고 효율성'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2 2832 8
2623 ‘인도>중국’이라는 새로운 상식, 아십니까?[K비즈니스 가이드]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1 2149 19
2622 벤처기업확인제도, 업종·업력 반영 ‘벤처기업 확인 문턱 낮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1 162 0
2621 구글 I/O서 등장, 픽셀 폴드·픽셀 7a·픽셀 태블릿 성능은?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1 1475 0
2620 [IT신상공개] 고급 사진·동영상 기능에 소형 경량 ‘니콘 Z8’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1 1258 2
2619 이병철 서울시 창업정책과장 “세계 스타트업 TOP 5 도시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0 133 0
2618 3년 만에 새 단장 들어가는 네이버 PC 메인, '첫인상 깔끔하네?'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0 1816 4
2617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내일의쓰임 “탄소중립 달성 지원해 저탄소 세상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0 116 0
2616 [리뷰] 2.5기가급 5포트 스위칭 허브, 넷기어 MS105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9 193 0
2615 ‘GPT 정보 유출’ 경고… 안전한 보안환경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9 214 0
2614 에어컨 청소·관리해야 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2277 3
2613 [뉴스줌인] 워크데이와 손잡은 메타넷사스, ‘페이롤’이 뭐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115 0
2612 팩스 없이 팩스 보내야 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2703 2
2611 [주간투자동향] 알에프시스템즈, 4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105 0
2610 기어라운지 글랩스튜디오 ‘스튜디오 시공 고객 위한 데모 스튜디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714 1
2609 [농업이 IT(잇)다] 생활한방연구소 “손쉽게 먹고 효과 보는 K 한방 전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149 0
2608 [뉴스줌인] 컴퓨터 파워서플라이의 '플래티넘', 'ATX 3.0'은 무슨 뜻일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1583 2
2607 달리셔스 남태호 CPO “달리셔스, 식단 큐레이션 넘어 식문화 개선에 도전한다” [스타트업-in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3 125 0
2606 '스팀덱이 두드리자 AMD가 답했다'··· UMPC 전성시대 열릴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2 217 0
2605 5월 정보통신업계, 스마트폰·디카 신제품 쏟아진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2 1268 2
2604 [주간투자동향] 스패너, 6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2 177 0
2603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오핑 “3D 콘텐츠 제작을 돕고 싶어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8 209 1
2602 인터넷은행 막내인 ‘토스뱅크’, 자산 건전성 문제없을까? [3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8 7529 10
2601 [리뷰] 어디든 배치하는 광고판, 카멜 닥터애드 DA3210S 디지털 사이니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8 1087 0
2600 [농업이 IT(잇)다] 팜프로 “소 질병·출산 관리해 스마트 축산 선도국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8 172 0
2599 문화재까지 태운 강릉 산불, IoT 시스템 중요성 일깨웠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7 1928 1
2598 [스타트업人] 소상공인 디지털화 도우미, 넥스트페이먼츠 '스마트 상점 PM'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7 163 0
2597 스타트업에게 전하는 기술 유출 예방법과 대응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7 178 0
2596 가정의 달 5월, ‘과대포장’ 넘어 ‘착한 포장’이 뜬다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6 2241 1
뉴스 '나솔사계' 22기 순자, 눈물 나는 ‘워킹맘’ 일상…두 아들 위해 마련한 보금자리 디시트렌드 02.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