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현대차그룹, 'GBC 변경안' 놓고 서울시와 평행선…10년 넘게 속앓이

ㅇㅇ(175.223) 2024.06.18 07:13:57
조회 117 추천 0 댓글 0

"삼성동 부지를 선택한 것은 그만큼 가치가 높은 지역이기 때문이다. 핵심 사업인 자동차 분야에 주력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관심을 가진 많은 투자자를 확보하려고 한다."

지난 2019년 5월 22일 당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현 회장)이 이규성 칼라일 그룹 공동대표와의 대담에서 그룹 신사옥 GBC(현대차그룹 명칭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서울시 명칭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투자 관련 질문에 답한 말이다.

지난 2000년대부터 신사옥 계획을 수립한 현대차그룹은 최근까지 설립에 난관을 마주하고 있다. GBC가 갖는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가 상당한 만큼 관련 기관 입장차가 뚜렷한 모양새다.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은 최근 높이 등을 놓고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17일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 14일 실무진 회의를 열고 GBC 설계 변경안 입장을 주고받았다. 해당 회의는 실무 차원에서 입장을 확인한 자리다. 다만 본격적인 재협상 시작은 아니라는 것이 서울시 측 설명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첫 임기를 시작한 2006년부터 현대차그룹은 신사옥을 만들고자 했다. 그룹 규모에 비해 서울 서초구 양재동 사옥이 비좁아졌기 때문이다. 양재동 사옥 주변 지역을 매입해 복합 자동차 타운을 만드는 안도 추진됐으나, 부지 매입에 실패했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성동구 성수동 뚝섬 인근 삼표레미콘 부지로 눈을 돌렸다. 당시 110층 GBC 건설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박원순 시장 시절인 2013년 계획은 좌초됐다. 초고층 건축 관리 기준상 50층·200m 이상 빌딩을 지을 수 있는 지역에 뚝섬 부지가 빠졌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2014년 9월 한국전력 삼성동 일대 부지 매각 입찰에서 삼성전자와 자웅을 겨룬 끝에 승리를 거머쥐었다. 당시 현대차그룹은 한전이 제시했던 감정가 3조3000억여원 3배에 달하는 10조5500억원으로 응찰해 삼성전자를 제쳤다.

높은 입찰가를 놓고 여러 말이 나왔다. 시민단체 경제개혁연대는 "지나치게 높은 입찰가를 써서 주주에게 손해를 끼쳤다"고 말했다. 단체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를 상대로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청구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2016년 현대차그룹과 사전협상을 진행하고 지상 최대 105층, 용적률 799%를 허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부지를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하기로 했다. 이에 따른 공공기여 금액은 1조7491억원으로 결정됐다.

서울시가 현대차그룹에 특혜를 줬다는 시비도 있었다. 감사원은 2017년 1조9827억원을 환원받을 수 있는데 2336억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대차그룹에 추가 보전받을 방안을 마련하라고 했다. 서울시는 감사 결과를 반영해 계획을 수정하기도 했다.

지난 2020년 5월 착공했지만, 정의선 회장 취임한 그해 10월 기류가 바뀐다. 서울시 인허가 문제로 지지부진하고 공사비가 오르면서 현대차그룹은 층수를 기존 105층에서 55층으로 2개 동을 나누는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2021년에는 GBC 설립에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자 현대차그룹이 GBC 개발사업단을 상대로 특별감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기존 105층 계획을 변경하겠다는 의지라는 해석이 나왔다. 최근까지 공사는 터파기 단계에 머무른 상태다.

결국 현대차그룹은 올해 2월 설계 변경안을 서울시에 냈다. 변경안은 군사작전 제한 고도 이슈도 해결될 전망이다. 하지만 서울시는 공공기여 부담을 덜어줬는데 랜드마크를 포기한다면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다. 특혜 시비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답답했던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20일 55층 2개동 GBC 조감도를 언론에 공개하며 조속한 인허가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GBC 명칭도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center)에서 복합단지 성격을 강화한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complex)로 바꾼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중대한 변경에 해당하는 만큼 추가 협상 없이 계획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기존 명칭을 유지해야 하고 추가 공공기여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향후 추가적인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공학자들은 GBC 기능성과 상징성을 고려할 때 변경이 생긴다면 인센티브 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GBC의 위치를 고려할 때 도시 중심지로서 상징성이 있고, 초고층 건물의 의미를 대가로 용적률 상향이나 용도지역 변경 등 혜택을 받았다는 의견이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GBC는 누구나 생각하듯이 도시 중심지로서 굉장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아울러 실질적인 이동, 유입을 촉발한다. 도시 얼굴로서의 상징도 있지만 경제적 가치도 무시할 수 없다. 주어진 것을 지키지 못하면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자동차 업계에서는 미래 모빌리티 사업에서 ‘융합’은 필수인 만큼 GBC 설립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본다. 현대차그룹은 GBC 타워동을 친환경 기술과 자율주행, 로보틱스, 목적기반차량(PBV), 도심항공교통(UAM) 등 기술이 인프라와 융합된 시설로 건설할 계획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은 융합으로 시너지를 내기 위해 모이는 것이 맞다. 중요한 것은 글로벌 3위 반열에 오른 현대차그룹 위상을 고려할 때 현 사옥은 협소하다. 층고도 효율성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2016년 사전협상에 도시재생본부장으로 참여했던 진희선 전 행정2부시장(현 연세대 도시공학과 특임교수)은 "서울시 입장에서는 사업 내용이 바뀌었으니 규정에 따라 다시 협상을 벌이자는 당연한 이야기로 보인다. 다만 초고층 시대는 지났기에 양측이 원만히 풀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7269453 한국여자는 골반큰애들이 거의 없더라 ㅇㅇ [4] ㅇㅇ(112.161) 06.26 55 2
7269452 한국부자들은 한국스러운환경에서 부자가된거야 외국나가면 새로운환경이야 [2] 부갤러(2.56) 06.26 40 1
7269451 대체 한녀 지원 왜함? [2] 부갤러(106.101) 06.26 47 3
7269450 니다 오늘 확정 10월 0.5 때 ㅋㅋㅋㅋㅋㅋ 야스이 센타치(212.102) 06.26 31 0
7269449 지금 언론 하는 짓거리 보면 진작에 나라 떳어야하는데 부갤러(211.248) 06.26 23 1
7269448 내가 웩슬러 145인데 [2] ㅇㅇ(211.36) 06.26 59 0
7269447 부자 이민 이슈 하니 생각나는게 있네요 금천맨(118.235) 06.26 38 0
7269446 가난한건 벼슬이 아니고 부끄러운거야 ㅋㅋㅋ 부갤러(45.248) 06.26 20 0
7269445 요새 오피에 유부녀스러운애들 존나많아짐 ㅋㅋㅋㅋㅋㅋㅋㅋ [15] 부갤러(223.39) 06.26 2576 85
7269444 나만 결혼잘하면 된다 ㅜㅜ ㅇㅇ(112.161) 06.26 34 2
7269443 코스피 상장사 자진 상장폐지의 이유 ㅂㅈㅁ(211.234) 06.26 41 1
7269442 퐁락이들의 실수 [9] ㅇㅇ(223.33) 06.26 58 0
7269441 출산율 늘어난 이유 부갤러(106.101) 06.26 50 0
7269440 한국여자는 밖에서 돈벌어오라고 저러노 ㅜㅜ ㅇㅇ(112.161) 06.26 29 2
7269439 출산율 늘려서 인구,소비늘어서 물가오르면 책임질건가? ㅇㅇ(211.234) 06.26 20 0
7269438 우리나라는 환율방어 안하는나라임. [16] 퐁퐁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143 0
7269437 왜 출산이 늘었나 했더니 ㅇㅇ(116.121) 06.26 48 3
7269436 일본은 왜 금리 안올리냐 [3] ㅇㅇ(211.235) 06.26 49 0
7269435 누가 집 사지 말라고 칼 들고 협박함? [2] 부갤러(45.248) 06.26 34 0
7269434 아가리 보수들 출산율 반등해냈다고 자축ㅋ 부갤러(106.101) 06.26 36 0
7269433 석렬이 형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후폭풍 감당 가능 ㅂㅈㅁ(211.234) 06.26 37 0
7269432 32세 한남충, 올해 안에 등기칠거다. 반중원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47 0
7269431 이런 법은 한국에도 도입했으면 좋겠노 부갤러(121.143) 06.26 33 0
7269430 한두번도 아니고 국민안전 못지킬거 같으면 하야하는게 맞어 ㅇㅇ(211.234) 06.26 23 1
7269429 이나라는 갈수록 안좋은쪽으로 가냐 ㅜㅜ ㅇㅇ(112.161) 06.26 24 0
7269428 팩트는 서울중급지or중하위권 노도강중랑도 전고점직전임 ㅇㅇ(211.36) 06.26 31 0
7269427 배당 후 조만간 청산하고 한국 탈출하는 기업들 속출 할듯 [2] ㅂㅈㅁ(211.234) 06.26 46 1
7269425 159.925엔 ㅋㅋㅋ [1] ㅇㅇ(211.234) 06.26 36 0
7269424 환율방어는 개씹망한 개좆본이 좆되게 하지 ㅋㅋ 부갤러(45.248) 06.26 40 0
7269423 동작구는 아크로리버하임이 유독 비싸긴하네 부갤러(211.234) 06.26 39 1
7269422 폭락충 자살쇼 가즈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부갤러(45.248) 06.26 34 0
7269421 배딩소득 분리 과세는 한국멸망 ㅂㅈㅁ(211.234) 06.26 32 0
7269420 신정훈 "용산,지금 개식용금지 김건희홍보할 때인가..국민만 불행, ㅇㅇ(211.234) 06.26 29 0
7269419 부모님 명의의 집으로 내가 세대주로 들어갈예정인데 이러면 무주택자 세대주 [2] 부갤러(175.204) 06.26 43 0
7269418 이제 혼인건수는 다문화가정밖에 없다 부갤러(106.101) 06.26 24 0
7269417 국장 오늘 하루에 느그들 월급 몇배 처벌음 ㅋㅋㅋ 부갤러(45.248) 06.26 35 0
7269416 국힘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추진 하는데 [2] ㅂㅈㅁ(211.234) 06.26 53 0
7269415 '尹 탄핵 청원' 20만명 돌파…이성윤 "어서오세요. 기다렸습니다" ㅇㅇ(211.234) 06.26 38 1
7269414 니들 새살 돋는 거 아예 뿌리 뽑는 법 몰랐지?? 빼빠 500방.. 야스이 센타치(212.102) 06.26 38 0
7269413 난 여자키175이상에 글래머 핑유를 원함 ㅜㅜ ㅇㅇ(112.161) 06.26 36 1
7269412 서울 어지간한 상급지들 전고점 향해 달리는중 ㅋㅋㅋ [2] ㅇㅇ(211.235) 06.26 52 0
7269411 외환보유고 털어서 환율 존나게 막고 있네ㅎ [3] 부갤러(203.162) 06.26 65 1
7269410 문재인 vs 박정희 누가 낫냐? ㅇㅇㅇ [1] ㅇㅇ(222.116) 06.26 22 0
7269409 "대한민국 전 분야 총파산"‥'尹 탄핵청원' 법사위 회부 [1] ㅇㅇ(211.234) 06.26 47 1
7269407 이재명은 왜이렇게 인기많냐 [6] 부갤러(118.235) 06.26 54 0
7269406 부산집 4억3000에 팔고 주담대좀 먹이면 서울 어느구 까지 가능? [1] ㅇㅇ(118.235) 06.26 36 0
7269405 천억좌가 말하길 누구나 부자 ㅇㅇ(112.161) 06.26 30 0
7269404 '탄광의 카나리아' 백만장자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 [44] ㅇㅇ(152.44) 06.26 1710 32
7269403 30초반에 gv80 끌면 딸피스럽냐? [1] 부갤러(218.145) 06.26 29 0
7269401 내 여친은 일가에 대해 그냥 건설업 하는 줄 만 안다.. [27] 야스이 센타치(212.102) 06.26 9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