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스타 2024] [인터뷰] '딩컴 투게더' 박문형 대표 "원신 같은 게임 한번 만들어보자"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1.15 09:18:35
조회 113 추천 0 댓글 0
'팰월드'처럼 보였지만 개발진이 언급했던 것은 '동물의 숲'이고, '스타듀밸리'였다. 그런데 가장 인상 깊은 문구는 "원신 같은 게임 한번 만들어보자"는 개발진의 새로운 게임 개발에 대한 의지였다. 

크래프톤의 생존 생활 어드벤처 게임 '딩컴 투게더'의 공식 출시일은 2025년 12월이다. 아직 개발 기간이 많이 남은 상황이라 게임 변화의 여지도 많이 남았다. 그런데도 지스타에 출전해서 시연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콘텐츠가 준비된 상태다. 개발진은 어떤 준비를 했고, 게임이 어떤 식으로 개발될 것인지 원작 딩컴 개발자 제임스 밴든(James Bendon)과 5민랩 대표이자 딩컴 투게더 박문형 총괄 프로듀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봤다. 


원작 딩컴 개발자 제임스 밴든(James Bendon)과 5민랩 대표이자 딩컴 투게더 박문형 총괄 프로듀서


◇ PC 원작 딩컴과 모바일 버전 '딩컴 투게더'는 어떤 게임?

딩컴은 호주의 1인 개발자 제임스 밴든이 2022년 7월에 얼리 액세스로 출시하여 100만의 판매고를 올린 생존 생활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크래프톤 산하 5민랩이 이 게임의 모바일 버전을 선보이는 것은 유명 IP를 확보하여 여기에 운영 노하우를 더해 IP 경쟁력을 강화하는 크래프톤의 '스케일 업더 크리에이티브'라는 전략에서 시작됐다. 

박문형 대표가 강조하는 IP 강화 전략은 ▲새로운 세계관과 ▲새로운 아트워크 ▲새로운 게임 이름이다. 박 대표는 "캐주얼해보지이지만 깊이가 있는 게임"이라고 원작을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볼거리, 놀 거리, 만들 거리가 가득한 섬 개척 생활 시뮬레이션이 캐치프레이즈"라면서 '딩컴 투게더'의 재미를 정의했다. 나만의 페이스로 여유롭게 모험하고, 도감을 채우고, 섬을 꾸미고, 다른 사람 및 동물들과 교감하는 게임이 '딩컴 투게더'다. 


친구들과 함께 하는 낚시도 가능하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닌 친구들과 함게 하는 광산에서 광물 캐기. 이 지역 전체가 광산인 것으로 보인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타조(?)를 길들여서 타고 다닐 수가 있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개발진이 비슷한 장르의 게임 사례로 언급한 동숲이나 스타듀 밸리와 다른 차이점은 호주를 배경으로 해서 친숙하고 신선하다는 점이다. 또 고유의 게임적인 깊이와 즐거움이 있다. 겉으로는 캐주얼해보이지만 깊이가 있다는 것이 차별점이다. 박 대표는 "동숲이나 스타듀밸리처럼 성공한 게임의 틈바구니에서 성공한 게임이다. 바위틈에 자란 야생화"라고 표현했다. 

개발진은 서로 협력을 하면서 생긴 일화도 소개했다. 박 대표는 "딩컴을 플레이할 때와 만들 때가 달랐다"면서 "편안한 게임이 아니고, 그 이상의 오픈월드 서바이벌 게임을 생각한 것 같더라."라면서 원작이 서바이벌 요소가 강조된 게임이라는 점을 어필했다. 이어 "호주를 알기 위해 여러 차례 여행을 했다. 그런데 어떤 장소는 정작 제임스가 가본 적이 없다고 한 적도 있었다(웃음)."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제임스는 개발자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이 강하다. 게임을 혼자서 성공시켰다는 것이 대단하고, 이 모든 것이 이 사람의 생각에서 왔다고 생각하니 더 대단했다."라고 말했다. 

크래프톤이 당컴 IP에 주목한 이유는 혼자 만든 게임이 100만장 이상 팔렸기 때문이다. 실제 개발진은 게임을 즐겁게 플레이했다. 스케일업을 하기 위해 IP를 볼 때 정말 열심히 해보고 결정하는데, 박 대표는 딩컴을 하면서 즐거움과 확정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 PC게임 '딩컴'과 모바일게임 '딩컴 투게더'의 차이는 어떤 것?

딩컴 투게더는 기본적으로 프리 투 플레이 게임이다. 원작과 다른 점이다. 패키지 게임은 나름대로의 강점이 있고, 이용자도 명확하지만 박 대표는 일반 대중으로 게임을 퍼트리기 위해 무료라는 정책을 선택했다. 

호주라는 독특한 배경을 살린 아트 스타일도 눈길을 끈다. 호주의 야생 환경을 배경으로 삼고, 동물, 식물, 광물을 소재로 캐릭터를 디자인했다. 나무늘보를 닮은 졸린 눈의 캐릭터도 있다. 그리고 도형화, 단순화를 통해 귀여움을 주면서도 군데군데 각을 주어 야생의 느낌을 살렸다. 

꾸미는 맛이 잇는 캐릭터 디자인도 '딩컴 투게더'만의 특징이다. 향후 패션 브랜드와 콜라보를 하여 소장 가치가 높은 꾸미기 아이템을 판매할 계획도 있다. 

또 게임에는 미니 엔딩과 퀘스트를 새로 도입하여 초반 목표를 제시한다. 초반 1-2시간은 재미있게 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후에는 동기가 사라져버리는 원작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동숲의 K.K의 공연이나 스타듀밸리의 루아 축제를 연상하면 된다. 

모바일이라 당연히 UI/UX도 변화한다. 게임을 붙잡고 오래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게임 경험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게임 타깃은 폭넓은 연령대와 성별이다. 멀티 플랫폼으로 개발 중이며, 닌텐도 스위치와 같은 콘솔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게임 생활. 멀티플레이 커뮤니티 요소가 강조되어 있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타조를 타고 어디로? 전투?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뭘 하든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것은 재미있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 원작과 가장 큰 차이점은 '멀티플레이'...맵 크기는 동숲의 5~6배

인터뷰 내내 게임사가 강조한 것은 '투게더'라는 이름에서도 보이듯이 멀티 플레이를 강조하고 있다. 원작은 패키지 게임이라 멀티플레이의 어려움이 있다. 이것을 서비스형 게임으로 만들어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더 자연스럽게 문턱 없이 만날 수 있도록 한 것이 딩컴 투게더다. 샌드박스 요소인 나만의 공간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경쟁 없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을 만나고, 다른 사람의 섬에 방문하여 소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소셜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MMORPG는 일반적으로 서버 당 3천명에서 1만 명이 기본이다. 하지만 딩컴 투게더에서는 그보다 훨씬 적은 인원이 고려되고 있다. 사설 서버 개념일 수 있다. 동시 접속자수는 4명에서 8명, 20명 정도의 숫자를 생각하고 있고, 100명을 넘지 않을 전망이다. 

게임의 유료화는 반복 플레이 작업 간 편의 기능이나 시간 단축, 과금 전용 꾸밈 요소가 될 예정이다. 오랜 시간 플레를 해야 얻을 수 있도록 원작의 얇은 콘텐츠 양과 수집의 깊이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전투를 위한 장비 수집이나 야생 동물 길들이기와 같은 반복 플레이 요소를 새로 도입한다. 

박 대표는 이 게임을 통해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이 '멀티플레이'라고 한다. 더 깊게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것을 많이 만들 예정이다.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소셜 활동이 더 오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고, 오랫동안 가지고 놀 수 있는 게임이 되도록 하고 싶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원작인 딩컴의 게임 맵은 상당히 넓다. 동숲의 20~30배 정도 된다. 딩컴 투게더는 그보다 작게 만든다. 원작의 1/4 정도, 동숲의 5~6배 정도 공간이다. 더 확장하는 즐거움은 섬으로 풀 에정이라 충분한 공간이 될 것이라는 것이 박 대표의  생각이다. 


동물의 숲 5~6배의 맵 크기를 자랑한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수상스키를 탈 수도 있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나비들과 함께 하는 여행.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 딩컴 투게더의 미래...어떤 콘텐츠가 추가되나? 자유로운 거래도 가능할까?

딩컴에 배그와 같은 크래프톤 IP의 접목도 예상해볼 수 있다. 박 대표는 그렇게 되기를 희망한다. 바로 결정할 수는 없다고 답했다. 

생존형 게이이고, 멀티플레이 게임인데, 스토리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까? 박 대표는 "어떤 종류의 게임 IP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스토리나 내러티브가 중요하다. 이용자가 이야기의 주인공인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게임에는 최근 유행중인 AI기술도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통번역 같은 경우에도 사용을 할 에정이고, 이외에도 사운드 효과, 주민들이 등장하여 내러티브나 퀘스트를 할 때 AI를 활용할 것이라고. 

이용자들이 걱정하는 것은 생활 시뮬레이션의 경우 후반부로 갈수록 소모되지 않고 쌓이게 되는 재화다. 결국 무한 반복 플레이 모드에 돌입하게 되는데, 개발진도 이 부분에 주목하고 있다. 그렇다고 타이트하게 가려면 게임에 샌드박스 적인 재미를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결한 것이 어떤 재화는 쌓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게임의 시즌 화를 통해서 업데이트를 통해 꾸준히 수집할 수 있는 요소를 넣을 예정이다. 딩컴 투게더는 샌드박스 핵심이지만 다면적인 게임이다. 성장요소가 있어 RPG 같기도 하고, 샌드박스 게임이기도 하고, 멀티플레이어 게임이라고 느낄 수 있다. 조금 더 내다본다면 슈퍼마리오 메이커와 같이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다른 친구들이 즐길 수 있도록 발전시킬 예정이다. 

게임이 수집 요소가 있다 보니 인터뷰에서는 자유로운 거래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하지만 이 부분은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박 대표는 "거래 요소가 서비스 형 게임에서는 문제가 많이 된다."면서 "거래는 고민이 있다. 딩컴 투게더는 샌드박스 적인 즐거움이 필요하다. 거래를 하는 순간 즐거움이 망가진다. 5년 플레이한 사람 자원이 많고, 초보자는 조금이다. 따라서 일부 제약이 필요하다고 본다. 길드 성 공간에서는 재화를 투입해서 공동 제작하는 것도 생각 중이다"라고 말해 자유로운 거래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 딩컴 투게더 출시일과 목표 성과 & 게임 사양은?


딩컴 투게더의 알려진 출시일은 2025년 12월이지만 박 대표는 최대한 빨리 내고 싶다면서도 출시 시점은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매출이나 성과에 대해서는 "이런 장르를 대중적으로 제공하는 선구자가 되고 싶다.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포부가 크다. 원신 같은 거 해보고 싶다고 생각한다."면서 딩컴 투게더가 원신과 같은 성공적인 타이틀로 성장하기를 희망했다.  

최소 사양은 베트남,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의 이용자들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샌드박스 게임 요소가 있다 보니 사양 최적화가 쉽지 않지만 낮은 사양의 경우 그래픽은 허술해도 샌드박스 요소를 즐길 수 있도록 했고, 고사양 폰이라면 하이퀄리티도 가능하게 했다. 


환 공포가 올 것 같이 많은 수의 삐약이와 엄마들이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수상스키를 타고 가다가 입수 준비를 하는 캐릭터.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수영이다. 딩컴 투게더 /크래프톤


◇ 지스타 시연 버전은 어떤 게임?...시연 시간은? 

지스타에서 시연할 콘텐츠는 대부분의 생활 콘텐츠가 가능한 것들이다. 플레이타임은 30분 정도이며, 개발진이 준비한 콘텐츠는 2~3시간 분량이다. 숨겨진 요소도 준비해 놨다고. 

지스타 시연 버전에서는 모든 종류의 생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박 대표는 "본인이 좋아하는 즐거운 것을 마음껏 해봤으면 좋겠다. 대부분의 이용자가 가지 못하겠지만, 공항을 지어 섬을 갈 수도 있다. 그런 요소까지 즐기면 좋겠다"고 했다. 

박 대표는 마지막으로 "지스타에 와서 딩컴 투게더를 재미있게 즐기고 관심 있게 봐 달라. 원작도 재미있게 플레이 하면서 원작이 이렇게 재미있는 게임이구나라고 알아봐 줬으면 좋겠다."면서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 [지스타/크래프톤] K-팰월드 될까? 딩컴 투게더(Dinkum Together)▶ [지스타 2024] 인조이 최대 3시간 대기...크래프톤 부스 인기 폭발▶ [지스타] 동숲보다 재미있을까? 귀여움 치사량 '딩컴 모바일' 직접 해보니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9736 '블소2' 중국 시장 진출...엔씨, 텐센트와 맞손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53 1
9735 '8주년 축제'...배틀그라운드, 삼뚝이와 함께 즐기는 파티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62 0
9734 [금주의 게임 순위] '배틀그라운드', 스팀 출시 8주년 업데이트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38 0
9733 스팀 이용자의 50%는 중국….중국 이용자 영향력 점점 커지나 [2]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280 0
9732 이정후, 컴투스 'MLB 라이벌' 홍보 모델로 발탁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29 0
9731 단톡방 18만자 분석...'마비노기 모바일' 우려와 기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77 0
9730 [기고] 오리지널 게임: 앱매직으로 ARPDAU +13% 달성하기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699 1
9729 '포켓몬 고 페스트 2025' 열리는 3개 나라는 어디?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73 0
9728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규모 업데이트와 레이스 이벤트로 쾌속 질주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49 0
9727 펄어비스와 스마일게이트가 함께 하는 부산 'BIC' 열린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26 0
9726 스코플리, '포켓몬 고'의 나이언틱 인수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37 0
9725 '귀혼M', 신규 직업 '군사' 선보이며 활력 UP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29 0
9724 방주에 따스한 봄이 찾아왔다...'니케', 신규 캐릭터 '트리나' 공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23 0
9723 텐센트 vs 크래프톤의 대화형 AI의 게임 혁명, 누가 앞설까?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19 0
9722 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공식 기본 전투 가이드 나왔다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243 0
9721 블로믹스, 20살 '테일즈런너' 상반기 4차례 변신 예고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21 0
9720 [프리뷰] "비행 가능" 넷마블에 의해 부활하는 미래형 MMORPG 'RF 온라인 넥스트' [5]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2383 1
9719 [기자수첩] 이제 겨우 3월인데…올해 대작 게임 경쟁 벌써부터 아찔하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18 0
9718 제2의 김연아, 아니면 마오(?) 육성 게임 나왔다 [21/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3185 6
9717 "높음 사양은 RTX 4080"...크래프톤, '인조이' 옵션에 따른 PC 사양 공개 [1/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261 0
9716 [기획] 2월의 게임 뉴스 TOP 5 "몬스터 헌터 와일즈 출시" [2/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994 2
9715 "노력하는 모습 좋아" 레전드 오브 이미르 2차 발할라 라이브 요약 [1/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95 0
9714 검은사막 '하드코어 서버' 프리시즌 시작...신학기 의상 '봄바람' 선보여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35 0
9713 엔씨소프트 '블소 NEO' 일본·대만 시장 출격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37 0
9712 넷마블, 국내외 만화 IP 게임 2종에 신규 콘텐츠 추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35 0
9711 다시 부는 모바일 바람...엔씨, 강력한 IP 콘텐츠 보강 '눈길'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200 0
9710 최초의 도전이 가득했던 게임…데브캣 스튜디오 '나크'가 말하는 '마비노기'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32 0
9709 '발할라 서바이벌'에 화이트데이가 찾아왔어요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33 0
9708 '카잔' 출시 D-17...개발 완료, 이제는 세상 밖으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43 0
9707 포켓몬GO 말고도 있다...활발한 소식 전하는 나이언틱 게임 2종 [4]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5256 0
9706 그라비티, 라그나로크M· 주년 이벤트 진행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19 0
9705 3일 빠른 플레이 '카잔', 7만 7천원...골드행 발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10 0
9704 NHN, 넷마블 정보보호 '굿'...카겜은 ESG 평가 'AAA'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88 0
9703 플레이위드 로한2 들고 '대홍마' 공략 나선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43 0
9702 이번엔 '동양풍'...'버섯커 키우기' 이어 '갓깨비 키우기' 나온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856 0
9701 협동ㆍ경쟁 게임 플레이 데이터 API 솔루션 나왔다 [2]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343 0
9700 글로벌 20년 경력 윤승환, 버추어스 한국 대표 맡는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84 0
9699 전통과 현대의 재미를 느낀다...팡스카이, '삼국지 RED' 사전등록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100 0
9698 블리즈컨 돌아온다...2026 美 캘리포니아서 개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96 1
9697 [기획] 낭만과 모험의 시작, 마비노기 모바일 미리보기 [19]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4755 6
9696 마이크로소프트, 올해 연말에 엑스박스 휴대용 게임기 출시한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90 0
9695 쿠팡플레이에서 HBO 콘텐츠 독점 제공…'왕좌의 게임', '라스트 오브 어스' 등 제공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92 0
9694 오디션이 다 했다...티쓰리-한빛소프트 실적 발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81 0
9693 스마일게이트 아우터플레인 신캐가 보여줄 '입체적 성격'이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56 0
9692 콘텐츠 보강 시즌...넥슨 모바일게임 2종 소식 종합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29 0
9691 글로벌 사업 나서는 NC AI...'MWC 2025'서 생성 AI 기술력 입증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12 0
9690 스마일게이트 '퓨처비 챌린지', 세계 3대 디자인상서 본상 수상 쾌거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12 0
9689 로스트소드 '성공한 오덕 게임' 반열..150억 매출 비결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26 0
9688 협동 게임 '스플릿 픽션' 2일만에 100만장…'잇 테이크 투' 능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121 0
9687 지스타 2025(G-STAR 2025), 벌써 참가 접수...주목작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91 0
뉴스 판타지 보이즈, 日 팬콘서트에 BAE173 특별 손님 초대 디시트렌드 05.0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