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2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22 16:02:42
조회 67 추천 0 댓글 0
해당 기사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1부'와 이어집니다.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리니지의 영향력은 엄청났다.

당시 한국 사회에서 게임에 대한 인식은 오락실, 게임기에 국한되어 "아이들이나 하는 것"이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정도였고, 실제로 10~2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 게임을 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하지만, PC방의 보급과 함께 대중 앞에 등장한 '리니지'는 마음이 맞는 사람들끼리의 동맹, 일상생활과 다름없는 그들만의 계급과 규칙이 자연스럽게 생겨나 하나의 사회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곧 중장년층에게도 그 영향력을 미쳤다.

실제로 리니지의 사용층은 10대부터 40대까지 다양했다. 특히, 게임의 플레이 방식을 배워야 하는 '스타크래트'와 달리 비교적 단순한 시스템을 지녔던 '리니지'는 30~40대층의 참여가 활발해져 퇴근 후 PC방에서 함께 게임을 즐기거나 주말에 직접 혈맹원들과 만나 오프라인 모임을 갖는 등 이전까지와는 다른 게임 풍토를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게임이라는 단어가 생소한 이들에게 수백 명의 실제 사람들이 각기 다른 행동을 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온라인 세상을 선보임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 것이다.

이러한 당시 리니지의 열풍을 짐작게 하는 에피소드가 몇 개 있는데, 2001년 '리니지'의 회원이었던 한 산모가 인천병원에서 생명이 위태로운 사건이 벌어졌다. 산모가 희귀 혈액형인 RH-O형을 지녀 수혈이 원활하지 않았던 탓이었다.

이에 엔씨소프트는 게임 내에 'RH-O형을 구한다'라는 문구를 게임 내에 올렸고, 이를 본 이용자가 직접 병원으로 달려가 수혈을 진행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해내기도 했다.

이에 엔씨소프트는 수혈에 나선 회원에게 1년 무료 이용권과 감사패, 그리고 리니지 역사상 단 한 자루만 존재하는 특별 아이템 '생명의 검'을 선물하는 등 이 사례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듯 '리니지'의 영향력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도 불러왔다. 바로 실제 사회에서 벌어질 법한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리니지의 서비스 초반에는 수많은 사건이 벌어졌는데, 조직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엔씨 본사에 찾아와 직원들을 위협하기도 했고, 한 단체에서 리니지의 지역 총판권을 내놓으라며 사무실을 점거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서버를 강탈하려는 시도까지 이어지는 등 각종 범죄에 휘말렸다.

이는 '리니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자 게임 아이템이 돈이 된다는 사실 때문에 개발사를 찾아온 것이었다. 관련 법률이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게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낮은 상황에서 온라인의 재화 가치가 높아지자 벌어진 일이었다.



실제로 '리니지'는 지난 2002년 10월 '영상물등급위원회'(현 게임물관리위원회)를 통해 18세 성인 등급을 받은 적이 있었다. 'PK'(이용자 간의 대결)이 과도하게 폭력적이고, 각종 사회문제를 야기 시킨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에 대한 후폭풍은 컸다. 게임 내 'PK'에 대한 사회 장년층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게임 세상의 다양한 플레이 방식도 존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영상물등급위원회'의 결정은 엄청난 논란을 불러왔다. 결국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개월 뒤인 11월 리니지의 최종 등급을 'PvP 버전'은 15세, 'Non PvP 버전'은 12세 판정을 내리면서 일단락 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고객 대응에 관한 기준점을 잡은 게임도 리니지였다. 2000년대 초 엔씨소프트 본사에는 지속해서 다양한 형태의 민원 객들이 찾아왔고 때로는 과격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엔씨소프트는 사옥을 이전하고, 별도의 상담실 설치와 함께 철창 등의 안전장치를 만들어 직원을 보호하게 된다.

이는 현재 온라인게임 회사의 고객 상담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남았다. 더욱이 게임의 업데이트로 인한 경제 시스템의 변화가 게임을 넘어 현실 세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 이후에는 이를 대처하기 위한 별도의 부서와 운영팀을 개설하고, 개인보호 정책과 같은 약정이 생기는 등 이후 등장하는 온라인게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온라인게임 시장이 다방면으로 성숙해 짐과 동시에 '리니지'는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내실을 다져 나갔고, 2003년 신규 직업 '다크엘프'가 등장한 시즌2 업데이트 ‘엇갈린 증오’를 기점으로, 큰 폭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사실 1세대 온라인게임인 ‘리니지’는 엄청난 플레이 시간과 1레벨부터 PK를 진행할 수 있는 등 지금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PK의 자유도가 높았던 게임이었다. 실제로 서비스 이후 5년이 지난 2003년 12월에 게임 내 최초 70레벨 이용자가 등장했을 정도로 레벨업이 힘든 게임이기도 했다.

이에 엔씨는 시즌2 업데이트를 통해 '지하 침공로'를 등장시키며, 기존의 맵 대부분을 변경했고, 핵심 콘텐츠라 할 수 있는 ‘공성전’에 NPC 세력을 추가함으로써 삼자 구도로 변화시키는 등의 적극적인 변화에 나섰다.

특히, 이 시즌2 업데이트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에피소드 6'으로 나뉘어 무려 4년간 진행됐는데, 직업별 신규 스킬과 맵, 용병 시스템의 리뉴얼이 진행되는 등 사실상 지금의 '리니지'의 틀을 잡은 업데이트로 평가된다.



이렇듯 업데이트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된 이유는 기존 온라인게임과 다른 엔씨소프트의 행보 때문이었다. 엔씨는 섣부른 콘텐츠 업데이트로, 기존 아이템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이용자 간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점진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또한, 업데이트 하나하나마다 대규모 콘텐츠를 포함해 이용자들이 새로운 요소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 정체된 업데이트로 콘텐츠가 빠르게 고갈되던 기존 온라인게임의 모습과는 확실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20년이 넘는 ‘리니지’의 역사에서 대규모 콘텐츠가 추가되는 시즌 업데이트는 단 4회에 불과할 정도지만, 세부 업데이트는 끊임없이 진행되어왔다.



기존 아이템의 가치를 떨어트리지 않는 큰 틀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엔씨의 정책은 이용자들에게도 신뢰로 다가와 "‘리니지’는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을 주기 충분했으며, 이는 곧 ‘리니지’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결과로 다가왔다.

이는 단순히 "돈이 되니까 하는 게임"으로 치부하기에는 내부 시스템을 정확히 파악하고, 게임 내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는 엔씨의 노하우가 담겨 있는 운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해당 기사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3부'와 이어집니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과금 개편한 '리니지W', 근본의 재미로 글로벌 시장 도전▶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1부▶ IP가 힘이다. 미래를 자신하는 국내 IP 부자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1480 위메이드, 해외 게임사 레드폭스게임즈와 온보딩 MOU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40 0
1479 한국 이용자 위한 보상 추가! '천애명월도M' 홈페이지 리뉴얼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8 0
1478 스팀 PC방, '호라이즌 제로 던' 및 신규 게임 3종 입점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90 0
1477 서버 이슈 극복한 '언디셈버' 정식 서비스 첫발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70 0
1476 에픽게임즈 스토어, '갓오브워' 등 2022년 PC 기대작 사전구매 제공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4 0
1475 유엘유게임즈 방치형 RPG '미니용사 키우기', 14일부터 CBT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46 0
1474 액션스퀘어, '삼국블레이드' 상반기 로드맵과 5주년 기념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6 0
1473 2022년의 첫 핵앤슬래시 게임 '언디셈버'는 어떤 게임일까? [1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525 1
1472 하정우와 함께하는 '그랑사가', 1년 전 '연극의 왕' 떠올라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00 1
1471 에픽게임즈, 더 쉽고 강력한 시각화 위한 '트윈모션 2022.1'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77 1
1470 겜心 노리는 대선 주자들. 게임 관련 공약 대결 치열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52 1
1469 플레이댑, 공게임즈와 스포츠 기반 멀티호밍 게임 개발 협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47 1
1468 넥슨, 신작 액션 게임 ‘커츠펠’ 사전등록 실시 [4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2409 6
1467 드래곤네스트, 새해맞이 업데이트 및 이벤트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66 1
1466 ‘트라하 인피니티’, 온라인 쇼케이스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86 1
1465 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편의성 개선 업데이트 및 200일 맞이 이벤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4 1
1464 이브이알스튜디오, 210억 원 규모 프리 IPO 투자 유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38 1
1463 넥슨의 유소년 축구 후원 프로젝트 ‘Ground N’ 시동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51 0
1462 무료 전환한 '배틀그라운드', 첫날 동시접속자 2배 증가 [2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3554 5
1461 던전앤파이터, ‘남거너’ 다섯 번째 전직 ‘어썰트’ 업데이트 [2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2009 6
1460 넷마블, 다양한 신작으로 시장 공습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85 0
1459 등급 분류 불만 쏟아진다. 고민 깊어지는 게임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13 0
1458 엔픽셀, 블록체인 프로젝트 '그랑버스' 브랜드 페이지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76 1
1457 위믹스 플랫폼 신작 '라이즈 오브 스타즈' 글로벌 사전 예약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53 0
1456 [인터뷰] 출격 앞둔 PC용 '몬스터헌터 라이즈'와 확장 콘텐츠 '선브레이크'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918 2
1455 모두를 위한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무료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80 1
1454 넥슨, ‘피온4 eK리그 챔피언십’ 클럽 디비전 프리시즌 본선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43 1
1453 ‘라테일’, 신규 서브 클래스 ‘레이니아’ 티저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70 0
1452 ‘카러플’, ‘팩토리’ 시즌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45 0
1451 라인게임즈, ‘언디셈버’ 사전 다운로드 시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52 0
1450 쿡앱스, 2021년 매출 529억 영업이익 173억. 역대 최대 실적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9 0
1449 카카오게임즈 '그랜드체이스', 신규 영웅 '라그나' 추가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763 4
1448 선데이토즈, '애니팡4' 신규 장애물 '디스코 플로어'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2 0
1447 넷마블에프앤씨, 블록체인 게임사 '아이텀게임즈' 인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1 0
1446 블루 아카이브, ‘혁명의 이반 쿠팔라’ 이벤트 스토리 업데이트 [1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609 11
1445 ‘메이플스토리’ ‘게임 테크’ 직군 대규모 채용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75 1
1444 웹젠 캐릭터로 만든 '웹젠 프렌즈' 상품 무신사에 등장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08 1
1443 논란의 NFT, P2E. 왜 찬성하고, 왜 반대하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99 2
1442 매출 상위권에 게임 4개 포진.. 엔씨 걱정은 하는 게 아니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67 0
1441 확 달라진 LCK 스프링, 오는 12일 유관중으로 개막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216 2
1440 유엘유게임즈, 성장이 2배 빠른 MMORPG '2X', 사전예약 시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57 0
1439 컴투스홀딩스 신작, '포커 타워 디펜스' 글로벌 출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75 0
1438 컴투스 그룹, 블록체인·메타버스 분야 경력직 특별 채용..'업계 최고 연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7 0
1437 테이크투, 징가 인수에 127억 달러 투자. 게임 업계 역대 최고 규모 갱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5 0
1436 아이언소스, ‘탭조이’ 인수 최종 완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5 0
1435 텐센트게임즈 '백야극광',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과 콜라보 [2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2390 11
1434 나다디지탈, NFT 게임 '슬라임월드' 글로벌 사전예약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56 0
1433 카카오게임즈, ‘디지털 서포터즈’ 사회공헌 활동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43 0
1432 핵앤슬래시부터 MOBA까지 국산 PC게임 기대작 정보 '속속'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66 0
1431 연초부터 사회 공헌 러시.. 게임사 따스한 손길 이어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30 0
뉴스 지수X박정민 주연 '뉴토피아', 오늘(31일) OST 앨범 음반 예약 판매 시작!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