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때 IT 강국이었는데 어쩌다 이 지경"

ㅇㅇ(110.8) 2025.02.02 23:18:36
조회 236 추천 0 댓글 0










매일경제

“한때 IT 강국이었는데 어쩌다 이 지경"

AI 약소국으로 전락한 한국, 왜


김규식, 김태성 기자


AI 혁명 이끌 리더십 없고

실패 두려워 기업 투자꺼려

6개월간 투자 2700억 그쳐

혁신 이끌 스타트업 못나와

신산업 있어야 투자 느는데

해외AI 가져다 쓰기 바빠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미지 = ChatGPT]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미지 = ChatGPT]

한국 산업의 변곡점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등장한다. 손 회장은 1998년 방한해 김대중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첫째도 브로드밴드(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둘째도 브로드밴드, 셋째도 브로드밴드”라고 조언했다. 당시 김 대통령은 손 회장 조언을 받아들였고 한국은 단기간에 정보기술(IT) 강국으로 거듭났다.


21년 후 2019년, 손 회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한국은 미국·중국에 비해 인공지능(AI) 대응이 늦었다”며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라고 했다. 하지만 한국은 21년 전과 달랐다. 이렇다 할 대응도 투자도 없었다. 이는 결과의 차이로 이어졌다. IT 강국 한국은 AI 지각생 처지가 됐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한국의 AI 투자는 미국의 30분의 1, AI 연구자 수는 중국의 20분의 1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컨트롤타워 역할 △민간 기업의 과감한 투자 △한 박자 빠른 인프라 확충 △활발한 창업 생태계 △민간 투자를 이끈 선도 산업 등 IT 강국을 있게 했던 성공 DNA가 실종됐다고 지적했다.


외환위기 당시 IT 컨트롤타워는 정보통신부였다. 김대중 정부는 기업인 출신을 장관으로 기용했다. 첫 장관으로 배순훈 전 대우전자 회장이 낙점됐다. 뒤이어 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장관이 배턴을 이어받았다. 남궁석·이상철 장관 또한 기업인 출신이었다.


현장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이 IT 컨트롤타워를 맡으며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빨리 IT 산업을 일으킬 수 있었다. 200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집계에서 국가별 인구 100명당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은 한국이 17.2명으로 1위였다. 미국은 4.5명으로 4위, 일본은 2.2명으로 11위였다. 한국전산원이 2004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1995~2003년 149조5000억원 규모에 이르는 통신장비 및 서비스 시장이 열렸고 이를 통해 일자리 23만개가 창출됐다.

                             AI 관련 이미지. [사진 = 픽사베이]
                      AI 관련 이미지. [사진 = 픽사베이]

지금은 당시와 딴판이다. 2022년 11월 챗GPT가 등장하면서 전 세계가 AI 전환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한국은 지난해 9월에서야 국가AI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그마저도 정치 혼란으로 개점휴업 상태다. IT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기업을 방해하지만 않아도 다행이라는 인식이 파다하다”고 말했다.


김대중 정부는 직전 김영삼 정부가 수립한 초고속 광통신망 구축 계획을 이어받아 외환위기 와중에도 흔들림 없이 투자를 진행했다. 그 결과 민간 투자가 촉진돼 초고속 통신망 구축에 투입된 20조4320억원 중 3.4%만 정부 투자였고 나머지는 민간 기업이 담당했다.


지금은 정치적 불확실성 탓에 기업이 투자를 꺼리고 있다. NIA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AI 투자는 1419억달러였는데, 미국이 874억2000만달러인 반면 한국은 30억달러가 안 된다. 중소벤처기업부 집계 결과 지난해 상반기 한국 전체 AI 벤처 투자가 2700억원이었는데, 엔비디아 한 곳의 지난해 인수·합병(M&A)을 포함한 스타트업 투자 금액은 10억달러(약 1조4700억원)에 달했다.

                                                                              ㅇ

한국은 AI 인프라스트럭처도 취약하다.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갖춰 AI를 최적화해 구동할 수 있는 AI 데이터센터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 한 해 800억달러(약 116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빅테크들은 매년 수백조 원을 쏟아붓고 있다. 한국도 광주에 국가 AI 데이터센터가 있지만 미래 수요에 대비해 역부족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최근 “AI 인프라 확보 시기를 2030년에서 2026년으로 앞당겨야 한다”고 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점유율 60.2%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IT 혁명 당시 대규모 자금이 벤처기업으로 흘러들어가 혁신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했지만, 지금은 경기 침체로 스타트업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벤처 열풍이 한창이던 2000년 신규 벤처 투자액은 연간 2조211억원에 이르렀고, 벤처기업 수는 8798개로 전년(4934개) 대비 78% 급증했다. 하지만 현재 자금 파이프라인 역할을 하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투자 규모는 2023년 1조1676억원에서 지난해 9996억원으로 줄었다. M&A도 2022년 81건(2조2894억원)에서 2023년 39건(4501억원), 2024년 32건(2231억원)으로 매년 급감했다.


민간 투자를 이끌 선도 산업 환경도 달랐다. IT 혁명 당시에는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PC 보급이 빠르게 진행됐고, 1999년 연간 1915억원이었던 온라인 게임 시장 규모는 매년 1.5~2배씩 커져 2003년 7541억원까지 성장했다. 당시 게임 산업에서 성장한 기업들이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NHN 등이다. 반면 지금의 AI 트랜지션은 신산업이라고 할 만한 사업이 눈에 띄지 않아 민간 투자도 부진하다. 기업들이 외국산 거대언어모델(LLM)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 전부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공지 기타 국내 드라마 갤러리 이용 안내 [555] 운영자 21.02.04 333872 202
19116915 3자 가상대결 여론조사...이재명 45.9%, 한덕수 27.2%, 이준석 [1] ㅇㅇ(211.176) 12:15 5 0
19116914 국짐 대선 토론보니 홍준표가 제일 정상 같던데 ㅇㅇ(121.189) 12:15 3 0
19116913 바니 후속작은 바니 완망해서 청률 영향 받을듯 ㅇㅇ(211.234) 12:14 11 0
19116912 나이트클럽에서 우연히 만났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4 9 0
19116911 인스타가 3000만명이면뭘해 김혜윤한테 발리는데 ㅇㅇ(211.224) 12:14 25 0
19116910 흥드중에 화제성 1위못한게있음? 굿파트너도 잘만했는데 ㅇㅇ(223.39) 12:14 48 0
19116909 보물섬이 망더커버 알바들한테 귀궁이 고윤정바이럴에게 맞듯 처맞았는데 [1] ㅇㅇ(211.55) 12:14 7 0
19116908 이재명은 모든 정치 노선이 정확히 이명박과 겹침 긷갤러(1.224) 12:13 8 0
19116907 국힘 투표 이름 순서가 가나다도 아니고 ㅇㅇ(223.38) 12:13 23 0
19116906 어제 나혼산 재방이 2퍼 넘었는데 ㅇㅇ(211.234) 12:13 23 0
19116905 전국민 신분증 해킹하여 중국인이 투표하는것 막아야 [1] 김/녹/즙(106.101) 12:13 15 0
19116904 인기상은 메크로 다 걸렀나 조용하네 [1] ㅇㅇ(223.39) 12:13 32 0
19116903 안철수가 조국 정치쪽 불러온거였냐 [2] ㅇㅇ(117.111) 12:12 19 0
19116902 넷플릭스가 사랑하는 배우들 [24] ㅇㅇ(118.235) 12:12 755 0
19116901 귀궁이 넷플순위만 안나오면 다행이지 다른지표도 좇망임 ㅇㅇ(223.39) 12:12 75 0
19116900 성유리는 배신감 드네 [1] sweets2025(118.219) 12:11 55 0
19116899 넷플 넴드 필요없다면서 왜 박지훈은 사극에서 [3] ㅇㅇ(211.36) 12:11 62 0
19116898 긷줌들이 젤 싫어하는 여자스타일 탑3 ㅇㅇ(124.58) 12:11 38 0
19116897 정신병자들 집단 아니고서야 내란수괴 국민의힘 내란수괴들 누가 뽑아 [1] ㅇㅇ(211.176) 12:11 6 0
19116896 티벤은 서초동부턴 살아나겠지 소재가 청률 나옴 [3] ㅇㅇ(211.235) 12:11 54 0
19116895 이재명의 명언 "독일에는 유명한 메이커가 없다 "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1 16 0
19116894 약영이 돌빠라 그런가 뎡배 달리는 화력 세긴하다 [4] ㅇㅇ(211.234) 12:10 43 0
19116893 3년동안 대한민국 망친 무당정권 적폐들 윤석열 김건희 한동훈 이상민 [2] ㅇㅇ(211.176) 12:10 11 0
19116892 귀궁 넷플순위 갱신되기전에 고윤정바이럴 필사적이다 [5] ㅇㅇ(211.55) 12:10 38 0
19116891 어제 옛날우동을 시켜먹었는데 오랜만에 먹어서 그런가 또시켜먹고 싶다 ㅇㅇ(223.39) 12:09 16 0
19116890 한뚜껑 김건희 특검 윤석열 내란수괴 특검 반대 [2] ㅇㅇ(211.176) 12:09 9 0
19116889 극강의 재미를 위해선 한동훈 vs 찢 가야한다 [3] ㅇㅇ(106.102) 12:09 16 0
19116888 선과 악이 얼굴에 같이 있는 배우 좋아하는데 [1] ㅇㅇ(119.70) 12:09 38 0
19116887 이재명이 대통령 되어서 대한민국 정상화 [2] ㅇㅇ(211.176) 12:08 14 0
19116886 한동훈은 무능한데 자신을 과대포장하며 홍보 [1] ㅇㅇ(211.235) 12:08 25 0
19116885 귀궁 넷플순위 처참하네 ㄹㅇ [1] ㅇㅇ(223.39) 12:08 112 0
19116883 날 닮은 너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8 15 0
19116882 한동훈이 이제와서 이준석처럼 쫓격난척 피코하네 [2] ㅇㅇ(211.235) 12:08 34 0
19116881 역시 에스파는 윈터가 이쁘다 [4] ㅇㅇ(124.58) 12:07 54 0
19116879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0% ㅇㅇ(211.176) 12:07 23 0
19116878 반고닉 고닉들 빨리 부기 줄 서셈 ㄱㄱㄱㄱ ㅇㅇ(182.229) 12:07 11 0
19116877 기괴한 내란수괴 무당정권 사이비 무당정권 토착왜구 새끼들 [2] ㅇㅇ(211.176) 12:07 11 0
19116876 한동훈은 정치개혁하려다가 쫓겨났다고 개혁보수인척 ㅇㅇ(211.235) 12:06 21 0
19116875 한동훈 지지하려고 했다가 토론+snl 보고 접음 [24] ㅇㅇ(118.235) 12:06 97 2
19116874 서인국은 어쩌다 지수드 2롤 하냐 [1] ㅇㅇ(118.235) 12:06 67 0
19116873 내란수괴들 내란의힘 정당해산 부터 ㅇㅇ(211.176) 12:06 8 0
19116872 이나은 코 너무 긴거아니냐? [1] ㅇㅇ(211.234) 12:06 105 0
19116870 귀궁빠는 병신들 웃겼던점 넷플 1위 하루했을때 신나서 [1] ㅇㅇ(223.39) 12:06 114 0
19116869 이거 장원영 화장전후라는데 맞아?ㄷㄷ [4] ㅇㅇ(211.235) 12:06 138 0
19116868 보나 코 너무 미인이다 [1] ㅇㅇ(211.234) 12:06 22 0
19116867 줌들 설탕 안굳게 [1] ㅇㅇ(211.235) 12:05 39 0
19116866 빈대걸 빈대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25 0
19116865 최근 방송사별 드라마 청률 이래도 자리빨이 아니냐? [3] ㅇㅇ(223.39) 12:04 105 0
19116864 고윤정은 실제로 아저씨 페티시 있는거아냐? [4] 긷갤러(106.102) 12:04 70 0
뉴스 “입구서 저 찾아도 없어요”…신지, 초상권 무단 사용에 일침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