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난이도 개높은 미국의 탄핵 ㅇㅇ
- 어제 봉은사 갔다오면서 찍은 사진들 Maztarm
- 싱글벙글 최근 세계적인 억만장자들이 잃은 돈 코닭
- 3년전 탄생한 일일 생활권, 새로운 활로를 찾은 중국.jpg ㅇㅇ
- 일본도 관세 타협없다 끝까지간다+ 닛케이 서킷 ㅇㅇ
- 첫 딸 영상 편지 보고 우는 개그맨 김대희 ㅇㅇ
- 버튜버가 받는 악플의 15가지 유형 ㅇㅇ
- 트위터에서 핫한 부모님 가게 홍보 근황. ㅇㅇ
- 일본 사람들이 생각하는 한국의 패션 ㅇㅇ
- 산불 때마다 '헬기 부족', 총 몇 대길래?.jpg ㅇㅇ
- 막판까지 수정을 거듭한 헌재 결정문, 자세히 설명한 민주주의 원리.jpg ㅇㅇ
- 미에현 이세시 여행기 후카사와
- 공무원 역전세계......경찰 파면시킨 딸배헌터.......jpg pondic
- 상위 5%만을 꿈꾸며 루저를 양산하는 사회... 가우스
- 4월 7일 시황 우졍잉
나스닥: 서브프라임 / 2018년 / 코로나 / 2022년 / 현재
2022년 20% 이상의 원웨이 하락이 있었으면 반등을 줬었다 2022년에도 6주만에 20% 넘게 빠진 건 두번이나 있었으니 이번 하락이 딱히 이례적인 건 아니라 볼 수 있다이때처럼 간다면 남은 4월은 평화롭게 흘러갈 가능성이 높겠다 2020년(코로나)이때는 지금보다 더 가파르게 하락했다특수한 상황이었지만 이때처럼 흘러간다면 지금보다 10%p 더 하락 할 수 있겠다2018년내 기억으론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고 금리 인상 문제가 겹치면서 발생한 하락이다총 하락 규모는 지금과 비슷하지만 지금이 훨씬 단기간에 하락하였고 중간에 반등도 없었기에 지금도 관세 관련 하락이지만 시장은 지금이 훨씬 심각하다고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이때처럼 간다면 지금 저점에 거의 다 온 것이며 반등은 더 가파르게 나올 수도 있겠다 2018년 이전에는 지금만큼의 큰 하락이 없었기에 서브프라임을 살펴보자 2008년서브프라임 이때는 9주동안 무반동으로 하락하였으며 -42%라는 경의로운 수치가 나왔다. 이때 과연 리먼브라더스는 언제 파산을 선언했을까?이때는 나도 매매를 하지 않을때라 기록을 살펴보았다리만브라더스의 파산 신청일은 2008년 9월 15일저기 파란 원 부분으로 나스닥이 고점대비 15%정도 하락한 시점이었다이후 반등이라고 부르기도 아까운 규모의 데드캬루 며칠 잠깐 나오고 반등 이전보더 25%p 정도 더 하락했다 왜 저때 다들 안 빠지고 다같이 지옥갔지? 싶은 생각이 드는데 아마 파산이 이미 확정나고 이제 곧 각종 정부 구제책으로 시장이 회복할 일만 남았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지 않았을까? 지금까지 결과로 이번 하락은 여기서 큰 이슈 없이 끝난다면 저점에 거의다 왔다고 볼 수 있겠다.그렇다면 만약 지금 코로나나 서브프라임 같은 악재가 터질 가능성이 있을까? 아쉽게도 이슈를 때려맞출 능력은 나한테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10년에 한번 나오는 대폭락 하면 떠오르는 지표가 하나 있다미국채 2년물-10년물 / 3개월물-10년물 금리 스프레드장단기 금리 역전 아후엔 침체가 찾아왔었다는 자료이다.회색을 공식적인 경기침체 기간이라고 보면 된다2년물과 10년물은 1980년대 이후 40년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었으며3개월물과 10년물은 이 차트 기준으로는 역사상 가장 크게 벌어졌다2년-10년(근 10년간)3개월 10년(근 10년간)물론 장단기 역전의 크기가 반드시 이후 하락의 크기는 아니며 이 역전 현상은 시장이 매우 기묘한 상황을 겪었다는 지표일 뿐이다채권 시장은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크며 각국의 정치 및 통화정책과 더불어 복합적으로 흘러가기에 이 역전 현상의 원인을 분석해서 설명하려면 수백 수천페이지의 논문이 나올 것이다. 물론 나는 못하고 그저 귀납적으로 지금까지 이런 현상 이후에 경기침체를 피할 수 없었다는 정도로만 받아들이는게 좋다더군다나 앞으로 리만브라더스나 코로나가 재발한다고 한들 지금 단계에서 그걸 예측할 수 있을까? 내가 지금 그나마 한가지 떠오르는 가능성은일본 중앙은행 기준금리서브프라임 이후 일본의 기준금리가 처음으로 꽤 높이 올라왔다는 것정도가 생각이 나긴 한다.일본의 기준금리가 기서 한번 더 위로 튀어오른다면 30년만에 고점 갱신으로지난 30년간 엔저와 저금리로 이루어지던 엔캐리 트레이드 투자의 규모가 매우 크게 감소할 것이고 증시에 코로나나 리만브라더스 급 충격을 줄 수는 있겠다. 그러나 아무 이유도 없이 일본이 이런 짓을 할 이유가 있겠는가? 더군다나 최근 엔화가 강세로 접어들긴 했지만 지난주 일본의 단기 국채 금리는 하락하였으므로 시장은 오히려 일본이 더이상 금리 인상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시장의 예측과 반대로 일본이 엔화 강세와 고금리 및 금리인상 기조를 보인다면 시장에 충격이 크겠지만나보다 머리좋고 경력 길고 블대리로 정보도 많이 얻어가는 기관 트레이더들이 강제 청산 당하면서 발생하는게 엔캐리 청산인데 내가 트뷰만 보고 어떻게 예측해 설령 맞아도 그냥 운이 좋은거지추가적으로 비트는 서브프라임 이후로 탄생한 자산이기에 엔캐리트레이드나 서브프라임 같이 세계 경제 이슈의 경우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름 2025/04/07 is Comming Soon
작성자 : 냠무고정닉
서양에서 인기많은 디즈니 여자캐릭터..gif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54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마블 인수 후 디즈니-마블 간 첫 콜라보레이션 장편 극장 애니메이션 빅 히어로 (2014, 돈 홀) 현세대의 애니메이터들은 80~90년대 황금기의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라난 세대이기 때문에 제작 과정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오마주를 많이 집어넣었고, 일본 문화를 활용했다. 여기에 등장하는 캐스 로컬화 이전의 오리지널 이름은 캐스 하마다(浜田). 한국판에서 하마다라는 성씨 대신 이모라는 호칭을 붙인다. 제작 초기에는 친모였지만 이모로 변경되었다. 작은 식당 겸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일찍 부모를 여읜 히로와 테디 형제를 10년 넘게 키워온 요리를 엄청 잘 하는 가정적인 인물. 2018년 주먹왕 랄프 2 에서 주부와 만날 수 있다는 성인 광고 장면에서 광고판 사진으로 등장했다. 그리고 21년 갑자기 과거 합성짤이 레딧에서 역주행해 현재까지 수많은 짤을 생산해내고 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leeloo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