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우울증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해외 문화별 찐 인식.jpg ㅇㅇ
- 몇 달 후 48살이라 성숙한 여자를 찾는 남자.jpg 뽀까칩
- 싱글벙글 손님이 갑자기 늘어난 민박집 ㅇㅇ
- 일본 라멘집에서 난동피우고 한국인인척하면된다. 말하는 중국인.ㄷ 구너
- 시내버스가 횡단보도 돌진…2명 사망 준뽀루
- ㅓㅜㅑ 오늘자 시구누나..몸 대결..전소미 아린..jpg 티롱씨4
- 채널a 특검 영장 단독 내용 ㅇㅇ
- 짭퉁짭퉁 잔혹 오싹한 한국사의 순간들 윤의철군단장
- 단독] "임성근 혐의 빼라"…이종섭 보좌관, 국방부 조사본부 압박 헬마존잘
- 다이소 레고로 변로만들어왔어 ㅇㅇ
- 尹대통령실 지지자 'SOS' 논란…신혜식 "휴대폰 임의제출 고려" 중보수지
- 현대차 울산공장... 신축 기숙사 ㄷㄷ...Jpg ㅇㅇ
- 농구선수가 트젠이랑 자다가 걸린게 여론 안좋은 이유...jpg ㅇㅇ
- 유영철 강호순 같은 사형수만 있는게 아니다 ㅇㅇ
- 단톡방에 야1짤 보내버린.Manhwa 자몽다
블루팀과 레드팀의 군사부호 차이.jpg
당신이 직업군인 특히, 장교나 부사관이 아닌 이상 군사부호에 대해 모르거나 매체를 통해서만 접하는 경우가 많을텐데이런식으로 군사지도에 피아 부대의 위치, 성질, 규모, 상태를 도식해놓는 것을 보통 군사부호 또는 군대부호라고 말함.한국군의 경우 미군, NATO와 동일한 APP-6C 혹은 MIL-STD-2525C/D라 불리는 블루팀 공통 군대부호를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연합작전을 하거나 혹은 해외 전사 등을 참고할 때 군대부호를 외우고 해당 작전사에 대한 지도를 보면 바로 전황과 부대배치 해석이 가능하다는 편리성이 있음.제대의 규모의 경우 위와 같이 표식을 하게되고,단 통상적으로 거의 대다수 대대급 실무부대에서 놀던 군인들은 위 단대호에서 연대 혹은 여단급 이상의 단대호를 지도에 표기하는 일은 적고, 특히 야전군(작전사급) 이상의 부호는 사용할 일이 없다고 볼 수 있음.부대의 성질의 경우 블루팀 단대호는 보통 아군의 경우 위와같이 직사각형 박스에 다양한 병과상징을 조합하여 파란색으로 표시해 사용하고, 적은 다이아 모양에 붉은색으로 동일하게 표현하게 됨.마치 한글처럼 편리하게 조합기호로 쓰기때문에, 만약 보병인데 공수하는 부대(82,101공수 같이)라면 보병을 상징하는 X에 갈매기(낙하산)를 추가하거나 V(공중강습)을 추가하는 형태고, 기계화보병이라면 전차(타원형)에 보병(X)를 추가하고, 뭐 그런 식임.여기에 실제 부대명칭을 추가하여 위치를 도식하거나,집결지부호, 전술적과업부호 등을 추가해 실제 해당 단대호(부대)가 어떻게 싸우고 이동할 것인가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음.물론 이것도 기본 흘러가는 방식만 표기한거고 실제 블루팀 군사부호도 제대로 각잡고 공부하면 엄청난 양과 과연 이걸 실제로 쓸 일이 있을까 싶은 올드한 부호들도 여럿 존재함.하지만 진짜 지랄맞은건 레드팀 즉 빨갱이식 군사부호인데,일단 군사부호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간결하게 요약하자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블루팀의 군사부호는 대부분 조합식에 간결하고 유연성있는 표기를 기반으로 사용이 간편하게 되어있는 반면, 빨갱이식 부호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겠음.1. 모든 부호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 모양이거나 난해함.가령 부대규모의 표시의 경우, 블루팀은 아까 말했듯이 아군(직사각형), 적군(다이아몬드) 박스에 성질을 표시하고 부호 상단에 제대규모를 도식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해결한다면,빨갱이들은 제대규모별로 모양이 연관성 없을 정도로 다르고,지휘소나 감시소표시 역시 별개로 깃발아래 모양(세모냐 네모냐 판이냐)에 따라 규모가 달라지는 특성이 있음.특히 이 난해함은 전투지경선과 통제선 표식때 빛을 발하는데,블루팀이 전투지경선이나 통제선을 표시할때 걍 위 사진의 파란선처럼 선만 쭉 긋고 작전부대 도식과 번호만 쓰고, 통제선에도 통제선을 알리는 명칭을 쓴다거나 공격개시선임을 표시하는 간편한 방식임과 다르게이 빨갱이들은 대대부터 군단급까지 전투지경선 모양이 달라짐. (선의 굵기, 점선, 실선모양 등등)2. 부대부호가 아닌 장비부호 위주더 난해해지는 이유는 빨갱이식 부호는 기본적으로 블루팀처럼 부대 위주로 도식하는게 아니라 장비 위주로 도식을 하는데 있는데, 물론 블루팀도 장비 개별 도식은 있으나 부대 도식에 비해서 사용량이 적음. 그러나 빨갱이들은 장비 위주로 도식을 사용하고 해당 장비 옆에 (0대대 0중대) 이런식으로 표시만 해놓는다는 특징이 있음.그리고 위 표처럼 블루팀이라면 기계화보병 표시할때 그냥 X(보병)에 타원형(기갑)만 표시해서 추가하고 따로 L(경), I(중) 여부만 추가해서 경기갑이냐 중기갑이냐 식으로 디테일을 살려주는게 전부지만,빨갱이들은 이게 APC냐, IFV냐, LVT냐, 차륜형이냐에 따라서 장비부호가 다 달라짐.그리고 더 무서운건, 이 장비들이 현재 집결중이냐, 기동중이냐, 기동중이라면 대형이 횡대냐 종대냐 행군이냐, 어떤 부대가 배속되어있냐에 따라서 모양이 다 달라짐. 블루팀이었으면 걍 단대호 여러개 그리고 후속/후속지원 여부만 쓰고 기동방향에 화살표 쭉 그려주면 끝남.3. RTS 게임 수준의 세부컨트롤부호가 연관성이 없이 난해하고 상황에 따라 정반대로 모양이 달라지는 부호를 쓰는 이유는 결국 이것인데,얘네는 기본적으로 임무형지휘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작전명령은 단순하되, 세부컨트롤은 RTS 수준으로 가는 방식이라 이런 식의 부호를 사용함.가령, 위 사진은 낙서해논것 같지만 북한군 장교들 공격작전결심지도 읊는 장면임.보다시피 뭔 지랄을 해놨는지 도통 이해가 안 가지만, 그나마 해석을 해보면 각 제대들을 사단급 지도인데 분/소대까지 쪼개놓고 어디 소대는 견제하고, 어디 소대는 언제 들어가고 어디 중대는 언제 우회하고 어디 소대는 또 전단에 적 진지 까부수고 이케이케해서 포위소멸구역 형성해라 이런 소리임. 근데 이걸 작전명령 내릴때는 몇월 며칠 몇시 몇분까지 000까지 암튼 진격하시오 식으로 단순하게 넘기는 식으로 던짐.즉 블루팀과 레드팀은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한 군사부호를 사용함. 블루팀의 경우 간편성과 유연성을 추구하고 레드팀의 경우는 세밀함과 통제성을 추구한다는 점이 있겠음
작성자 : ㅇㅇ고정닉
소니한테 고소당한 텐센트 호라이즌 짭 게임 근황
열심히 비슷한 흔적 지우기중이라고함연기도 2년 때리는거 보면 게임 컨텐츠도 갈아엎으려는듯ㅋㅋhttps://www.pcgamer.com/games/survival-crafting/the-tencent-survival-game-being-sued-by-sony-quietly-purges-most-horizon-like-content-from-its-steam-page-bumps-release-date-to-late-2027/ The Tencent survival game being sued by Sony quietly purges most Horizon-like content from its Steam page, bumps release date to late 2027It looks very much like Tencent does not want to tangle with Sony on this one.www.pcgamer.comhttps://youtu.be/v0Of5Xjdwbc텐센트는 강자이며 적어도 몇 명의 변호사를 단축 다이얼에 두고 있다고 확신하지만, 소니의 연기를 원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게임 포스트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지난 며칠 동안 Steam의 모티람의 빛 페이지가 새로운 텍스트와 스크린샷으로 대폭 업데이트되어 훨씬 덜 호라이즌처럼 보이게 되었습니다.기존(구) 상점 설명은 Horizon의 테마에 맞는 언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습니다:"거대한 기계로 가득한 세상에서 광활한 오픈 월드를 탐험하고, 작전 기지를 건설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메카니멀을 훈련시키고, 강력한 보스를 상대하세요. 원시 시대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발전의 길을 개척하세요. 기계에 맞서 메카니멀과 함께 살아남으세요."이 문구는 이제 "거대한 기계" 또는 "메카니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고 훨씬 더 일반적이고 생존에 초점을 맞춘 문구로 대체되었습니다:"생존을 위해 주변의 모든 것을 현명하게 활용하고 강력한 보스와 맞서 싸워야 하며, 모든 단계는 위험으로 가득 차 있고 용기가 필요합니다. 생존의 도전을 극복해야만 이 험난한 땅에서 자신만의 자리를 개척할 수 있습니다."페이지 아래쪽에도 비슷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전에 게임이 "메카니멀이 지배하는 오픈 월드"에서 진행되며, 플레이어는 "여러 지역에서 독특한 메카니멀과 신비한 유적을 발견하고 점차 모티람의 비밀을 밝혀내게 된다"고 설명하던 부분이 완전히 삭제되었습니다. 모티람의 빛의 "기계의 황야"에 대한 언급도 단순히 "황야"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수정되었습니다.Steam 페이지에 있던 발표 예고편도 삭제되었으며, 다른 여러 영상과 함께 모티람의 빛 유튜브 페이지에서도 사라졌습니다. YouTube의 모티람의 빛 아이콘도 변경되었습니다. Steam 페이지로 돌아와서 스크린샷도 변경되었습니다. 원래 목록에 있던 몇 장이 남아 있지만, 거대한 기계 공룡과의 전투에서 창과 활을 휘두르는 전사들의 호라이즌과 같은 이미지로 이어지는 대신에이제는 환상적인 농장 생활의 목가적인 장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이전에 게임에 대한 모든 업데이트가 Steam 페이지에서 삭제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기계 생명체와의 전투 장면을 보여주는 수많은 애니메이션 이미지도 삭제되었습니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원래 Steam 목록에서 8번 이상 사용되었던 "메카니멀"에 대한 언급이 모두 사라졌습니다.또 하나의 큰 변화는 키 아트입니다. 법적으로 구별되지 않을 수도 있는 알로이의 이미지입니다:로보 피글렛과 퍼비로 대체되었습니다. 소니가 이들을 기계 동물이라고 부르지 못하게 하세요.SteamDB의 Light of Motiram 페이지의 “역사” 섹션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결론적으로 이는 매우 철저한 정리 작업이며, 텐센트가 그런 노력을 기울일 만큼 심각한 동기가 없었을 리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이길 희망이 없는 소송이 임박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또 다른 주목할 점은Light of Motiram은 2025년 말에 출시될 예정이었지만, 현재 Steam 페이지에는 2027년 4분기 출시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2년 이상 연기된 것이며, 처음 공개된 지 3년이 지난 시점입니다. 이는 큰 연기이며, Steam 페이지만이 아니라 게임 자체도 크게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