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8 - 시계 문맥 읽기. 스위스는 왜 시계 강국이?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04 14:45:02
조회 6325 추천 25 댓글 46
1. 서문

오늘은 시계 산업, 역사의 전체적인 “문맥” 을 읽어 보려고 해. 시계를 소비하면서 다들 스위스, 독일, 일본 등에서 시계 산업이 흥했다는걸 알고, 각각의 나라마다 다른 시계의 “기풍” 혹은 특징들이 있는걸 느꼈지만, 왜 그런지는 잘 생각을 안해본거 같아서. 왜 스위스에서 시계 산업이 발전했을까? 일본은 왜? 독일 시계는 왜 그렇지? 영국은 왜 산업혁명의 시발점인데 왜 시계 산업은 흥하지 않았지? 등등 궁금증을 풀어보자! (주의 사항: 이건 절대적인 사실이 아니라 글쓴이의 뇌피셜과 취미를 이것저것을 엮은 것이다)


2. 스위스 시계 산업의 태동, 종교 혁명


스위스 시계 산업의 문맥을 읽어보려면 알아야 할건 두가지, 스위스는 전란이 많은 유럽에서 중립국이 였다는 것과, 스위스, 특히 제네바가 가지는 지정학적 요소들이야.


다른 많은 발명품 같이 처음 시계의 역사는 역시 당시 강대국들이 였던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등 이 주도 했어. 하지만 16세기,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이 시작되면서 상황은 빠르게 바껴가. 특히 가톨릭이 주류였던 프랑스에서는 개신교들은 많은 탄압을 받지. 결국 탄압과 종교전쟁을 피해 당시 중립국이자 개신교에게 적대적이지 않았던 스위스, 특히 제네바로 많은 프랑스 개신교 인들이 유입이 되.



2ab8de23f3d376ac7eb8f68b12d21a1df0a641b848

(제네바 위치)


스위스 지도를 보면 알수 있지만, 제네바는 프랑스 내부로 뾰족이 튀어나와 있는 형태로 프랑스 개신교들이 잘 넘어갈수 있는 위치에 있지. 당시 기득권으로 대표되는 가톨릭과, 당시 비 기득권 이였던 개신교의 대비로 인해 스위스로 넘어간 개신교 인들중 기술자들, 그중 워치메이커, 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지.


이때 프랑스는 시계 관련 인재들을 많이 잃게 되고, 거기의 반사 이익으로 스위스는 양질을 인사들을 얻게 되지. 또, 마틴 루터킹을 필두로 종교 개혁의 원산지인 독일은 그 기술자들을 잘 보존했다고 할수 있지.



2af3da36e2f206a26d81f6e74083766e

(글라슈테 위치)


독일의 종교 개혁은 북부 기반으로 동북쪽으로 갈수록 개신교가 강하고 남서쪽으로 갈수록 가톨릭이 강해. 흥미로운 점은 나중에 독일 시계 산업의 마지막 보루인 글라슈테도 개신교가 강한 동북부에 있다는 거지. (기술자들은 많았지만, 후 공산화된 동독지역은 종교색이 많이 옅어졌다. 그래서 종교개혁의 시발점이지만 나라 전체로는 가톨릭이 개신교와 비슷하거나 약간 우세한 판국이다)


스위스 시계 산업의 종교혁명이라는 문맥은 여기서 끝이 아니야. 그건 바로 또다른 종교 개혁자 장 칼뱅 때문이지.



3d92d917bde761af4b9887bb0ce5062fade59bc465479c61e228eac204cc6c9cb4332003250a0a5ac782c2ba041dfdd63327a43d9b124f3f0b6d56c9d4ccdebf0787aba7fbf742217dae3548351fab1ea388fb98ec14a788c26e1986fac14f4d45093e34e485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북부, 즉 독일 국경지대에서 태어났어. 공무원 아버지를 둔 장 칼뱅은 신학을 공부했지만, 아버지의 권유로 법학을 공부하게 되지. 아버지의 영향과 법학도생이라는 특성때문인지 당시 보수적인 가톨릭 보다 인문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아. 독일 국경근처라는 지리적 특성과 개인의 성향으로, 독일 루터의 복음주의와 종교개혁에 칼뱅 또한 영향을 받지.


아까 프랑스의 개신교인들은 박해를 받고 스위스에 많이 정착했다고 했지? 장 칼뱅 또한 마찬가지야. 공교롭게도 장 칼뱅은 스위스 제네바에 정착하게 되고, 칼뱅 주의 (개혁주의) 개신교가 제네바에 뿌리를 뻗게되지.


여기서 개혁주의 라 하면 “개혁” 이라는 단어 때문에 왠지 더 개방적이고 세속적 일거 같은 느낌이 들잖아? 하지만 여기서 개혁이란 종교적 개혁, 구체제였던 가톨릭을 개혁하는거지 가톨릭과 비교해서 개방적이거나 세속적이지 않았어. 오히려 모두가 죄인이다 라는 사상과, 엄격하고, 검소한 신앙생활을 요구하는 신정정치를 이어갔어.


그의 일환으로 칼뱅이 요구한건 “보석 (장신구)” 를 착용하지 말라 였어. 이게 스위스 시계 산업에 아주 중요한 사건이였어. 시계 장인들과 함께 많은 세공사들, 보석상, 기술자들이 스위스 제네바로 넘어갔지만 보석을 만들수 없으니 그 기술자들이 만들수 있었던건 무었이였을까? 바로 “시계” 였어.


프랑스의 뛰어난 세공기술, 특히 보석이나 금, 은 을 다루는 기술들은 고스란히 시계 산업에 스며들지.


하지만 이때만 해도 스위스가 수준급 시계로 이름을 알렸다~ 정도의 수준 이지 지금처럼 독보적인 위치는 아니였어. 여전히 독일, 영국 이 시장을 이끌었고, 역시 당시 세계 최고 강대국이자 최대 산업국인 영국이 주로를 했지. 또한 떠오르는 신흥국인 미국도 늘어나는 철도망을 보조하기 위해 정확도를 요구하는 시계산업이 만들어 지고 있었지.


3. 스위스의 인재들, 지리적 특색


모든 산업이 그렇듯 한번쯤 우연인지 필연인지 수많은 인재들이 동시대에 나타나서 산업을 바꾸는 때가 있어. 스위스도 그랬지. 그 출발은 우리에게 덜 알려진 Daniel Jeanrichard 부터 시작되. 자동차 산업에 헨리 포드가 있다면 시계 산업에는 다니엘 이 있다고 봐도 되.



29bcde2fe0de76ac7eb8f68b12d21a1ddf5b9cca58

(Daniel Jeanrichard)


당시 많은 제조업이 그랬듯 시계 산업도 길드를 바탕으로 도제제도를 통해서 굴러가고 있었지. 길드가 소속된 장인들을 컨트롤하고, 각 장인들은 소수의 도제를 키우며 조금씩 기술을 전달하고, 기술유출을 우려해서 확장도 소극적이였지. 또한 가격 하락등을 우려로 시계를 조금씩 만든다던가, 혹은 신기술 (기계식 도구) 도입을 꺼려해서 제작수도 적었지.


이 폐쇄적인 길드 중심의 산업에 불만을 느낀 다니엘은 분업화, 외주/하청 (지금은 안좋게 들릴수 있지만 당시에는 길드에서 독점되는 생산을 다른 기술자들한태 특정 부품들을 외주를 준거지), 신기술 도입 등으로 훨씬 더 많은, 정형화된 높은 품질의 시계를 생산할수 있게되지.


이 시점부터 스위스 시계 생산, 수출은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어.


그 때문인지 수많은 인재들이 나타나기 시작해. Abraham-Louis Perrelet 가 오토매틱 시계를 발명하고, 파테필릭의 창업자 Adrien Philippe 도 이 시대 사람이고. 브레게 또한 곧 나타나서 투르비용 등 많은 발명을 하지.


또한 앞서 말한 지리적 이점이 또 스위스를 도왔어. 프랑스의  Jean-Antoine Lépine 이 현대에 익숙한 납작한 무브먼트를 발명했지.



27fddd29f3d776ac7eb8f68b12d21a1d0cd742fa859f

(장의 무브먼트)


이 무브먼트는 시계를 더욱더 얇게 만들기를 가능하게 만들어 줬어. 그런데 왜 프랑스가 아닌 스위스가 이 기술의 혜택을 받게 되었을까? 그런 바로 프랑스는 아직 대량생산 체계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던거야. 앞서 말한 다니엘은 이미 스위스 시계 시장에 분업,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정착 시켜놓았고, 더 얇아진 장의 무브가 이식된 스위스 시계 산업은 더 얇고, 혁신적인 시계를 싼 값에 대량생산 할수 있었던거지.


이때부터 영국과 다른 나라들의 시계 장인들은 스위스 시계와 경쟁속에서 뒤쳐지지 시작해.


앞서 말한 다니엘의 외주 방식은 établissage 스위스 만의 특이한 생산 체계로 이어져. 프랑스나 영국 같은 나라는 파리, 런던 같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모든 산업이 집중되어 있었다면 특이한 연방 체제 이던 스위스는 각 주, 도시 마다 시계 공방, 산업, 등등 이 골고루 퍼져있었어.



7becd376b28061a73bea83b61286746d0b99c7c1cafe7a893e7fcd5e540bec5ce5c729b20a9bd42ab5a2cf627ed989

(영화 Unrueh 중 한 장면. 무정부 주의자와 스위스 시계공들의 이야기.)


장인들과 도제들이 한 공장에서 시계의 모든것을 만드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스위스는 établissage  외주 시스템을 통해 도시, 마을, 지방마다의 시계 장인들은 특정 부품을 빠르고 더 전문성 있게 공금했고, 시계 제작사들은 그 부품들을 사드려 조립 하는 방식으로 진화했지.


이 방식이 그 조그만 스위스 안에 지금까지도 지속되어온 수많은 시계 부품 회사들이 생기게 했어.


여기서 오는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 품질의 인상은 다른 나라들이 경쟁하기 더 어렵게 만들었어. 1800년도에는 스위스, 영국 양 국가 모두가 약 20,000 개의 시계를 생산했다고 하는데, 1850년에는 영국은 20,000 개, 스위스는 2,200,000 개의 시계를 생산했다고 해.


4. 자동화와 미국의 영향


지금도 저가 대량생산품이 그렇듯, 당시 스위스 시계도 싸지만 품질은 떨어지는 이미지였어. 또, 길드와 도제 방식을 스위스식 분업, établissage, 미국에서 더 세련되고 발전된 대량생산 공정이 가격과 품질로 스위스 시계를 위협하기 시작했어.



1abcdc32edd335916fabd5bd35de292d7bd948d6298ae32f7ca47b47ac7372bd7dae

(당시 미국의 대표 시계 회사 Waltham)


하지만 역시 생산력이 생겨도 워치 메이킹의 노하우 는 없던 미국은 스위스 보다 한단계 아래로 평가 받고 있었다. 그러나 1868년, 미국에서 Florentine A. Jones 가 스위스로 건너가 미국의 선진 생산 공법, 스위스의 워치메이킹 노하우와 인력을 사용해 회사를 새우니 그것이 International Watch Company, IWC 다. (왜 스위스 시계 회사인 IWC 가 영어 이름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이 된다)


IWC 의 시작으로 établissage 에서 멀어지고 선진 생산 공법을 스위스 시계 회사들도 도입하기 시작한다. 그 후, 시계 산업도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를 시작한다.


여러인물들이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를 시작하려 했지만 브레게의 제자인 Ingold 는 특히 쥬얼을 놓을 자리가 있는 플레이트를 생산 하는 기계, 등 많은 시계 부품을 만드는 기계를 개발했고, 자신의 자동화 공정을 도입하려 산업대국인 영국으로 건너가지만 역시 영국 시계 산업의 자동화 거부로 미국으로 다시 건너가게 된다. 그후 다시 스위스로 돌아온 그는 스위스 산업의 자동화에 큰 이바지를 한다. 또다시 영국의 기득권이 스위스 시계 산업을 도운것이다.



78ed8076b48061fe3ef1dca511f11a3933fcff6f43799420d2

(Ingold 의 설비중 하나)


5. 중립국


스위스 시계 산업의 상징이라 할수 있는 롤렉스도 원래는 영국의 시계 회사였다. 스위스의 Aeglar (현재는 롤렉스의 자회사) 와 협업하여 시작한 영국 브랜드인 롤렉스는 1919년, 스위스로 회사를 옮기게 되었다. 그 이유는 바로 세계 1차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사치품, 시계 등에 큰 수입, 수출 관세를 매겼고, 거기서 좀더 자유로운 스위스로 옮기게 된것이다. 왜 롤렉스 시계를 차고 수영을 한 수영선수가 영국인이였는지 어느정도 설명이 된다.



0eb2de21f7d72bb567b0d8b41af228322e436e390d39fcaac99a33cc2508fc5617

(영국 의회 컨트리 클럽에 설치된 롤렉스 시계)


중립국이라는 사실은 스위스 시계 가 일등으로 올라가는데 마침표를 찍었다 할수 있다. 이미 기술, 가격, 품질에서 앞서가던 스위스 시계 산업은 두번의 세계대전으로 많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전쟁을 수행할때 양쪽 모두에게 시계를 수출 할수 있었던 것이다.



09b4c232fc9f1ca974bad8f830d82131c8f568401f88f165032a550ffbbf1196cc5d8ae0d9b0e53031

(더티 다즌)


더티 다즌 으로 대표되는 영국의 군용시계 를 제작한 회사 대부분이 스위스 시계 회사이며, 독일의 플리거를 만든 회사중 IWC 도 포함된다. 이렇게 중립국이라는 특징 덕분에 스위스는 세계적인 시계 수출국이 된다.



24b0d121e0c176ac7eb8f68b12d21a1d2da56dc48d

(1940년도 IWC의 플리거)


6. 마치며


스위스 시계 산업이 워낙 주류고 역사가 기니 길어져서 다른 얘기를 못했는데, 다음에 기회가 되면 독일, 일본, 이탈리아 의 "문맥" 도 얘기해보도록 하겠음. 좋은시계 차고 좋은하루 보내!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5

고정닉 1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7599
썸네일
[겐갤] 고3 겐붕이.. 졸업앨범 맥크리 코스프레햇다...
[305]
오버워치영원하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8950 360
237597
썸네일
[이갤] 미국서 통과된 음주운전 처벌법.jpg
[3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0116 553
237595
썸네일
[주갤] 호주 모델, 숨진 남편의 사후 정자 채취로 기적의 아기 출산
[277]
ㅇㅇ(146.70) 06.07 42033 139
2375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오오츠키 주인님의 주인님's 먹방.manhwa
[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1242 228
237591
썸네일
[새갤] [채널A] 수갑 채워 관광객 납치 후 몸값 요구한 필리핀 경찰
[11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0026 132
237589
썸네일
[야갤] 인터넷 공유기 보안 취약, 이 정도일줄 몰랐다.jpg
[3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8489 169
23758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러시아 여행 가서 우즈벡 아저씨와 친구 먹은 ㄱㅌㅂ.jpg
[8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2466 141
237583
썸네일
[이갤] 중국 폭포 근황.jpg
[3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6449 404
237581
썸네일
[키갤] 일본에서 알바하는 일붕이 인실ㅈ 시킨 후기
[4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1031 248
237579
썸네일
[싱갤] 맛있는 광주5미....대표음식....jpg
[478]
ㅇㅇ(175.119) 06.07 27866 185
237577
썸네일
[디갤] 나의 디지털 폐기물 봐줄래??.webp
[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725 19
237575
썸네일
[기갤] [단독] 도종환 "김정숙 초청장" 공개, 어디가 셀프초청?.jpg
[26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941 42
23757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대생이 업소녀가 되는 과정
[489]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69585 841
237571
썸네일
[야갤] 김호중, KBS 공식 입장 '출연 정지' 확정!!!!.jpg
[1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727 138
237570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월레스와 그로밋 펭권
[180]
론사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4086 301
237568
썸네일
[카연] 모험가 용역 장씨 - 8
[27]
엠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9793 58
237566
썸네일
[기갤] 김건희 카톡 또 공개했나보네
[647]
ㅇㅇ(156.146) 06.07 38573 438
237564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여고딩한테 케이크받고 퇴사하는 교사...jpg
[10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56940 812
237560
썸네일
[야갤] 이화여대탐방기
[297]
까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6069 146
237558
썸네일
[새갤] “바이든, 인지력 저하 조짐” vs “정치 공세”
[137]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2690 52
237556
썸네일
[4갤] 고려대/연세대 응원단끼리 서로 사귀는 사람도 있나요?
[150]
4갤러(98.98) 06.07 26761 35
237554
썸네일
[미갤] 뜻하지 않게 진로를 바꾼 여자.jpg
[2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9299 492
23755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지 택시기사와 친해진 여행
[94]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558 72
237551
썸네일
[힙갤] 힙합은 안 멋지다고 말한 이유
[291]
힙갤러(156.59) 06.07 35597 371
237549
썸네일
[야갤] 국회 '원 구성 시한' 오늘 자정까지, '기싸움'.jpg
[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893 18
237548
썸네일
[야갤] 유명롤프로게이머.... 베트남서 한국여성 살해혐의.. ㄷㄷ.
[875]
야갤러(45.90) 06.07 56274 370
237546
썸네일
[수갤] 답지 베끼다가 서울대 합격한 사연
[202]
수갤러(45.32) 06.07 37457 161
237545
썸네일
[야갤] 병원 응급실서 주취 난동, 알고 보니 '경찰관들'.jpg
[1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4330 176
237543
썸네일
[만갤] 단편콘티 짜봤는데 스작이나 각콘 가능할까.
[127]
BIGD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992 22
2375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외국굴 특징
[25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8822 51
237539
썸네일
[디갤] xf50mm f2 개시 겸 오늘 일몰
[19]
carb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6696 11
237537
썸네일
[야갤] "알바한테 제발 친절을 강요하지 마세요.jpg
[14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2357 364
237536
썸네일
[중갤] ‘쌍방울 불법 대북송금’ 이화영에 징역 9년6월
[453]
중보수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822 298
237534
썸네일
[새갤] [채널A] 서구 25개국 정상 노르망디에 총집결.. 초대도 못 받은 푸틴
[13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1290 39
237533
썸네일
[야갤] 의대 증원, 'N수생' 증가.. 골치아파지는 고3 수험생.jpg
[3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0955 68
237531
썸네일
[메갤] 각종 인터뷰로 느끼는 일본 체감 평균키
[6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1106 137
237530
썸네일
[야갤] '지각변동' 예고한 유통업계, 손 맞잡은 공룡 기업들.jpg
[16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569 66
2375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가면 먹어봐야 되는것들
[456]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5770 200
237526
썸네일
[스갤] 초기 스타쉽 디자인과 현재 스타쉽
[62]
ㅇㅇ(61.78) 06.07 16878 48
237525
썸네일
[힙갤] 고등래퍼 출신 오비고글 AP알케미 사옥 테러
[387]
ㅇㅇ(211.234) 06.07 37608 397
237523
썸네일
[홍갤] 유퀴즈 나와서 67번의 임진록 중 3연벙 이야기 함
[148]
홍갤러(45.32) 06.07 17030 191
237522
썸네일
[야갤] 형수 검찰 조서 입수, 황의조 추가 '불법촬영' 정황.jpg
[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1481 54
2375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출산율 0.78 국가의 저출산 돌파법.jpg
[861]
ㅊㅌ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3534 603
237519
썸네일
[어갤] 민희진 기자회견 코스프레 해봤다.
[347]
레나천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1048 1168
237518
썸네일
[의갤] 윤도영의 임현택 알아보자 2부
[228]
ㅇㅇ(124.111) 06.07 18309 287
237517
썸네일
[야갤] 우주탐사 가능성 높이는 미국..거대로켓 무사귀환, 도킹 성공.jpg
[1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2499 92
237514
썸네일
[야갤] 밀양 첫번째 신상 폭로된 가해자, 수소문하러 가본 유튜버.jpg
[4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8600 366
23751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대남 근황
[3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4403 259
237510
썸네일
[스갤] 깜짝깜짝) 일반인도 쉽게 탄다는 전용기
[190]
ㅇㅇ(103.88) 06.07 23855 120
237509
썸네일
[새갤] 삐라 20만장 살포.."전쟁 날라" 불안한 접경지역 주민들
[517]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378 4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