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필름 잡설과 하만 피닉스 200 리뷰앱에서 작성

찬스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31 11:00:02
조회 5595 추천 23 댓글 42

이 리뷰는 세기 P&C에서 하만 피닉스 200 제품을 협찬받아 사용 후 제작되었으며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7cea8170b48b6ef23cea81e4419f2e2d6d0ba570740cfc416725111580


2023년 12월
우리에겐 가장 대중적인 흑백필름 제조사 중 하나로 유명한 일포드에서 컬러 네거티브 필름을 출시했다.
엄밀히 말하자면 모회사인 하만 테크놀로지가 하만포토란 별도의 새 브랜드로 나눠서 출시한 것이지만,
흑백 필름 일변도의 기업이 자신들의 기술만으로 컬러 네거티브 필름을 만들어낸 것이다. 



09a8d627fcd137aa61ade9e741ee1632d51c8ba6adb7379a08468282f60057059c82914b5e7c

39b3ef04cfe219b63cf9d7b8068a77734421296a670fd56cf00502b39499

39b3ef05eade37b37c9b90b41bc17f3eeddbb2abf049175ced858af624eebc28c92598fede422fc0ea08

3ef0dc77b78268e879bad4a536ef203ef4b335fefaa768


사실 일포드가 컬러 필름에 관심을 보인 건 이번이 최초는 아니다.
30년대에는 Dufay라는 브랜드를 인수하는 형태로 컬러 네거티브 필름을 낸 적도 있고
이후로도 영역을 넓혀 60년대, 심지어 90년대까지도 여러 사족이 붙긴하지만 컬러 네거티브와 컬러 포지티브 필름으로 나름의 명맥은 이어오고 있었다.

사진에서 필름의 시대가 저물어 버린지도 이미 20년은 더 넘어가는 동안
수많은 메이저 브랜드가 사라지고 점차 제품군을 단종시켜 나갔으며,
몇번의 레트로붐 끝에 더 많이 태어난 신생 브랜드들이 필름 시대 부활의 기수를 자처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기존의 코닥 VISION 시리즈나 후지 Eterna 시리즈 같은 영화용 필름, 미사용 재고로 보관만 하던 특수목적용 필름 등을 단순히 소분하거나 재가공 처리 하여
그저 필름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음을 알리기 위한 잔불에 불과했다.

물론 이 시대에 새 필름을 개발하려던 노력이 없었던 건 아니다.
멀게는 역사의 끝으로 사라져버린 폴라로이드가 The impassable Project 사의 개발로 2010년 다시 부활했고,
코닥은 한번 단종했었던 자사 제품들을 복각하거나 다른 판형의 제품들로도 새롭게 내놓았으며
ADOX나 Ferrania, ORWO 같은 옛 브랜드들 또한 상대적으로 제조가 쉬운 흑백 필름을 시작으로
컬러 필름 또한 벌써 상용화한 제품이 있거나 한참 개발 중에 있다.
그 바통을 이어받아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된 하만은 필름의 호황기가 다시 부활하기를 염원하며
이 필름에 불사조라는 이름을 붙였다.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e1f021b9cbb1ba9ca4a37757a834c6e7cd434c5b70b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f16021b9cb81ba90c2365272bdae7ae11a952bbf4dc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f13021b9cb91ba94190de9bb7dda09c489ef13c3c38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f10021b9cbe1ba958355d4dc7ceeebadfe5b76fb162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c17021b9cbf1ba996a35d80b761e9d16f0951a006c6

2bb4dc2be6d335a37cbe9be74683706d376d665228c71b0edc13021b9cbc1ba96c5ff93d7118776c028fd941149f


이 사진들은 가장 대표적인 피닉스 200의 작례들이다.
빛이 강한 야외에선 특히 채도가 다소 높게 나오고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아 밝은 광원과 그 외 영역 사이가 극단적으로 차이나면 색이 날아가거나 죽어버리지만
색표현이 굉장히 강렬하게 선명하고 나름 안정적인 빛 아래에선 크게 튀어 보이지는 않는 필름이다.
하지만 여기엔 몇가지 조건이 붙는다.



7ded8072b7816df63eef85e529837373d31ff74b06014f4bb40489ae6d77d414

7ded8072b1876ef43eef84ec2983721c02892219eaa680cfb59830c3d94731a1d6


-첫째, 감도설정과 까다로운 노출값

사실 피닉스는 감도 200짜리 필름이 아니다.
필름은 공통적인 특성상 촬영시 완벽하게 노출값을 지키지 않아도
어느정도 정상톤, 혹은 정상톤에 가깝게 나올 수 있다.
이런 필름이 견딜 수 있는 범위를 필름의 노출 관용도라고 하는데
보통 적정노출보다 어둡게 찍으면 언더, 밝게 찍으면 오버라고 표현하며 이 두가지 모두 필름이 견디지 못하는 범위까지 넘어버리면 이미지의 디테일이 깨지게 된다.
피닉스 또한 이런 관용도를 바탕으로 적절히 써야하는데
아직은 좀 더 기술적 향상이 필요해서 관용도가 좁고 실제 감도도 125 정도다.

위의 두 작례들은 처음 피닉스를 썼을 때 어느정도 관용도가 있을지 몰라 테스트했던 것들인데
윗쪽은 강한 대비를 기대하며 태양을 기준으로 노출값을 잡고 아래쪽은 노출계의 도움없이 써니 16룰을 기준으로 직감적으로 시도했지만,
둘 다 강한 빛으로 대비가 심했던 결과 명부와 암부가 함께 죽어버렸거나 빛과 관용도 모두 부족해서 하늘만 일부 간신히 살아 남았다.

필름 사진은 노출값을 잘못 측정하여 똑같이 사진을 망친다고 해도
밝기를 언더 내는 것보단 밝게 오버로 내는게 후보정으로 살리기엔 더 유리하기 때문에,
이런 실패율을 줄이기 위해선 피닉스의 실제감도와 유사하게 감도는 100으로 맞춰 찍는게 좋다.
사용할 카메라는 제대로 된 노출값을 반영하기 힘들고 스펙에 한계가 있어 그나마 해가 떠있을 때 찍는 편이 좋은 토이카메라보단
제대로 작동하는 노출계와 잘 연동시킬 수 있는 기종들,
특히 전자식 자동 SLR로 쓰는 걸 상당히 권장하고 싶다.


7cea8170b2846fff38ea8fed4f9f2e2d4ece6df7a96cef57c21dae26


만약 별도의 감도조절이 불가능한 컴팩트 자동카메라 종류에 써야한다면
이런 식의 아이콘들 중 태양 표시가 된 역광보정 기능을 항상 켜서 약 1~1.5 스탑 정도 밝게 찍는 편이 좋다. 


7de88171b58260fe3eef87e444857468267180ca343f1b0b81c0a675ffe77224e2db9d

7de8817fb5826df33eef84e744857468bdbdc21157611767a78e91f50540c8334f70b5

위 : 피닉스 200
아래 : 포트라 160NC


7de88171b58260fe3eef85e24485746861d63e8c2bbd57952358d75d60b125882b2995

7de8817fb5826df33eef85e04485746800bf800e4d21ce22db67d573cc0a521fc377d1

위 : 피닉스 200
아래 : 포트라 160NC


7de88171b58260fe3eef87e14485746832d9f8a8058122c6556ec6684b6c159156bda2

7de8817fb5826df33eef84e144857468c9014e5bd680228e9fd4170492e054acb09464

위 : 피닉스 200
아래 : 포트라 160NC


7de88171b58260fe3eef84e344857468db81b675dc889ce5c4e382be2bf5755f12bee2

7de8817fb5826df33eef87e34485746849f1c7ffef27f24dee8990f8407cb3000a2746

위 : 피닉스 200
아래 : 포트라 160NC


-둘째, 피닉스 200에게 최적화된 스캐너 세팅.

보편적인 컬러 네거티브 필름과는 제조과정도 다르고 아직 기술적으론 실험적인 필름이기에
피닉스로 무난한 톤의 사진을 얻기 위해선 아예 이 필름 전용으로 맞춘 스캐너 세팅값이 필요하다.
이미지 자체가 안나오는 건 아니지만 기존 필름들과 다름없는 세팅값으로 스캔하면 맨 위에 있던 다른 작가들의 작례만큼 살아난 색 재현력은 나오기 힘들다.

그래서 이 차이를 알기위해 우선 피닉스 200과 유통기한은 지났지만 보존을 잘해서 크게 변질되지 않은 코닥의 포트라 160NC를 똑같은 현상소의 일반적인 세팅값과 비슷한 조건의 장소로 비교 해봤다.

일반적인 세팅으로 스캔한 피닉스 200은 붉은 색과 녹색이 잘 살아나는 편이지만 푸른 색의 경우 연보라색 수준으로 떨어지고,
성능의 한계상 특히 강한 광원이 있어 전체적인 사진에서 대비가 강해지면 암부가 많이 죽는 편이다.
실내에선 빛이 제한적인 환경일 때 노출이 크게 부족하지 않음에도 색의 틀어짐이 강한 편이기도 하다.


7de88171b58260fe3eef87ec44857468cddcf133b6620caa42dfc52363089ad65ff1a2

7de88171b58260fe3eef87ed44857468b8585b4adab47abbbb595b8b56f2b4c01e2d4c

7de88171b58260fe3eef87e344857468fcb5fe741c103eda971d30d71d6009d7dd20dc

피닉스 200


-셋째, 강한 빛의 활용도와 선택.

무엇보다 피닉스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건 바로 이 할레이션인데,
빛을 받은 피사체의 테두리에 빛번짐이 강하게 끼는 편이다.
이런 할레이션은 호불호가 강하기 때문에 원치 않는다면 역광보단 순광, 또 균등한 빛이 깔리는 실내나 흐린 날도 좋다.


7ded8072b1876ef43eef87e12980751c596a91f0c3d4b7410dce3ca09e6b826618849d45

7ded8072b1876ef43eef85ed2982711c52f032f2beeaa18e5f026b476d7bdf3292

피닉스 200

이 두 사진 또한 스캐너가 강제로 색을 끌어올린 흔적이 희뿌연 회색으로 남을 정도로 노출 언더가 좀 있었지만,
흐린 날씨로 전체적인 대비가 약해지자 오히려 맑은 야외에선 극단적으로 날아가 버리기 쉬웠던 암부가 남아있고 주황빛 톤도 덜한 편이다.


7de88171b58260fe3eef85e144857468aaa82ca94f1a2a5dbae0deccc06c1df2854034

7de88171b58260fe3eef85e6448574687b764719661abda108881c30f003aa620d53e9

7de88171b58260fe3eef85ec44857468645c9a3970711f0a9fcd2bc756df72ef42f08f

7de88171b58260fe3eef84ec44857468a3ec1887523ae064f1db050473c9a4bdcaedff

7de88171b58260fe3eef85e444857468c43b46776601787f18964613973acb813b9a83

7de88171b58260fe3eef84e64485746892ecfc48ca3befe651dc82f2030b5ecfcef9ff

피닉스 200

적응하기까지 조금 까다로운 필름이라 안된다는 말이 많아지긴 했지만 피닉스는 확실히 긍정적인 면에서 필름붐에 한 획을 긋고 있다.
아예 새로운 제품까지 개발해 나가며 꾸준히 개선된 완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잠깐의 유행으론 이룰 수 없는 엄청난 수요가 계산됐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이 100짜리 감도를 가졌음에도 거친 그레인과 과장된 색감은 막연히 입문자들이 필름색감이라고 하는 감성의 영역을 쉽게 표현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기도 한다.

이 필름을 한줄로 정리한다면
돌아다니며 자동카메라로 가볍게 툭툭 찍고 싶은 필름이라고 하고싶다.




038ef303b48569f038e682ec45897068ca8b1960fac82aeccded015fd731d23c2f


※7월 15일까지 하만 피닉스 200의 공식 유통사인 세기 P&C와 충무로의 현상소 포토마루가 협업하여
현상스캔비용을 피닉스 200에 한해 50% 할인하는 행사도 진행 중이다.

- dc official App


출처: 필름카메라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2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7779
썸네일
[기갤] "화나서 눈 돌아갈뻔", "아기가 먹게" 요청사항에 분통.jpg
[6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3741 398
237778
썸네일
[싱갤] 일본인이 말하는 한국 맛집 찾기
[355]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4164 374
237776
썸네일
[야갤] '여친' 돈 빌려산 하정우 그림, 파혼 후 돌려달라 했더니.jpg
[2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2589 145
237774
썸네일
[기음] 돈까스용 고기 구하는 방법.jpg
[219]
dd(182.213) 06.08 34748 152
237771
썸네일
[기갤] 나락보관소, 해명 입장문 떴다.jpg
[5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0207 415
2377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불펌하는 사이트가 싫었던 역식자.jpg
[3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6263 361
237768
썸네일
[카연] 은퇴한 전직 특수부대원을 건드려선 안되는 이유
[86]
전기톱장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9609 219
237766
썸네일
[야갤] 면죄부에 파업으로 응답... 도 넘은 의사 집단행동.jpg
[5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4138 169
237764
썸네일
[주갤] 빵 280개 예약주문해놓고 노쇼한 한녀
[722]
주갤러(110.13) 06.08 43779 709
2377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인의 홍어 먹어본 후기. manhwa
[374]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7481 331
237761
썸네일
[중갤] 헬다이버즈2 수송선 만들어봤어요
[92]
6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9953 148
237759
썸네일
[야갤] 오늘자 뻑가) 훈련병 사망, 중대장 관련 최신 상황 정리.jpg
[8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61880 1149
237758
썸네일
[새갤] "쌍방울 대북송금 일부, 이재명 방북 비용" 사법리스크 재점화
[24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5444 210
2377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V 배우랑 오나홀 콘돔 사러가기
[260]
ㅇㅇ(61.255) 06.08 60068 282
237753
썸네일
[야갤] "제가 더 비싸게 먹었네요", 뭔가 이상한 배달앱 가격.jpg
[5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1295 234
237751
썸네일
[일갤] 쓰시마 와타즈미 신사 한국인 출입금지 된 이유
[8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3608 389
237749
썸네일
[걸갤] 르세라핌 고소 인증 떳다
[849]
ㅇㅇ(211.62) 06.08 40057 770
237748
썸네일
[이갤] 강남 유명 치과 돌연 폐업 논란.jpg
[4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4572 284
237746
썸네일
[싱갤] 스압) 싱글벙글 한채영이 연예인 데뷔하게 된 과정..jpg
[144]
ㅇㅇ(122.42) 06.08 22240 190
237744
썸네일
[기음] ANA랑 루프트한자 일등석
[151]
sondu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0393 116
237743
썸네일
[야갤] 상표권 독점 실패 맥도날드, 다른 식당 '빅맥' 사용가능 이유.jpg
[1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1386 83
23774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하루에 12테이블만 받는다는 중국식당
[300]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5741 146
237739
썸네일
[이갤] 만리장성이 가장 거대하고 실패한 건축물인 이유.jpg
[5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1120 424
237738
썸네일
[새갤] 액트지오 고문 "유망성 높다"면서도…'리스크' 수차례 언급
[67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1349 195
2377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똥겜의 세계 - 'EZ2DJ' 上편
[206]
노무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8250 91
237733
썸네일
[야갤] 아마존에 인터넷이 깔리면? 너도나도 순식간에 '중독'.jpg
[2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1969 253
237731
썸네일
[카연] 최강 용사님! 3화
[51]
G_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679 72
237729
썸네일
[야갤] "제가 계모라 애 구박한대요".jpg
[2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6131 122
237728
썸네일
[싱갤] 스압) 오싹오싹 미국 여자 범죄자들의 머그샷 근황..jpg
[472]
ㅇㅇ(122.42) 06.08 46410 181
237726
썸네일
[이갤] 지구상에 현존하는 거대한 동물...jpg
[25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4816 242
237724
썸네일
[야갤] 20년 전 밀양 사건 총정리한 스브스뉴스.jpg
[2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2088 238
237723
썸네일
[필갤] 일본 슬라이드-2
[25]
Eyelev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8615 24
237721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부산대 분교 '밀양'캠퍼스 차별실태...jpg
[408]
ㅇㅇ(133.106) 06.08 29361 71
237719
썸네일
[기갤] 어렵게 살던 연극 배우들이 히트를 치며 숨통이 트인 순간.jpg
[1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3865 184
237716
썸네일
[로갤] 김포 북부 어드밴처 갔다왔어 ~ 김포 평화누리길 ~
[42]
프로브_(:3」∠)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9910 37
237714
썸네일
[야갤] 국가 흔든 초대형 스캔들, 나락가는 일본차.jpg
[2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7244 129
237713
썸네일
[이갤] MBTI 믿는 한국인들이 이해가 안되는 외국인.jpg
[7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5220 398
237711
썸네일
[싱갤] 일본 남학생이 여학생과 친구로 지낼 수 없게 된 이유...
[420]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5239 405
237709
썸네일
[군갤] 1970년 서울 현충원 테러미수 사건
[1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7889 151
237708
썸네일
[야갤] '인류 멸종 위험'에 입막음, 내부자들 폭로에 사표까지.jpg
[3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8299 125
237706
썸네일
[카연] 아싸히키드래곤 5화.manhwa
[82]
머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991 147
237703
썸네일
[유갤] 심수봉 선생님이 8년간 짝사랑했던 남자 ㄷㄷ
[332]
ㅇㅇ(89.187) 06.08 33984 237
237701
썸네일
[판갤] 되게 잘생긴 사위
[300]
판갤러(128.1) 06.08 52436 256
237699
썸네일
[싱갤] 게이게이 2024 남자 여름 쌉게이패션...jpg
[775]
ㅇㅇ(124.50) 06.08 62781 786
237695
썸네일
[야갤] 싸게 사서 좋고 환경에도 좋은, 중고 의류 '리세일' 인기.jpg
[1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8583 45
237693
썸네일
[이갤] 의뢰인 아내에게 반해 의뢰인을 배신한 변호사...jpg
[26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9938 219
23769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의 남편 저주 사이트
[526]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2616 277
237689
썸네일
[유갤] 한과영 출신 카이스트 학생들의 초라한 진로
[954]
유갤러(103.111) 06.08 48397 295
237687
썸네일
[야갤] 지금 속도면 '마지노선' 코앞, 곧 '기후 지옥' 시작될것.jpg
[5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2247 80
237685
썸네일
[이갤] 미국으로 이민 온 어느 한 중국인의 사연.jpg
[4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5023 46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