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김종국 통풍걸리기 전 식단수준 ㅇㅇ
- ‘영일만 석유’ 주장 美 액트지오, 40억 챙기고 떠나 한브라
- 2월 7일 시황 우졍잉
- 속보) 10명 탑승 여객기 알래스카 인근에서 실종 ㅇㅇ
- 명태균, 민주당에 ‘황금폰 특검’ 요청 세티르
- 싱글벙글 아나운서 준비하다가 식당하는 여사장님.jpg 최강한화이글스
- 싱글벙글 전쟁 중 어떤 영국 여성의 일상.jpg 최강한화이글스
- 미국에서 아이가 일주일 입원했더니 생긴 일 ㄷㄷㄷ.jpg ㅇㅇ
- 유튜버 JM 근황.jpg ㅇㅇ
- “죽은 며느리 돈벌이로 이용”…서희원 前 시모, ‘라방’으로 2억원 벌어 ㅇㅇ
- 650년 된 천종산삼 아파트 4채 값주고 사먹은 정주영 회장 감돌
- "화장실 갈래" 만취 女, 택시 멈추자 고속도로 질주…기사 폭행까지 ㅇㅇ
- 뉴럴링크 이식 환자 3명 근황 수직
- 뉴진스 인스타- 새 그룹명 NJZ Weeknd.
- 싱글벙글 K-웹툰 1황..... 외지주 ㄹ황.....jpg ㅇㅇ
충격! 신고 받고도 출동하지 않은 119... 시민은 결국 사망
사건이 발생한 곳은 일본 기후현 토키시 노숙 생활을 하고 있던 남성 한 명이 쓰러지는 일이 발생함 1월 13일 오후 6시 경 그 모습을 본 시민 한 명이 "(노숙자의) 상태가 평소와 다르다. 말을 걸어도 대답이 없다"라며 119에 신고를 했음 그러나 소방본부는 어째서인지 신고를 접수하고도 구급차를 출동시키지 않았음 심지어 신고장고와 소방본부는 불과 250m밖에 떨어지지 않은 매우 가까운 장소였는데도 신고를 묵살하고 방치한 것이었음 그렇게 12시간 이상 방치된 노숙자는 다음날인 14일 오전 6시 반 경 또다른 시민에게 발견되었고 "길 위에 사람이 쓰러져있다"는 두 번째 신고를 접수한 119는 그제서야 구급차를 출동시킴 하지만 현장에 도착한 대원들이 남성을 확인했을 때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음 [주민 1] (사망한 남성은 평소에) 걸음걸이도 괜찮아 보였어요 디만 이렇게 추운 겨울을 저런 곳에서 무사히 넘길 수 있을까 걱정은 됐죠 [주민 2] 사람의 목숨과 관련된 일이잖아요 소방이 출동하는 게 당연한 일이 아닌가 싶네요 시민의 지적처럼 '당연한 일'을 하지 않은 일본 소방 때문에 결국 한 생명이 헛되이 사라졌음 대체 왜 일본 소방본부는 구급차를 출동시키지 않았던 걸까? [토키시 소방본부 소방차장] 119 신고가 있었는데 출동하지 않는 일은 없습니다 구급요청이 있으면 반드시 출동합니다 다만 이번에 출동하지 않았던 것에 관해서는 현재 내부적으로 검증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검토중에 있습니다 쪽본 소방 : 119 신고가 있으면 반드시 출동한다! (무시하고 12시간 넘게 방치하며) 인명 경시는 쪽발이들의 유구한 전통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어디든 가겠다" 절반 넘겼다…팍팍한 현실에 '절박'.jpg
오늘은 구직과 이직 관련한 이야기 들고 나오셨네요. 취업 준비생들은 자신이 가고 싶은 목표 기업을 정해놓고 준비하기 마련인데 올해는 그런 경향이 흐려졌다고요?취업준비생에게 목표하는 기업 형태가 뭐냐, 그러니까 어떤 기업에 들어가고 싶냐고 했더니 절반이 넘는 55.2%가 취업만 되면 어디든 관계없다고 답했습니다.지금 취업하기가 얼마나 팍팍한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그 뒤를 잇따르는 순위를 봐도, 마치 순위가 뒤바뀐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15.1%로 2위를 차지했고요.중견기업이 3위, 공기업 공공기관이 4위 대기업 외국계기업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지금 가장 절박한 마음을 보여주는 게 합격만 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게 절반이 넘게 나왔다는 거잖아요.경기 불황으로 취업난이 계속되면서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목표기업을 설정하기보다 합격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이렇게 기업 형태와 무관하게 취업하고 싶은 이유에 대해서는 복수응답으로 '빨리 취업해야 해서'가 역시나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요.'길어지는 구직활동에 지쳐서', '남들보다 스펙 등 강점이 부족해서', '경기가 좋지 않아 채용이 줄어들어서' 등이 높은 비율로 응답이 나왔습니다.이외에도 '목표기업에 들어가기 힘들 것 같아서', '기업 형태보다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 '일단 취업 후에 이직할 계획이라서'라는 답변도 있었습니다.한 기자가 소개해주신 답변들 중에서 저는 일단 취업에 먼저 성공을 하고 나중에 이직을 하면 된다. 이 답변이 좀 눈에 띄는데요. 올해도 이직하시고 싶어 하시는 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요?경기 침체로 이직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도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올해 이직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이직의 이유는 역시 돈이었습니다.복수응답으로 받았는데요.'더 많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가 56%로 가장 많았고요.'회사의 비전이 없고 성장이 정체돼서'와 '업무역량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어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직급별로는 대리급이 76%가 넘어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부장급, 과장급, 사원급이 이었고요.임원급이 이직 의향이 가장 낮았습니다.하지만 계획만 원대했을까요, 올해 이직을 계획한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이직에 성공할 자신이 없다고 답했는데요.이직에 자신이 없는 이유로는 상황적인 요인이 많았습니다.가장 많은 답변이 '경기침체가 이어질 것 같아서'가 71.6%로 1위를 차지했고요.'실제 입사 지원할 만한 채용이 적을 것 같아서'가 58%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이 외에도 커리어 스펙이 부족하고 경쟁자들의 실력이 향상돼서 평준화되어 있고, 또 국제 정세 등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답변도 나왔습니다.반대로 올해 이직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직장인도 경기가 안 좋고 불확실성이 크다는 걸 가장 많은 이유로 꼽았습니다.그렇군요. 올해 이직 준비하시는 분들은 지금부터 조금 주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직 그러니까 경력직 채용과 관련한 정보 가지고 오셨다고요?지난해 경력직 채용이 가장 활발했던 직무는 개발·데이터로 나타났고요.합격자들은 평균 8년 차에 이직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지난해 채용수요가 많은 직무는 개발·데이터 말고도, 마케팅·광고와 영업, 엔지니어링, 디자인이 뒤를 이었습니다.산업별로 보면 역시 개발·데이터 쪽이 많은 IT·정보통신업이 35%로 가장 높았습니다.경쟁이 높았던 데는 어딜까요?개발·데이터가 영업과 함께 가장 높았습니다.디자인과 마케팅·광고·MD가 3, 4위를 차지했고 회계 세무가 그다음이었습니다.개발·데이터는 공고와 지원자가 모두 많아 지난해 가장 이직이 활발한 직무라고 할 수 있겠죠.이직에 성공한 합격자 평균 경력은 앞서 말했듯이 8년 차였는데요.숙련되면서도 한창 일 할 수 있는 실무자, 또 중간관리자가 합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경력 8년 차면 30대라고 할 수 있죠.30대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9만 명 늘어나는 등 실제 취업과 이직이 많은 것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보고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