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미국을 혼란에 빠트린 이 괴물체의 정체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10.15 11:24:42
조회 3732 추천 18 댓글 10





미국을 혼란에 빠트린

이 괴물체의 정체는?



카스피해의 괴물이라 불린 

하늘을 나는 함정, 에크라노플랜 






1976년 8월, 냉전체제 당시


첩보위성으로 소련을 감시하던 미국은


카스피 해에 시속 500km로 달리는


'괴물체'를 발견하고 혼란에 빠집니다.







미 국방부, 펜타곤 / 출처 : 위키미디어




발견한 괴물체는 배로 보기엔 너무나 빨랐고
그렇다고 또 비행기로 보기엔 너무 낮게 날았습니다.


당시 기술 수준에서 빠른 속도로
바다를 질주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미국은 이 괴물체를


카스피 해의 괴물
(Caspian Sea Monster)


로 불렀습니다.







출처 : 러시아 해군




훗날 밝혀진 이 괴물체는


일명 물 위를 나는 배라고 불리는


위그선(Wing-In-Ground Effect Ship)이었습니다.
* 러시아명 에크라노플랜(Ekranoplan)





출처 : Craig Hester · Caspian Sea Monster Ekranoplan Flight Video






출처 : 러시아 해군




1960년대부터 소련이 개발하기 시작한


위그선은  'Wing In Ground'의

머리글자를 따 지어진 이름으로


표면효과를 이용해
해수면 가까이 떠서 나는 '배' 입니다.


배다 비행기다 논란이 많았지만
1990년대 후반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으로
분류해 위그선은 해수면을 날지만 배입니다.







위그선 초기 모델이었던 SM-1 / 출처 : 러시아 해군




위그선은 소련의 약점이었던 수송력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1961년, 첫 번째 결과물이었던 SM-1은
길이 20m에 날개폭 10m로 속도는 200km까지 낼 수 있었습니다.


가능성을 확인한 소련은 개발을 거듭한 끝에
1966년, 드디어 첫 대형 위그선 KM을 개발합니다.







첫 번째 대형 위그선 KM / 출처 : 러시아 해군




그리고 최종적으로 탄생한 것이


룬급 위그선입니다.








출처 : 러시아 해군



룬급 위그선 항해 영상 / 출처 : nhan tam · Video Lun class Ekranoplan (Caspian)




길이 73m
날개 44m
높이 19m


최대 속력 550km
수용가능 무게 137톤


거기에 6기의 대함미사일
7,500m 상공으로 긴급 비행까지 가능한



진짜 괴물을 만들어냅니다.







대함미사일 발사하는 에크라노플랜 / 출처 : 러시아 해군




하지만


룬급 위그선은 딱 한대만 생산되었는데..
그 이유는


해수면에 파도가 일면 표면효과가 무너지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악천후에 취약했죠.
파고가 낮아야 운행이 가능했습니다.







카스피 해에 정박해 있는 룬급 위그선 / 출처 : 러시아 해군




소련은 120대 양산을 계획했지만


악천후라는 좀 황당한 단점으로 인해


1대의 룬급 위그선만 생산되고

지금은 퇴역하여 카스피 해에 방치되어 있습니다.







출처 : 유튜브 wow 동영상 캡쳐



하지만 소련은 위그선을 활용한
더 큰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는데요.


바로 위그선 항공모함입니다.



사실일까요?


위그선 항공모함의 사진과 동영상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소련이 계획했던 위그선 항공모함? >






출처 : 유튜브 wow 동영상 캡쳐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0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196 한미 연합우주작전 협력 다짐…공군작전사령관·美 우주작전사령관 첫 양자대담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76 0
1195 한화 방산사, ‘L-SAM’ 중동시장 첫 공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1 0
1194 “K9 자주포 이집트 달린다!”…한화에어로, 이집트 K9 사업 본격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1 0
1193 北 탱크부대 정밀타격할 ‘특수작전용 공격 드론’ 올해 도입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9 0
1192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2025년 동계 설한지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93 0
1191 해군 특전요원(UDT/SEAL) 혹한기 훈련…해안침투, 고속기동 항해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68 0
1190 해군, 헬기 이·착함 자격 연합·합동 해상훈련 실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1 0
1189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합참 지휘통제실 찾아 군사대비태세 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9 0
1188 2025년 예비군 훈련 시작…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도약의 해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66 0
1187 합참의장, 태국 총사령관 접견…아세안 핵심국가 태국과 군사협력 강화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6 0
1186 방위사업청, 견고한 “한-폴 방산협력”, 이상 무!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53 0
1185 합참의장, 서부전선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3 0
1184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식… 필승해군 4.0을 선도하는 기동부대 창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54 0
1183 공군, 2024년 공군을 빛낸 인물·단체 시상식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59 0
1182 해군·해병대, 2025 코브라골드 연합훈련 참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5 0
1181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 계기 정조대왕함 항해 및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38 0
1180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설 명절 맞아 9사단 경계부대 장병 격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37 0
1179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에스토니아 국방장관 접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3 0
1178 김명수 합참의장, 아파치 지휘비행으로 서부전선 군사대비태세 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5 0
1177 방사청장, 위성통신 및 데이터서비스 전문 노르웨이 기업 'KSAT'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01 0
1176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 접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88 0
1175 올해 첫 韓美 공군 쌍매훈련 항공촬영 사진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703 2
1174 韓美 특수부대 시가전, 육상침투 등… 한미 해군 연합 특수전훈련 실시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752 5
1173 공군, 올해 첫 공지합동 통합화력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56 0
1172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혹한기 공지합동 통합화력운용 실사격 훈련현장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47 0
1171 Z세대 병사들의 새해 군 생활 목표 해시태그 1위는?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04 6
1170 숨 거두는 그날까지 기다렸건만…고 박용수 일병, 안타까움 속 가족 품으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937 8
1169 방사청장, 사우디 국방부처와 양국 정부·업체 참여 방산협력체계 출범 합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96 1
1168 ‘차기 호위함의 최종판’ 울산급 Batch-IV 사업 본격 착수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175 12
1167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합동 대테러 저격사격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00 1
1166 포병부대 사격 능력 대폭 향상…방사청, ‘자동측지장비’ 성능 개선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2631 1
1165 北 장사정포 막는 수도권의 방패,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 본격화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2596 4
1164 韓美공군, 올해 첫 쌍매훈련 시작… 美 A-10 퇴역 앞두고 마지막 참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414 0
1163 K2·K9 등 K-무기체계 UAE 간다… 한-UAE 양국 연합훈련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455 2
1162 합참의장, "NLL은 70년 넘게 목숨 바쳐 사수한 불변의 해상경계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6488 8
1161 해군 심해잠수사, 동·서·남해 일제히 혹한기 내한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573 1
1160 방사청, 잠수함의 안전한 입출항을 책임질 ‘잠수함용예인정-Ⅱ’ 구매사업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338 0
1159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성능개량 사업 착수…국산 전투체계로 탈바꿈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6079 4
1158 ‘L-SAM’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 양산 착수…한국형 다층 방공망 구축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319 0
1157 록히드마틴 시코르스키·샤프테크닉스케이, 국내 첫 ‘S-92 헬기 지원센터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689 0
1156 해병대 국산 상륙공격헬기 초도비행 성공…2026년 하반기 개발 완료 목표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586 3
1155 방사청, ‘L-SAM-II’ 고고도요격유도탄 체계개발 착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49 0
1154 軍 ‘개선형구급차’ 개발 성공…첨단기술로 장병 생명 지킨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058 1
1153 K계열 장갑차, 통합계기판·전후방 카메라 설치…더 쉽고 안전하게 조종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18 0
1152 한미 공군, 올해 첫 연합 실사격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11 0
1151 미국 B-1B 전략폭격기 전개 하 한미일 공중훈련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96 0
1150 병무청, 올해 1월 13일부터 병역판정검사 시작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1081 0
1149 국방부, 제4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공동언론성명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307 0
1148 HD현대重, 페루 함정 건조 착수…호위함 등 4척 공동착공식 개최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787 1
1147 공군학생군사학교 창설… 체계적·전문적인 학군단 교육환경 구축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1214 2
뉴스 [부고] 박창식(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 전 국회의원)씨 부친상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