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벤츠 끝판왕 S클래스 VS 마이바흐 실물 비교해보면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16 10:14:04
조회 3880 추천 4 댓글 11
														



고급차의 대명사인 S클래스, 하지만 현행 모델은 공개 전부터 디자인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하지만 막상 출시되고 나니 디자인 논란은 어디로 갔는지 기본 1억이 넘는 수입 프리미엄 대형 세단이 판매량 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역시 S클래스 저력은 대단했다.


일반모델 출시 이후 마이바흐 모델도 출시되었다. 다만 아직은 V8 4.0리터 모델인 S580 마이바흐만 판매되고 있다. 같은 S클래스이지만 일반 모델과 마이바흐 모델의 외관 모습은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실물 사진을 보면서 비교해 보자



전면은 그릴과

범퍼 디자인이 다르다

S클래스 마이바흐는 기본적으로 S클래스 파생모델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디자인은 동일하다. 하지만 호화 모델인 만큼 그에 맞게 디테일한 부분에서 변경이 이루어졌다. 우선 그릴 디자인이 달라졌는데, 일반 모델에서는 크롬 패턴이 정중앙에 세로로 하나, 가로로 세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는 검은색 파츠로 길쭉한 사각형 패턴이 무수히 많이 배치되어 있지만 크롬 색상이 눈에 띄다 보니 그렇게 잘 보이지는 않는다. 중앙에는 레이더가 배치되어 있다.


마이바흐 모델은 전체적으로 크롬 패턴이 세로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로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디자인적으로 더 고급스럽게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롤스로이스나 일부 벤틀리 모델의 그릴 패턴을 살펴보면 세로 패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릴 중앙 상단에 마이바흐 레터링이 새겨져 있다. 중앙에 레이더가 배치된 것은 일반 모델과 동일하나 그릴 패턴 때문인지 눈에 잘 띄지는 않는다.


범퍼 디자인도 다르다. 일반 모델의 경우 고급스러움보다는 스포티함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전면 인상이 S클래스 치고는 상당히 공격적이다. 아무래도 시대 변화에 따라 고급차라도 디자인이 점차 젊어지다 보니 과감하게 디자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고급차라는 것을 표현하고는 싶었는지 크롬 파츠를 에어커튼과 범퍼 하단에 적용했다.


반면 마이바흐 모델은 에어커튼 면적을 더 넓히고 내부에 크롬 파츠를 제외한 대신 테두리 전체에 크롬 파츠를 적용했다. 또한 내부 그물 패턴이 일반 모델보다 더욱 눈에 띈다. 중앙에 있는 에어 인테이크의 디자인도 정사다리꼴에서 역사다리 꼴로 변경되었으며, 에어커튼 면적이 넓어진 만큼 에어 인테이크의 면적은 좁아졌다. 범퍼 하단에 크롬 파츠가 별도로 하나 더 있는 점이 특징이다.


측면에서 생각보다

꽤 많이 차이 난다

다음은 측면 모습이다. 일단 한눈에 봐도 마이바흐 모델이 길이가 더 길어 보인다. 주차칸을 살펴봐도 일반 모델은 범퍼만 주차칸 밖으로 튀어나간 정도이지만 마이바흐 모델은 휠 중앙까지 주차칸 앞으로 튀어나간 모습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일반 모델이 짧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일반 모델도 S350d가 5.2미터가 조금 안되고, 나머지는 5.2미터를 넘는다. 자세한 제원은 아래에서 살펴보자.


또한 차체 위쪽에는 기본 도장과 다른 색상을 선택해 투톤 도색이 가능한데, 이는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취향에 따라 원톤으로 해도 되고 투톤으로 해도 된다. 투톤이 상당히 개성 넘치는 데다 고급스러움까지 높여주니 대부분은 투톤 색상을 선택한다.


측면 윈도우를 살펴보면 일반 모델은 2열 뒤 쿼터 글라스가 따로 없으며, B필러가 블랙 하이그로시로 처리되어 있는 반면, 마이바흐 모델은 2열 뒤 쿼터 글라스가 존재하고 B필러가 크롬으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열 좌석도 쿼터 글라스 공간만큼 뒤로 더 가 있는데, 문을 열었을 때 뒷좌석 탑승객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그 외 차체 하단에 있는 크롬 가니쉬의 위치에도 차이가 있다. 일반 모델에는 사이드 스커드 아래에 위치해 잇지만 마이바흐 모델에는 도어 하단에 존재한다. 그리고 휠 디자인에도 차이가 있는데, 일반 모델에는 무수히 많은 멀티 스포크 디자인이 적용된 반면, 마이바흐 모델에는 일명 불판휠이라고 불리는 브레이크 디스크 전체를 가리는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물론 마이바흐 모델도 옵션 선택을 통해 무수히 많은 멀티 스포크 휠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범퍼 하단을 제외하고

큰 차이 없는 후면

후면은 차이점이 적은 편이다. 마이바흐의 투톤 도색은 취향에 따라 원톤 옵션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이점이라고 할 수는 없다. 테일램프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크롬 가니쉬가 동일하고, 중앙에 벤츠 로고가 새겨져 있는 것까지 동일하다.


차이점을 찾자면 테일램프 위쪽에 새겨진 레터링이 다른 것과 범퍼 하단 디자인이 변경된 정도다. 일반 모델은 얇은 크롬 라인에 아래쪽에 평행사변형에 가까운 머플러, 중앙에 크기가 작은 디퓨저가 적용되어 있지만 마이바흐 모델은 위쪽에 크롬 라인의 두께가 더 두껍고, 머플러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내부에 크롬 파츠를 통해 상하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중앙에 디퓨저가 사라지고 아래쪽에 크롬 가니시가 적용되어 있다.

S클래스에 대한

디자인 평가

S클래스에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공개 전부터 별로 좋지 않았다. "벤츠가 중국차화 되어 가고 있다", "디자이너들이 요즘 일을 안 하는 거 같다", "이전 모델도 처음 나올 때 최악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지금 보니깐 예쁜 편이었다", "각벤츠 시절이 그립다"등의 반응이 있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점차 눈에 익어가서 그런지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예전보다는 괜찮아진 편이며, 마이바흐 모델은 투톤 도색과 불판휠 덕분인지 포스가 넘친다는 반응이 꽤 있다. 무엇보다 외관 디자인적으로는 혹평을 받고 있지만 실내 디자인은 꽤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옵션 사양도 상당히 훌륭하다 보니 판매량은 수입차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크기 비교

마이바흐 모델은

5.4미터가 넘는다

크기 비교를 살펴보자. 아무래도 F세그먼트급 대형 세단이다 보니 기본적으로 다 5미터는 넘는다. S클래스 일반 모델을 살펴보면 트림별로 크기가 조금씩 다르다. 가장 큰 S500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장 5,320mm, 전폭 1,955mm, 전고 1,505mm, 휠베이스 3,216mm이다. 이상하게 상위 트림인 S580이 이보다 길이가 약간 짧다.


반면 마이바흐 모델은 전장 5,470mm, 전폭 1,955mm, 전고 1,510mm, 휠베이스 3,396mm이다. 전장과 휠베이스가 상당히 길어졌으며, 이 길어진 길이는 모두 뒷좌석 공간을 늘리는 데 활용되었다.

엔진 제원

S580과 마이바흐는

동일한 엔진 사용

다음은 엔진 제원을 살펴보자. 일반 모델은 디젤과 가솔린 두 가지가 있으며, S350d와 S400d는 I6 3.0리터 디젤 엔진을 사용해 각각 286마력 61.2kg.m, 330마력 71.4kg.m을 발휘한다.


S450과 S500은 I6 3.0리터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해 각각 367마력 51.0kg.m, 435마력 53.0kg.m을 발휘한다. S580과 S580 마이바흐는 V8 4.0리터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해 503마력, 71.4kg.m을 발휘한다. 높은 출력 덕분인지 크고 무거운 대형 세단임에도 불구하고 가속 성능은 월등한 편이다.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1367 한때 정식 판매조차 ‘불법’이라 몰래 수입해서 겨우 팔았던 수입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548 1
1366 결국 본전도 못 찾는다? 전기차 살 때 싼 유지비만 보면 큰일 납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410 2
1365 “디자인 도저히 못 봐주겠다” 라며 한국 출시조차 거부할 정도인 수입차 [5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1360 4
1364 “민원 153배 증가했다” 알고 보면 제일 얄미운 얌체 주차 유형이라는 ‘이것’ [2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4276 7
1363 민식이법 놀이라고? 요즘 학생들이 지나가는 오토바이 조롱하려고 하는 행동 [6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5575 23
1362 경찰이 틀렸다, 국과수 대반전 조사 결과로 드러난 아이오닉 5 화재 원인 [6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5201 6
1361 아직 국내 출시되지도 않았는데 벌써 사전계약자들 줄 서는 수입차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3583 2
1360 사전 계약만 1만대…쌍용 토레스 VS 르노 QM6 비교해보니 충격적인 결과 드러났다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3405 1
1359 디자인은 ‘포르쉐도 한수 접을 정도’라는 쉐보레 신차는 바로 이겁니다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4909 3
1358 중앙선 침범하고도 당당해, ‘상식’이 통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렇게 행동합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4643 4
1357 거짓말 아닙니다, 세계최초 ‘0 에어백’ 달성한 러시아 자동차 산업 근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872 1
1356 “쌍용차만도 못해” 가히 충격적이라는 신형 이쿼녹스 실내 인테리어 수준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983 1
1355 시작 가격 15억, 한국에 딱 2대 들어왔다며 난리난 역대급 슈퍼카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3392 5
1354 “공무원보다 낫다” 신고만 2,031건, 하루 과태료만 500만 원 물린 시민 [5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4749 32
1353 쏘렌토 급이라고? 쌍용 토레스 제원 파보니 놀라운 결과 드러났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745 1
1352 아반떼 페이스리프트 최초 포착? 의문의 테스트카 정체 드디어 알아냈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705 1
1351 자꾸 억울하다고 하는데…요즘 계속 욕 먹고 있는 ‘이 동호회’ 수준 [4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4065 17
1350 예상도 공개되자마자 ‘현대차 라이벌’ 소리듣더니 결국 실체 드러났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680 1
1349 요즘 뉴스에도 자주 등장하는데…’신종 과학’으로 떠오르는 중인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56 5
1348 “무슨 중고차도 아니고” 신차 샀는데 주행거리 100km 찍혀있는 차 받을 수도 있습니다 [4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267 7
1347 김일성부터 박정희까지…롤스로이스 못 사는 사람들 차고에 꼭 존재했던 수입차 [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3789 14
1346 놀라운 ‘이 조건’만 충족되면 한 번에 차선 4개 옮겨도 법규 위반 아닙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607 2
1345 국내 가격 1,350만 원? 미국에선 5분 만에 20만 대 완판 기록한 트럭입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832 1
1344 대체 월급이 얼마길래…KBS 메인 기상 캐스터가 구매한 슈퍼카의 정체 [7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6718 17
1343 “내 차는 승용 화물차” 픽업트럭 1차로 정속주행 가능하다는 발언에 난리났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452 1
1342 “문 한번 열면 게임 끝” 쌍용차도 감히 만들어내지 못한 역대급 수입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842 2
1341 한국 출시 확정? 북미에서 초대박난 쉐보레 슈퍼카의 예상 가격은 이 정도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578 3
1340 전기차로 부활하나? 트랜스포머에 나왔던 ‘그차’ 11년 만에 단종됩니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668 3
1339 “전세계 3대 있죠” 한국서 딱 하루 포착됐다가 소리소문 없이 사라진 슈퍼카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3623 9
1338 “무려 50년이 걸렸습니다” 아이오닉5 유럽판이라 불리는 전기차 등장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616 1
1337 “철수 고민중입니다” GM 본사도 포기하게 만든 한국 GM 노조의 요구 수준 [4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3990 19
1336 “진짜 운전대 놓고 탄다” 요즘 역대급 실적에 날뛰는 현대가 또 일냈습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547 1
1335 “업계 비밀 다 폭로합니다” 제주도 직원이 알려주는 렌터카 독박 안 쓰는 법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4199 6
1334 강남에서 포착, 포르쉐도 한수 접고 들어가는 성능 자랑했던 역대급 수입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486 1
1333 “현대기아차 사랑해요” 외국 도둑들이 K-자동차에 푹 빠진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628 2
1332 부가티는 귀여울 정도,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하이퍼카 출시됐습니다 [2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3108 6
1331 단속 시작하자마자 15대 걸린 ‘이것’, 다음 달부터 면허취소 될 수도 있습니다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3220 5
1330 한국 3대 대기업 여직원이 무면허 상태로 회사차 몰래 운전하다 사고내자 벌어지는 일 [4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7168 34
1329 “중국이랑 다를 게 없네” 캠핑족들이 머무르고 간 곳의 실태는 이렇습니다 [1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6060 55
1328 “음주공화국 만세” 20대 만취자가 받게 될 처벌 수준이 고작 이 정도입니다 [5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648 28
1327 테슬라로 돌 한번 잘못 밟았다가 2천만 원 생돈 쓰게 생겼습니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60 4
1326 “모두가 분노에 차 올랐죠” 전동 킥보드 타고 뺑소니 친 양아치의 최후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643 7
1325 “단종 아닙니다” 현대차가 직접 밝힌 쏘나타 향후 계획 속에 숨은 놀라운 사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25 3
1324 불법 행위 아닌가? 요즘 갑자기 번호판 없는 차들이 도로에 나오는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80 2
1323 “회장님 지시입니다” 현대차가 퇴사하는 MZ 세대 잡겠다며 추진한 한 가지 [6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088 13
1322 핸들 살짝 돌렸을 뿐인데…이 차는 곧바로 뒤집어 질 수도 있습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701 1
1321 20대 후반 사회초년생이 BMW 신차 120개월 할부로 사면 감당해야 할 유지비 [4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111 6
1320 전국 차주들 역대급 분노중, AS 신청 했는데 대기기간 2년이라는 제조사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546 1
1319 “문 정부가 책임져라” 최근 난리 났던 광주형 일자리 결국 이런 결말 맞이했다 [19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013 153
1318 한국 진출설까지 들리던 테슬라 대항마 근황, “회사 망하게 생겼습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665 1
뉴스 문소리, ‘폭싹 속았수다’ 애순으로 시청자 울린 이유는 디시트렌드 04.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