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영화감독을 어떻게 하는지 몰랐던 장항준 ㅋㅋ 해갤러
- 나의 형과 이토준지.Manhwa 동동
- 커리어 손해로 괴로워하는 아내(블라) 긷갤러
- 미국인들 개빡치게한 한국 법원 ㅁㅇㄴ
- 실베간 재산 50억, 80억 남자들이 0표 받은 이유는 선동이다. ㄷㄷㅇㅌㄲ
- 연예인 거품 좀 빠져야하는데 슈붕이
- 오사카 24컷 JVDN
- 티파니 생일때문에 전부 모인 소녀시대 멤버들.jpg ㅇㅇ
- 싱글벙글 대륙의 봉지 맥주 냉동상싯두
- 블라) 우즈벡 국제결혼 계약금 내고 왔습니다 주갤러
- 동유럽에 한국남자 혼자가면 생기는 일.jpg ㅇㅇ
- 지난달 24일 저녁, 서울 강남구의 한 음식점 ㅇㅇ
- 한국인들이 애써 외면하는 대한민국의 현실 근로환경ㄷ 구너
- GTA 온라인보다 핵으로 더 곱창난 레데리 온라인 근황 ㅇㅇ
- 헬스 트레이너였던 마동석이 찐친 백지영에게 말한 꿈 ㅇㅇ
이스라엘 “한국 방공망 공동개발하자”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43185 "극초음속 미사일 위협적…韓·이스라엘, 방공망 공동개발하자"아이언돔 만든 '라파엘' 유발 베이스키 부사장 인터뷰 北·이란,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본격 배치땐 방어시스템 와해 요격체계 혁명적 접근 필요해 차세대 방어체계 구축 성공땐 전략적·경제적 이익 막대할 것 라파엘 '스카n.news.naver.com- dc official App"극초음속 미사일의 대두가 방공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한국과 이스라엘이 방어체계 구축에 힘을 모을 것을 제안합니다."아이언돔으로 유명한 이스라엘 방산기업 라파엘의 유발 베이스키 부사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북한과 이란은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상당한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베이스키 부사장은 오는 9월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극초음속 미사일은 대기권 내에서 마하 5(초속 약 1.7㎞) 이상의 속도를 내며, 수평·수직 기동까지 가능한 무기다. 기존 탄도미사일은 대기권 밖까지 발사됐다가 낙하하는 단순 궤적으로 요격이 비교적 용이하다. 최대 속도가 마하 25에 달하지만 대기권 진입 후 공기 저항 등으로 목표물 타격 전 마하 3~5까지 느려지는 한계도 있다. 순항미사일은 저고도에서 고기동 비행이 가능하다는 점은 극초음속 미사일과 같다. 다만 대부분 아음속에 불과해 속도에서 큰 차이가 있다.북한은 지난 1월 관영매체를 통해 새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평양 외곽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고도 약 100㎞에 도달한 뒤 약 42.5㎞ 높이에서 '두 번째 정점'을 형성하며 활공해 동해상의 목표물에 명중했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 정점은 포물선 궤적으로 하강하지 않고 저고도에서 높이를 유지·기동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성을 의미한다. 이스라엘 인접국인 이란은 2023년 파타흐-1 미사일을 공개하며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을 알렸다. 파타흐는 아랍어로 승리를 가져오는 자를 뜻한다.베이스키 부사장은 극초음속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려면 "혁명적인 새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모든 방공체계는 요격 대상보다 훨씬 빠르게 비행하는 능력에 바탕을 둔다"며 "속도를 조금씩 빠르게 개선하는 일은 한국전쟁 때 제트기가 처음 등장한 이후 60년간 지속된 해법"이라고 말했다.이어 "하지만 극초음속 미사일에는 이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다"며 "통상 3배 빠른 속도를 가정하는데, 마하 10으로 움직이는 비행체를 격추하기 위해 마하 30의 방공망을 갖추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기술로는 공기와의 마찰저항 때문에 대기권 내 마하 30 비행은 불가능하다.농구의 지역방어가 극초음속 미사일 방공망의 한 방안으로 거론된다. 베이스키 부사장은 미국 프로농구(NBA) 슈퍼스타 르브론 제임스를 예로 들었다. 그는 "한 요격 미사일이 한 극초음속 미사일을 추적하는 것은 르브론 제임스를 혼자 전담 수비하는 것과 같다"며 "그의 뒤를 쫓기에 바빠 득점을 막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방어 전략을 생각해야 한다"며 "여러 명이 각각 코트의 특정 위치에 서서 수비하는 편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각 수비수가 자기 구역을 책임지고, 그 안으로 들어오는 공격자를 막는 농구의 지역방어 개념과 같다.- 이스라엘 한국에 아이언돔 개발 러브콜 "극초음속 미사일 위협적…韓·이스라엘, 방공망 공동개발하자"https://naver.me/G7CZSwmf "극초음속 미사일 위협적…韓·이스라엘, 방공망 공동개발하자"아이언돔 만든 '라파엘' 유발 베이스키 부사장 인터뷰 北·이란,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본격 배치땐 방어시스템 와해 요격체계 혁명적 접근 필요해 차세대 방어체계 구축 성공땐 전략적·경제적 이익 막대할 것 라파엘 '스카naver.me우리나라가 군수품 생산 능력자인가봄??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싱글벙글 2차 세계대전 시기 추축국을 알아보자
* 국명은 정식 명칭으로 기재함1. 대독일국 (Großdeutsches Reich) - 주요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 - 추축국의 리더 - 1936년 제1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맺어진 베르사유 조약 이행 거부 선언 - 1938년 국민투표로 오스트리아 병합,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 강제 병합 - 1939년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패배로 위축 - 1945년 5월 항복, 종전 이후 동서독 분할 - 1938년 독일에 병합된 오스트리아는 전후 SCAPIN 1757, 1912호에 의해 다른 추축국과는 다른 '특수 지위 국가(Special Status Nations)'로 분류됨2. 대일본제국 (大日本帝国) - 주요 지도자: 쇼와,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추축국 중심국 - 1937년 중일전쟁 - 1940년 이후 태평양 지역 점령 - 1941년 진주만 공격 감행 - 1945년 8월 항복3. 이탈리아 왕국 (Regno d'Italia) - 주요 지도자: 베니토 무솔리니, 피에트로 바돌리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1922년 무솔리니 집권으로 파시즘 창시 - 1936년 에티오피아 합병 - 1939년 알바니아 합병 - 1943년 무솔리니 실각, 추축국 이탈 후 연합국 가입 - 전후 SCAPIN 1757, 1912호에 의해 다른 추축국과는 다른 '특수 지위 국가(Special Status Nations)'로 분류됨여기까지가 가장 중요하고, 잘 알려진 추축국 --------------4. 헝가리 왕국 (Magyar Királyság) - 주요 지도자: 호르티 미클로시 - 추축국 설립 아이디어를 낸 국가 - 추축국 내에서 준메이저 국가 - 1945년 소련에 의해 점령 당하기 전까지 추축국으로 남음 - 1945년 소련에 점령 당하여 공산화 됨5. 루마니아 왕국 (Regatul României) - 주요 지도자: 이온 안토네스쿠 - 소련에게 빼앗긴 베사라비아(몰도바) 지역을 수복하기 위해 추축국 가입 - 1944년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추축국 동맹 파기 - 1945년 소련에 점령 당하여 공산화 됨6. 불가리아 왕국 (Царство България) - 주요 지도자: 보리스 2세 - 마케도니아와 서트라키아 지역 수복을 위해 추축국 가입 - 1944년 추축국 이탈, 연합국 가입 - 1945년 소련에 점령 당하여 공산화 됨7. 핀란드 공화국 (Suomen tasavalta) - 삼국 동맹 조약은 체결하지 않아 완전한 추축국은 아니나 독일의 지원하에 소련을 공격하여 추축국으로 분류됨 - 겨울전쟁 당시 소련에게 빼앗긴 카렐리아 지역 수복을 위해 전쟁 가담(계속전쟁) - 해당 지역 수복 이후로는 독일의 전쟁 수행에 소극적으로 참여 - 1944년 소련과 정전 협정 체결 - 전후 공산화는 면했지만 카렐리아 지역은 다시 소련으로 귀속되어 현재까지 러시아령으로 남아 있음 (러시아 연방 카렐리야 공화국) - 전후 SCAPIN 1757, 1912호에 의해 다른 추축국과는 다른 '특수 지위 국가(Special Status Nations)'로 분류됨8. 이라크 왕국 (المملكة العراقية) - 삼국 동맹 조약은 체결하지 않아 완전한 추축국은 아니나 반영 정서로 자국 내 영국군 추방을 위해 1941년 독일과 동맹 체결 - 그러나 한 달 만에 영국군에 진압됨9. 타이 왕국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삼국 동맹 조약은 체결하지 않아 완전한 추축국은 아니나 빼앗긴 영토를 찾기 위해 프랑스 공격 - 일본의 타이 침공 이후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1942년 일본과 동맹 체결 - 쁠랙 피분송크람 실각 이후 일본의 전쟁 수행에 소극적으로 참여 - 전후 SCAPIN 1757, 1912호에 의해 다른 추축국과는 다른 '특수 지위 국가(Special Status Nations)'로 분류됨10. 가장 고귀한 산마리노 공화국 (Serenissima Repubblica di San Marino) - 집권 여당 산마리노 파시스트당(PFS)에 의해 이탈리아와 밀접한 관계 - 1940년 영국에 전쟁 선포 - 무솔리니 실각 후 PFS 실각, 신정부가 중립국 선포 - 1944년 PFS 재집권 후에도 중립 유지 - 1944년 연합국에 점령, 독일에 선전포고 하면서 연합국으로 참여11. 유고슬라비아 왕국 (Краљевина Југославија / Kraljevina Jugoslavija) - 1941년 추축국의 침공을 두려워하던 파울 왕자에 의해 삼국 동맹 조약 가입 - 사흘 만에 쿠데타 발생으로 파울 왕자 축출, 이후 추축국 이탈 - 전후 요시프 티토가 이끄는 공산주의 게릴라에 의해 공산화 됨 (소련에 의해 공산화 된 것이 아니라 자생적으로 공산화 된 것이라 위의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등과 달리 소련의 위성국이 아닌 소련으로부터 독립된 독자적인 사회주의 국가가 됨)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