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ROOM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ROOM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20중반녀가 띠동갑이 좋다니 견제하는 블줌마들 디씨망령
- 수업 중 바닥에 드러눕고 침 뱉고…교실내 럴커, 히드라 영우 폭증 조선인의안락사
- 기부 모금 세계신기록 깨버린 미스터비스트 rtOS
- 의외로 실사화 캐스팅0순위 여성슈퍼히어로...JPG ㅇㅇ
- 난 개추를 갈망하는 사람이였던것이다. 재업 Plena
- 팝콘과 콜라 든 李대통령 부부…시민들과 함께 ‘독립군’ 관람 엘프레시덴테
- 늬들이 그토록 원한 전세 없는 세상 ㅇㅇ
- 대만의 건물 등 도시 미관이 구린 이유 - 전문가 분석 ㅇㅇ
- 싱글벙글 무술 종목별 도장 분위기 ㄹㅇ.. ㅇㅇ.
- 내가 본 오컬트 영화 중 수작 이상 30편 후기 ㅇㅇ
- 교토 산토리 맥주공장 투어 후기 키타큐
- 고려 시대 상속 재판: 손변의 판결 도둑
- 오사카-히메지 왕복 192km 무사복귀... ErikA
- 소비자심리지수 4년만에 최고치 & 소상공인55.8% 매출증가 ㅇㅇ
- 락 밴드 폭망했다가 작곡가로 세계 1위 찍은 남자 롤갤러
광복절 연설서 한국 뺀 김정은…‘러시아 협력’ 강조
김정은한테도 패싱당하는거는 진짜 ㅋㅋㅋㅋㅋhttps://youtu.be/sk0LVEi89zQ- 김정은, ‘김일성 항일투쟁’ 흔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https://www.khan.co.kr/article/202508151800001#c2b “붉은 군대 공적” 김정은…‘김일성 항일투쟁’ 흔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국해방의 날’(광복절) 80주년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에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 1960년대 중반 이래 이어져 온 ‘해방은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결과’라는 북한의 역사 인식을 약화시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www.khan.co.kr김정은 “조선의 해방…붉은 군대 공적” 앞서 “러시아 없었다면 조선 해방 없었을 것” 전문가 “선대 업적 부정…러시아 이익 기대” 바뀐 역사관, 북한 주민이 얼마나 수용할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국해방의 날’(광복절) 80주년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에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 1960년대 중반 이래 이어져 온 ‘해방은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결과’라는 북한의 역사 인식을 약화시키면서까지 러시아와 밀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 개선문광장에서 열린 ‘조국해방 80돌 경축대회’ 연설에서 “조선의 해방을 위한 결전의 기록에는 세계 반파쇼 전쟁의 일선에서 영웅적으로 싸운 붉은 군대 장병들의 공적이 력력히 새겨져 있다”고 밝혔다고 15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항일혁명업적은 조선 인민이 개척한 자력독립 로정(노정)의 뚜렷한 증명”이라고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로씨아(러시아) 인민의 우수한 아들딸들의 숭고한 국제주의적 위훈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며 “오늘 조·로(북·러)친선관계는 력사에 전무한 동맹관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신나치즘의 부활을 저지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혈맹의 전통을 소급 적용해 러시아의 현재 역할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월 김 위원장은 같은 역사 인식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월9일 러시아가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전승절 80주년을 맞아 평양의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해 “로씨아의 전승절인 5월9일이 없었더라면 조선과 동방의 해방의 날인 8월15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대사관 방문은 처음이었고, 딸 주애가 동행했다. 해방은 소련군의 투쟁 성과라는 역사 인식은 북한의 기존 역사관과 충돌한다. 북한은 1963년부터 일제 군국주의를 물리친 것은 소련군이 아니라 김일성 주석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주장해왔다. 당시 소련과 외교 관계가 악화하자 기존의 소련군이 일제를 패망시켰다는 역사관을 버리고 북한의 독자 노선을 강조한 것이었다. 김 위원장이 역사 인식을 바꾼 것은 러시아와 밀착을 통해 얻는 체제보장과 경제적 이익에 사활이 걸렸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유라시아센터장은 “청진과 원산에 소련군이 투입돼 한반도를 해방시켰다는 러시아의 역사관을 북한이 소환해 동조한 것”이라며 “선대의 업적을 부정하면서까지 러시아로부터 얻는 이익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연설은 북한 매체가 지난 13일 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처음 공개한 데 이은 것이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러시아와 공동 노선을 취하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역사 인식을 북한 주민이 얼마나 수용할지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백두산을 거점으로 한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의 승리가 해방을 성취했다는 역사 인식은 백두혈통의 3대 세습의 정당성을 마련해주는 논거이기도 하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명분 없이 진행한 러시아 파병을 정당화하려고 ‘붉은 군대의 공적’을 내세운 것”이라며 “선대의 업적을 부정하는 것은 김 위원장의 권력을 흔드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연설에서 미국과 남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통상 남한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대북 제안과 대일 관계에 대한 비전을 내놓는 반면 북한은 조국해방의 날(광복절)에 러시아와 축전을 교환해왔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토붕고정닉
이재명 의료정책 기조, "1차 의료 강화부터" 법안 발의
1차의료를 강화해준다는데 왜 반대하지? 그건...지역 종병을 1차의료"지원"센터로 지정하기 때문임.1차 의료의 대표주자인 내과의사화는 책임은 늘고, 재정은 없는데 정책협조를 "의무"화 했다고 반발중.근데 뭐 어떡하누, 지역에도 의사가 없고, 필수과는 더더욱 없는데.이 정책 목표는 지역에서 일단 현존하는 1차 의료기관들이 책임지고 환자 관리하고,중증 아니면 종병으로 보내지 말도록 해서 제대로 된 진료도 없이 "많이 아프면 큰병원 가세요"로 종병에 몰리지 않게 해라.뭐 이런 얘기고, 종병에서 "야 니네 이런 환자는 보내지 말라니까" 할 수 있는 위계가 생길까봐 1차의원에서 반발 중.이 정책은 증원이나 의대신설 같은 장기적 개혁이 아닌, 당장 지역 종병에 몰리는 필수과 환자를 조절하는 방안인데아픈 환자 수가 그런다고 줄어들진 않겠지만, 최소화하면서 일단 지역 종병 필수과 로딩을 줄여보겠다는 긴급처방임당연히 검사장비나 진단 역량이 부족한 1차에선 그 책임을 우리가 지고, 종병 문지기나 하라고? 하면서 반발은 나올 수 있음.근데 뭐 어떡하누. 아무도 지방 필수과를 안 가서 어떻게든 당장 완화를 시켜놔야겠는데. 방법이 없지.
작성자 : 의갤러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