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남자 연예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남자 연예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냉혹한 동아리의 세계 4화 H_Life
- 13명으로 몽골군 1만명을 이긴 기적의 전투.jpg ㅇㅇ
- 트럼프, ‘백악관’ 진짜 부쉈다…거주 공간보다 큰 연회장 설치 중 ㅇㅇ
- ‘당신이 야구장 못간이유’ 암표 10만장 판 40대 검거 ㅇㅇ
- 李 "의료개혁은 필요...합리적 의료개혁 다시 준비" 포만한
- 요즘 외국겜에서 나오는 한국 모습...jpg 수류탄이야
- 'MZ세대' 단어의 문제점 ㅇㅇ
- 싱글벙글 한국인들이 삭힌 홍어 먹는다고해서 신기해하는 나라 수인갤러리
- “일어 통역 구한다며 캄보디아 유인… 감금한채 성인방송 강요” 고닉팠
- 의사의 오진때문에 40세에 가진 첫 아이를 유산했습니다 ㅇㅇ
- 현대차 내부고발 상금 받았더니 세금 95억 내라는 국세청 ㅇㅇ
- 183만 유튜버, 유방암 투병 母에 '몸매' 들려주니…"조롱이냐" ㅇㅇ
- 연애 4년간 50명과 바람핀 남친과 결혼해도 되겠죠? ㅇㅇ
- '혼전임신' 곽튜브, 결혼식 아내 공개 피로연 과정 ㅇㅇ
- 이종호 “임성근 구명 부탁받고 김건희에 연락 시도” 첫 인정 옥수수치킨
22년 만에 타이완에 밀렸다…"한국은 이제" IMF 예측 봤더니..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올해 우리나라 1인당 GDP가 타이완한테 역전당할 것 같다면서요?그렇습니다. 우리는 3등 내려가고 타이완은 3등 올라가면서 22년 만에 타이완에 밀리게 됐습니다.IMF가 이번 달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 5천962달러로 IMF 통계에 포함된 197개국 중 37위입니다.작년에는 34위였는데, 1년 사이 세 계단 하락했습니다.반대로 타이완은 3만 7천827달러로 35위, 작년 38위에서 세 계단 상승했습니다.그래서 22년 만에 순위가 뒤바뀌게 된 거죠.그나마 지금은 두 단계 차이죠.그런데 IMF는 내년에는 그 격차가 더 벌어진다고 봤습니다.한국은 38위, 타이완은 31위, 무려 일곱 계단 차이입니다.흥미로운 건 우리도 3년 뒤에는 1인당 4만 802달러로, '4만 달러 시대'에 들어선다고 전망해서 올해 4월 전망보다 1년 빨라졌는데요.그런데도 순위는 오히려 40위로 떨어졌고요.그다음 해에는 4만 2천522달러가 되는데도 순위는 41위로 더 떨어지게 됩니다.한마디로 절대 소득은 오르지만 상대속도는 느린 나라, 그게 지금 한국경제의 현주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우리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타이완은 올라가는 추세네요.핵심은 이 두 가지인데요. 높은 성장률과 그리고 그 성장을 끌어올린 산업 구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먼저 경제성장률부터 보면 타이완 통계청은 올해 전망치를 3.1%에서 5.45%로 대폭 상향했습니다.불과 몇 달 만에 2%포인트 넘게 오른 건데요.그만큼 경기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얘기입니다.해외 주요 투자은행 여덟 곳의 평균 전망도 5.3%, 특히 일본 노무라는 3분기 성장률을 7.6%까지 상향했습니다.올해 들어 아시아 주요국 중 가장 빠른 회복세입니다.이 성장의 중심에는 바로 반도체 산업이 있습니다.타이완은 TSMC를 중심으로 한 파운드리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애플이나 엔비디아, 퀄컴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설계한 칩을 타이완이 대신 만들어주는 구조죠.이 산업의 장점은 명확합니다.수요만 있으면 공장은 멈추지 않는다는 겁니다.그래서 경기와 무관하게 꾸준히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데요.지금 타이완의 반도체 산업은 GDP의 13~15%,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AI 칩, 자율주행 칩, GPU 같은 고부가 제품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면서 국가 전체 성장률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그래서 "타이완의 반도체는 산업이 아니라 국가의 심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요.그만큼 타이완 경제는 반도체에 모든 에너지가 집중돼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그런데 요새 우리도 삼성이랑 SK 보면 반도체는 잘 나가고 있잖아요?한국도 반도체가 수출의 20%를 넘는 핵심 산업인데요.하지만 구조가 다릅니다.파운드리는 고객이 설계한 칩을 주문받아 대신 만들어주는 구조이고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용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고 생산해 시장에 내다 파는 구조입니다.문제는 메모리 시장은 가격 변동이 심하고 경기에 민감하다는 점입니다.글로벌 수요가 줄면 가격이 곧바로 떨어지고, 재고가 쌓이죠.그만큼 수익성이 크게 흔들립니다.반면 타이완의 파운드리는 수요만 유지되면 공장이 계속 돌아가서 수익이 훨씬 안정적입니다.IMF는 올해 한국 성장률을 0.9%로 제시했고, 타이완은 IMF 보고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다른 기관들이 발표한 걸 보면 대부분 5%대 초반으로 잡고 있거든요.속도가 5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겁니다.한국은 자동차, 조선, 배터리, 석유화학처럼 산업이 다양하지만, 속도가 제각각이라 전체 회복이 느린 구조입니다.결국, 같은 반도체 강국이라도 타이완은 경제의 심장, 우리는 경제의 한 부분 정도라고 볼 수 있는데요.때문에 같은 반도체 호황 속에서도 두 나라의 체감 온도는 확실히 다를 수밖에 없는 겁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