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수능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수능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사실 폴란드가 반데라 금지 관련해서 몇주사이 급발진하게된 계기가 있음 Garmin
- 이슬람에서는 반려견은 안 좋은 동물 ㅇㅇ
-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일본의 폐교 활용법 ㅇㅇ
- 트럼프가 탐낸 李대통령 펜은 국산 제나일…"두달간 수제작 헬마존잘
- 한의사 피부 미용 시술에 대한 시민 반응 ㅇㅇ
- (블라) 입으로 안해줘서 파혼고민하는 삼전햄 블라탐험가페페
- 8년동안 지독하게 시집살이 시켜놓고 죽기 전 사과한 시어머니 ㅇㅇ
- 인터스텔라 딸.. 최근 근황 ..jpg 3dd
- 알리에서 부품이 5일 만에 와요" 수많은 제조업 숙련공들은 이제 어디서 너구리
- 이스라엘의 방공협력 제안..어떻게 봐야 하나? 배터리형
- 오싹오싹 1년 전에도 있었던 인슐린 사고 ㅇㅇ
- 블아 콜라보가 망한 이유.jpg ㅇㅇ
- 얼마 전 쿨 이재훈 콘서트 다녀온 한가인 ㅇㅇ
- 김민석 전 위원장이.. 미국에 쓴소리를 날렸던 이유..jpg 주권동맹
- 성욕이강한 와이프와 현대차 퐁퐁남 주갤러
싱글벙글 부산 유엔기념공원 방문 및 헌화기
부산에서 이번 여름휴가를 보내기로 결정한 싱붕이. 본격적으로 휴가를 보내기 전 첫날부터 꼭 하고싶은것이자 반드시 해야 하는 것부터 하고 넘어가기로 했다. 유엔기념공원 앞에있는 유엔 참전기념탑 참전국의 국기가 기념탑을 둘러싸고 있다. 유엔공원까지 가는 길 또한 유엔참전거리로 이름붙여져 있고 다양한 참전국의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이 길로 쭉 가면... 유엔 기념공원 정문이 나오며 헌병이 경비를 서고 있다.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 추모관 내부에서는 참전용사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고 스테인글라스나 벤치 등이 성당이나 교회처럼 꾸며져 있지만 참전국 중에 불교국가인 태국이나 이슬람국가인 터키가 있는 만큼 십자가나 종교적 상징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묘역으로 가는 입구를 지나면 되는데 정문에서 받는 팜플렛에서 참배 순서를 안내해주고 있기에 이를 따르면 된다. 유엔기와 참전기가 나부끼는 광장. 10시에 유엔기를 올리는 행사를 한다는데 아쉽게도 사전조사를 하지 않아 30분 차이로 보지 못했다. 공원의 전체적인 모습. 흉물스러운 골프장이 눈에 거슬린다. 참전자 중 최소 참전자인 호주의 17세 J.P.도은트에서 이름을 따온 수로. 폭염으로 인해 운영되고 있진 않았다. 눈에 띄었던 것은 묘역 전체에 배리어 프리가 적용되어 있었다는 것. 아무래도 참전자들의 연세가 연세이시니 배려가 들어간 설계인 것 같다.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역시 이곳도 폭염으로 인해 분수 운용이 중단되어 있었다. 부채꼴 모양의 전시물에 수많은 참전용사중 영면하신 분들의 이름이 한명 한명 다 적혀져 있다. 전시물을 따라 돌다보면 부채꼴 전시물 뒤에 다른 훨씬 더 큰 전시물에 이름이 끝없이 이어진다. 출구에서 보이는 참전국들의 깃발들 유엔군 위령탑 위령탑에는 이렇게 각 국가에서 참전한 전체 병력과 영면하신 분들의 숫자가 적혀 있으며 안에는 또다른 기념관이 있는데 이곳은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영연방 국가들의 사연들로 전시되어 있다 원래는 이 위령탑 안에 명부를 보관하고 있었으나 위의 전몰추모명비가 2000년대에 지어진 이후 이렇게 영연방 국가관으로 개수된 듯 하다. 영연방 국가들은 군인들이 싸우다가 사망할 경우 해당 국가에 묘지를 만드는 것이 기본적인 예의로 되어 있어서 유엔공원에도 유독 영연방 국가의 묘가 많다. 미국은 알다시피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거의 반드시 미국으로 다시 모셔서 묘를 만드는 것이 기본이라서 묘가 그렇게 많지 않다. 호주 참전용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긴 퀼트. 이름 하나하나가 말 그대로 한땀한땀 새겨져 있다. 위령탑에서 나오면 이렇게 무명용사의 길이 조성되어 있다. 공원 외각에 있는 메타세퀘이아 길. 50여년정도 지나면 엄청나게 크게 자라나지 않을까. 정문 주변에 있는 기념관에 전시된 당시 유엔사령부의 깃발. 나폴레옹시대만큼은 아니지만 현재도 적어도 미군에서는 사령부의 깃발을 굉장히 소중하게 여기고 취급한다. 예시로 주한민국 주둔 사단이 교대할 때는 사단기도 밀봉한체로 공수해와서 교대하곤 하는데 우리 군대에서도 그러는지는 여단이나 사단, 군단이나 사령부 근무를 안해봐서 잘 모르겠다. 센츄리온. 에티오피아의 연락장교들, 짜세가 장난아니다. 약 2025년까지 실제로 사용했다고 하는 동문 철문. 안전을 위해 철거한 것이라고 하는데 이런 것까지 고철처리를 하지 않고 근대유산으로써 보전하는 것이 아주 마음에 들었다. 동문을 나오면 이렇게 조각공원으로 이어진다. 조각을 감상하는 중인 참새 음... 굳이 이런 작품이 여기 있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예술을 탄압하면 파시즘이니까 그냥 넘어가자. 한번 쭉 들러보고 나니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보고가는것은 도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주변 꽃집에서 조화를 사와 공원 중앙에 있는 유엔기에 헌화하고 나름대로 묵념을 잠시 행했다. 참고로 여긴 유엔공원 공홈에 있는 지정된 헌화터임 원래 무명용사의 비에 바치고 싶었으나 위의 글처럼 무명용사의 길밖에 없고 비는 없어서 길 위에 그냥 올리고 오는건 도리가 아닌것같아 지정된 헌화터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날 입고있던 옷... 최대한 경의를 표하고 싶어서 선택한 풀정장 + 검정가죽구두였으나 이날 부산 온도 31도 + 강렬한 햇빛 때문에 조금 고생했다.
작성자 : 기신고래(진)고정닉
국방부의 간부 급여 통계가 사실인지 알아보자
https://www.mnd.go.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page=1&boardId=O_46843&boardSeq=I_11907652&titleId=&siteId=mnd&id=mnd_050600000000&column=null&search=null 업무분야별 자료업무분야별 자료www.mnd.go.kr 국방부에서 2024년 11월을 기준으로 2024년까지 군인의 총 급여 수령액 통계를 냈다. 과연 이게 사실인지, 사실이라면 얼마나 일해서 버는지 우리 귀여운 ROTC 육군 소위를 기준으로 알아보자. (2024.11 통계 나왔으니 소위 연봉이 확인되는 2023.03 임관 기준) 1. 전속파견여비 소위는 임관하면 4개월간 OBC과정을 수료하며 관련 병과의 교육을 받게 된다. 이때 파견여비를 제외한 모든 수당은 지급되지 않는데 병과학교랑 집, 자대랑 적당한 거리에 있다고 치고 3회에 걸쳐 10만원씩 받았다고 치자. 2. 성과상여금 계급이 소위일때는 성과상여금을 받지 못한다. 왜냐고? 3월에 성과상여금이 나오는데 23년 3월에 임관해서 24년 3월이면 소위가 아니라 중위거든. 3. 초과근무수당 2023년 소위 초과근무수당은 시간당 9620원 2024년 소위 초과근무수당은 시간당 9860원인데 놀랍게도 당시 최저시급과 똑같다는걸 알 수가 있다!! (물론 야간근무임을 적용하면 더 적다.) 이거에 맞춰서 할건데 얘는 다른 수당 다 나오고 적용하겠다. 4. 명절 떡값 추석, 설 2회에 걸쳐 지급받고 9월과 2월에 나오는데 ROTC 기준 사관후보생 기간 감안, 0.5호봉이 가산되어 9월에 소위 2호봉걸로 떡값을 받고, 2024년 2월에는 매년 공무원•군인 월급으 조금씩 인상되어 미세하게 더 많은 떡값을 받는다. (본급여의 60%가 기준) 5. 연가보상비 선진병영이라 받은 11일의 연가 모두 다 썼다고 가정하여 0원. 6. 영외급식비 저 당시면 보통 월평균 13~14만원 정도 주는데 14만원으로 일원화 하겠다. 7. 직급보조비 매달 175,000원씩 들어온다. 그렇게 이쯤 계산해서 초과수당 제외하고 받는 총액을 보면 33,189,920원이 나온다. 처음보다 3,615,080원이 부족한건데 이제부터 초과근무로 이를 떼운다고 가정하면 월평균 약 47시간의 초과 근무만 수행해주면 가능하다!!! (일반적인 대부분의 부대 초과근무 상한 월 57시간) 꼴랑 47시간의 초과근무만 더 해주면 국방부가 낸 저 수치를 충족시킬 수가 있다. 물론 일반적인 장교 출신은 5가지가 있고 3사는 2호봉, 육사는 3호봉으로 시작하지만 나머지 출신 다 합쳐봤자 ROTC가 보통 3배는 많으니까 대체로 저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거다. 너희가 소위로 임관해서 국방부가 제시한 수치인 36,805,000원을 연봉으로 벌고자 하면 초과근무로 매달 47시간씩 8달만 하면 된다. 초과근무로 매달 47시간씩 8달만 하면 된다고 참고로 저기서 고정으로 매달 빠지는 비용은 대략 식비 30만원, 방값 5만원, 세금•보험•기여금 등 25~30만원 해서 60만원 정도는 그냥 숨만쉬어도 나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끝으로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드는게 있다면성과금도 못받는 소위랑 2~3년차까지 있을 중위가 250밖에 차이 안나는게 맞는지 의문이다 암만 봐도 좀 이상하지 않냐..?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